[학위논문]대학교 캠퍼스 물리적 환경의 이용자 만족도 및 외부공간의 안전성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users' satisfaction about physical environment and safety of outdoor space in university campus원문보기
국내 대학교 캠퍼스는 외부공간에 대한 계획이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어 아직까지는 이용자 요구를 수반하거나 이용자 만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외부공간의 안전성 확보 또한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00년대 지어진 대학 캠퍼스와 2000년대 지어진 대학 캠퍼스의 외부공간 변화 양상을 비교하고, 각 캠퍼스별 이용자의 물리적 환경 만족도-중요도 조사 및 외부공간 안전성을 조사 및 분석하여 캠퍼스 외부공간에 대한 개선 필요사항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된 캠퍼스와 의도적으로 외부공간을 계획하여 형성한 캠퍼스로 구분하였으며, 사례조사 대상지는 1900년대 지어진 A대학교 캠퍼스와 B대학교 캠퍼스, 2000년대 지어진 C대학교 캠퍼스와 D대학교 캠퍼스를 선정하였다. 사례조사 대상지는 면적과 학생수가 유사한 대학교 캠퍼스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대학교 캠퍼스를 이용하는 해당 대학교의 대학생으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련 연구 고찰을 통해 조사대상지를 학생수, 면적, 준공신설년도로 구분하여 4개의 대학교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대학교 캠퍼스의 물리적 환경은 크게 외부환경, 지원시설, 동선, 이동환경으로 구성하여 운동공간, 녹지공간, 보행환경 등 캠퍼스 외부공간의 이용자 만족도, 중요도 조사 설문 항목에 반영하였으며, 설문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
국내 대학교 캠퍼스는 외부공간에 대한 계획이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어 아직까지는 이용자 요구를 수반하거나 이용자 만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외부공간의 안전성 확보 또한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00년대 지어진 대학 캠퍼스와 2000년대 지어진 대학 캠퍼스의 외부공간 변화 양상을 비교하고, 각 캠퍼스별 이용자의 물리적 환경 만족도-중요도 조사 및 외부공간 안전성을 조사 및 분석하여 캠퍼스 외부공간에 대한 개선 필요사항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된 캠퍼스와 의도적으로 외부공간을 계획하여 형성한 캠퍼스로 구분하였으며, 사례조사 대상지는 1900년대 지어진 A대학교 캠퍼스와 B대학교 캠퍼스, 2000년대 지어진 C대학교 캠퍼스와 D대학교 캠퍼스를 선정하였다. 사례조사 대상지는 면적과 학생수가 유사한 대학교 캠퍼스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대학교 캠퍼스를 이용하는 해당 대학교의 대학생으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련 연구 고찰을 통해 조사대상지를 학생수, 면적, 준공신설년도로 구분하여 4개의 대학교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대학교 캠퍼스의 물리적 환경은 크게 외부환경, 지원시설, 동선, 이동환경으로 구성하여 운동공간, 녹지공간, 보행환경 등 캠퍼스 외부공간의 이용자 만족도, 중요도 조사 설문 항목에 반영하였으며, 설문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IPA분석을 진행하여 각 대학별 개선이 필요한 외부공간에 대해 도출하였다. 외부공간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해 교통안전, 범죄안전, 생활안전으로 나누어 안전성 만족도, 위험원인, 위험구간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안전성 만족도와 위험원인을 응답자 집단별로 분석하였고, 위험구간에 따른 실태조사를 진행하여 외부공간 개선 필요사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지 모두 녹지환경, 도서관에 대해 지속적인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부광장에 대해 중점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내운동시설과 안내표지판은 순차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점적인 개선이 필요하고 신속한 대처가 필요한 외부공간은 A대학교에서 외부광장, 편의시설, 건물배치로 나타났고, B대학교는 외부광장, 편의시설, 강의실로 나타났다. C대학교는 외부휴식공간, 외부광장, 공공시설물, 강의실, 경로/이동통로, 건물배치로 나타났으며, D대학교는 외부휴식공간, 외부광장, 공공시설물, 편의시설, 경로/이동통로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 안전성 분석 결과, 교통안전성 만족도는 A대학교와 C대학교가 전반적으로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안전성 만족도는 D대학교를 제외하고 모든 대학교가 전반적으로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안전성 만족도는 D대학교를 제외하고 모든 대학교가 전반적으로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준공신설년도에 따른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 안전성 분석 결과, 범죄안전성 만족도는 지어진지 오래된 대학교가 최근에 지어진 대학교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교 외부공간 안전성 위험 원인에 대한 분석 결과, 교통안전 위험 원인은 차로, 보행로의 폭 및 분리상태 미흡, 교통 관련시설물 부족이 주 원인이며, A대학교, D대학교는 차로, 보행로의 폭 및 분리상태 미흡, B대학교, C대학교는 교통 관련시설물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범죄안전 위험 원인은 전반적으로 조명시설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빈도수가 높은 원인은 A대학교, B대학교가 보안시설 부족, C대학교와 D대학교가 주변 시야 확보 미흡으로 나타났다. 생활안전 위험 원인은 주로 바닥재 등 시설물 훼손, 계단, 울타리, 시설물 등의 설치 위치 및 상태 미흡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 중 C대학교는 바닥재 등 시설물 훼손과 계단, 울타리, 시설물 등의 설치 위치 및 상태 미흡이 빈도수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통안전 위험구간은 주로 정문 주변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보행자와 차량이 혼재하는 삼거리, 사거리 또한 교통안전 위험구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량이 적치되어 있는 구간이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안전 위험구간은 주로 정문 외 출입구, 캠퍼스 경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해당 구간에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하거나 외부인의 출입이 자유로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활안전 위험구간은 대부분 바닥재 탈락, 적절하지 않은 높이의 계단이 설치되어 있는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대학별 물리적 환경 변수 중 산책로, 외부휴식공간이 1900년대에 지어진 대학교가 비교적 만족도가 높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별 제Ⅱ사분면에 속해 있는 물리적 환경 변수는 외부휴식공간, 공공시설물, 경로/이동통로로 2000년대에 지어진 대학교에서 만족도가 낮고 중요도가 높아 집중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900년대 설립된 대학교 캠퍼스가 범죄안전성 만족도 평균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안전 위험 구간은 1900년대에 지어진 대학교 캠퍼스는 보행자와 차량이 혼재된 공간, 2000년대에 지어진 대학교 캠퍼스는 주로 차량이 외부에 적치되어 있는 공간이 위험 구간으로 확인되었다. 생활안전 위험 구간은 1900년대에 지어진 대학교 캠퍼스는 주로 노후화 및 적절하지 않은 계단에서 확인되었으며, 2000년대에 지어진 대학교 캠퍼스는 주로 바닥재 탈락으로 인한 위험 구간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대학교 캠퍼스는 외부공간에 대한 계획이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어 아직까지는 이용자 요구를 수반하거나 이용자 만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외부공간의 안전성 확보 또한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00년대 지어진 대학 캠퍼스와 2000년대 지어진 대학 캠퍼스의 외부공간 변화 양상을 비교하고, 각 캠퍼스별 이용자의 물리적 환경 만족도-중요도 조사 및 외부공간 안전성을 조사 및 분석하여 캠퍼스 외부공간에 대한 개선 필요사항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된 캠퍼스와 의도적으로 외부공간을 계획하여 형성한 캠퍼스로 구분하였으며, 사례조사 대상지는 1900년대 지어진 A대학교 캠퍼스와 B대학교 캠퍼스, 2000년대 지어진 C대학교 캠퍼스와 D대학교 캠퍼스를 선정하였다. 사례조사 대상지는 면적과 학생수가 유사한 대학교 캠퍼스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대학교 캠퍼스를 이용하는 해당 대학교의 대학생으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련 연구 고찰을 통해 조사대상지를 학생수, 면적, 준공신설년도로 구분하여 4개의 대학교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대학교 캠퍼스의 물리적 환경은 크게 외부환경, 지원시설, 동선, 이동환경으로 구성하여 운동공간, 녹지공간, 보행환경 등 캠퍼스 외부공간의 이용자 만족도, 중요도 조사 설문 항목에 반영하였으며, 설문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IPA분석을 진행하여 각 대학별 개선이 필요한 외부공간에 대해 도출하였다. 외부공간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해 교통안전, 범죄안전, 생활안전으로 나누어 안전성 만족도, 위험원인, 위험구간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안전성 만족도와 위험원인을 응답자 집단별로 분석하였고, 위험구간에 따른 실태조사를 진행하여 외부공간 개선 필요사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지 모두 녹지환경, 도서관에 대해 지속적인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부광장에 대해 중점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내운동시설과 안내표지판은 순차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점적인 개선이 필요하고 신속한 대처가 필요한 외부공간은 A대학교에서 외부광장, 편의시설, 건물배치로 나타났고, B대학교는 외부광장, 편의시설, 강의실로 나타났다. C대학교는 외부휴식공간, 외부광장, 공공시설물, 강의실, 경로/이동통로, 건물배치로 나타났으며, D대학교는 외부휴식공간, 외부광장, 공공시설물, 편의시설, 경로/이동통로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 안전성 분석 결과, 교통안전성 만족도는 A대학교와 C대학교가 전반적으로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안전성 만족도는 D대학교를 제외하고 모든 대학교가 전반적으로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안전성 만족도는 D대학교를 제외하고 모든 대학교가 전반적으로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준공신설년도에 따른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 안전성 분석 결과, 범죄안전성 만족도는 지어진지 오래된 대학교가 최근에 지어진 대학교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교 외부공간 안전성 위험 원인에 대한 분석 결과, 교통안전 위험 원인은 차로, 보행로의 폭 및 분리상태 미흡, 교통 관련시설물 부족이 주 원인이며, A대학교, D대학교는 차로, 보행로의 폭 및 분리상태 미흡, B대학교, C대학교는 교통 관련시설물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범죄안전 위험 원인은 전반적으로 조명시설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빈도수가 높은 원인은 A대학교, B대학교가 보안시설 부족, C대학교와 D대학교가 주변 시야 확보 미흡으로 나타났다. 생활안전 위험 원인은 주로 바닥재 등 시설물 훼손, 계단, 울타리, 시설물 등의 설치 위치 및 상태 미흡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 중 C대학교는 바닥재 등 시설물 훼손과 계단, 울타리, 시설물 등의 설치 위치 및 상태 미흡이 빈도수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통안전 위험구간은 주로 정문 주변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보행자와 차량이 혼재하는 삼거리, 사거리 또한 교통안전 위험구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량이 적치되어 있는 구간이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안전 위험구간은 주로 정문 외 출입구, 캠퍼스 경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해당 구간에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하거나 외부인의 출입이 자유로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활안전 위험구간은 대부분 바닥재 탈락, 적절하지 않은 높이의 계단이 설치되어 있는 구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대학별 물리적 환경 변수 중 산책로, 외부휴식공간이 1900년대에 지어진 대학교가 비교적 만족도가 높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별 제Ⅱ사분면에 속해 있는 물리적 환경 변수는 외부휴식공간, 공공시설물, 경로/이동통로로 2000년대에 지어진 대학교에서 만족도가 낮고 중요도가 높아 집중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900년대 설립된 대학교 캠퍼스가 범죄안전성 만족도 평균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안전 위험 구간은 1900년대에 지어진 대학교 캠퍼스는 보행자와 차량이 혼재된 공간, 2000년대에 지어진 대학교 캠퍼스는 주로 차량이 외부에 적치되어 있는 공간이 위험 구간으로 확인되었다. 생활안전 위험 구간은 1900년대에 지어진 대학교 캠퍼스는 주로 노후화 및 적절하지 않은 계단에서 확인되었으며, 2000년대에 지어진 대학교 캠퍼스는 주로 바닥재 탈락으로 인한 위험 구간으로 확인되었다.
It is relatively recent that domestic university campuses started planning for outdoor spaces. So there is a lack of acceptance of user needs or consideration of user satisfaction yet and it is even insufficient to guarantee safety of outdoor space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seek improvem...
It is relatively recent that domestic university campuses started planning for outdoor spaces. So there is a lack of acceptance of user needs or consideration of user satisfaction yet and it is even insufficient to guarantee safety of outdoor space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seek improvements and requirements for campus outdoor spaces by comparing outdoor space changes between university campuses that were built in the 1900s and in the 2000s, and investigating and analyzing physical environmental satisfaction-importance and outdoor space safety perceived by users of individual campuses. Outdoor spaces of university campuses were classified into the campuses that have been naturally formed over time and those with intentionally planned outdoor spaces. As research areas, A University campus and B University campus built in the 1900s, and C University campus and D University campus built in the 2000s were selected. These campuses have similar areas and a similar number of students. The survey targeted the students from the universities using the campuses. Based on relevant studies, this study targeted four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udents, the area, and the completion and foundation year. Physical environments of university campuses were divided into external environments, support facilities, moving lines, and mobile environments, and these were applied to the survey on user satisfaction with campus outdoor spaces, such as an exercise area, a green space, and a pedestrian environment, and importance. Then an IPA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survey results, and outdoor spaces of individual universities requiring improvements were extracted. For safety evaluation of outdoor spaces, safety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traffic safety, crime safety, and life safety, and safety satisfaction, causes for risk, and risky sections were surveyed. Safety satisfaction and causes for risk perceived by each group of respondents were analyzed, and the present status of risky sections was investigated to understand improvements and requirements for outdoor space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in all the university campuses, green environments and libraries require continued maintenance, and external squares need to improve in priority. Also, indoor exercise facilities and guide signs need to improve in sequential orde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an external square, convenience facilities, and building arrangement of A University, and an external square, convenience facilities, and lecture rooms of B University in priority and cope with them urgently. In C University, outside rest spaces, an external square, public facilities, lecture rooms, paths/passages, and building arrangement need to improve, and In D University, outside rest spaces, an external square, public facilities, convenience facilities, and paths/passages need to improve. Third, A University and C University had a lower level of traffic safety satisfaction than the average overall. All the universities except D University had a lower level of crime safety satisfaction than the average. In addition, all the universities except D University had a lower level of life safety satisfaction than the average. Fourth, in terms of the completion and foundation year, the universities with long completion and foundation years had a lower level of crime safety satisfaction than those, where were built recently. Fifth, an insufficiency of lane and pedestrian road widths and separation conditions and a shortage of traffic facilities were the main causes for traffic safety risk. In A University and D University, an insufficiency of lane and pedestrian road widths and separation conditions, and in B University and C University, a shortage of traffic facilities were the biggest cause respectively. In general, a lack of lighting equipment was the biggest cause for crime safety risk. In A University and B University, a lack of security facilities was the second biggest cause, and in C University and D University, an insufficiency of surrounding visibility was the second biggest cause. Damage to facilities, including floorings and an insufficiency of installation positions and conditions of stairs, fences, and facilities were the primary causes for life safety risk. Especially, C University showed a similar frequency in damage to facilities, including floorings and an insufficiency of installation positions and conditions of stairs, fences, and facilities. Sixth, mainly, the surrounding of the main gate was a risky section of traffic safety, and three-way intersection and crossroads crowded with pedestrians and cars were risky sections of traffic safety too. Also, the section for vehicle parking was risky. In addition to the main gate, the entrance and the campus boundary were mostly risky sections of crime safety.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is a lack of facilities to prevent crimes in these sections, or outsiders can enter freely. It was discovered that in most risky sections of life safety, the floorings are eliminated and stairs with inappropriate heights are installed. Seventh, when it comes to physical environmental variables of individual universities, it was found that the universities built in the 1900s showed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with trails and outside rest spaces, and they need to be managed constantly. The universities built in the 2000s showed low satisfaction with outside res spaces, public facilities, and paths/passages, among the physical environmental variables, which belong to the Ⅱ quadrant, and their importances were high. This means intensive improvements of these facilities are required. The university campuses founded in the 1900s had a relatively lower average of crime safety satisfaction. In the university campuses built in the 1900s, the spaces crowded with pedestrians and cars, and in the university campuses built in the 1900s, the vehicle parking spaces were risky sections of traffic safety. In the university campuses built in the 1900s, the old and improper stairs, and in the university campuses built in the 2000s, the spaces with eliminated floorings were mainly risky sections of life safety.
It is relatively recent that domestic university campuses started planning for outdoor spaces. So there is a lack of acceptance of user needs or consideration of user satisfaction yet and it is even insufficient to guarantee safety of outdoor space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seek improvements and requirements for campus outdoor spaces by comparing outdoor space changes between university campuses that were built in the 1900s and in the 2000s, and investigating and analyzing physical environmental satisfaction-importance and outdoor space safety perceived by users of individual campuses. Outdoor spaces of university campuses were classified into the campuses that have been naturally formed over time and those with intentionally planned outdoor spaces. As research areas, A University campus and B University campus built in the 1900s, and C University campus and D University campus built in the 2000s were selected. These campuses have similar areas and a similar number of students. The survey targeted the students from the universities using the campuses. Based on relevant studies, this study targeted four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udents, the area, and the completion and foundation year. Physical environments of university campuses were divided into external environments, support facilities, moving lines, and mobile environments, and these were applied to the survey on user satisfaction with campus outdoor spaces, such as an exercise area, a green space, and a pedestrian environment, and importance. Then an IPA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survey results, and outdoor spaces of individual universities requiring improvements were extracted. For safety evaluation of outdoor spaces, safety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traffic safety, crime safety, and life safety, and safety satisfaction, causes for risk, and risky sections were surveyed. Safety satisfaction and causes for risk perceived by each group of respondents were analyzed, and the present status of risky sections was investigated to understand improvements and requirements for outdoor space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in all the university campuses, green environments and libraries require continued maintenance, and external squares need to improve in priority. Also, indoor exercise facilities and guide signs need to improve in sequential orde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an external square, convenience facilities, and building arrangement of A University, and an external square, convenience facilities, and lecture rooms of B University in priority and cope with them urgently. In C University, outside rest spaces, an external square, public facilities, lecture rooms, paths/passages, and building arrangement need to improve, and In D University, outside rest spaces, an external square, public facilities, convenience facilities, and paths/passages need to improve. Third, A University and C University had a lower level of traffic safety satisfaction than the average overall. All the universities except D University had a lower level of crime safety satisfaction than the average. In addition, all the universities except D University had a lower level of life safety satisfaction than the average. Fourth, in terms of the completion and foundation year, the universities with long completion and foundation years had a lower level of crime safety satisfaction than those, where were built recently. Fifth, an insufficiency of lane and pedestrian road widths and separation conditions and a shortage of traffic facilities were the main causes for traffic safety risk. In A University and D University, an insufficiency of lane and pedestrian road widths and separation conditions, and in B University and C University, a shortage of traffic facilities were the biggest cause respectively. In general, a lack of lighting equipment was the biggest cause for crime safety risk. In A University and B University, a lack of security facilities was the second biggest cause, and in C University and D University, an insufficiency of surrounding visibility was the second biggest cause. Damage to facilities, including floorings and an insufficiency of installation positions and conditions of stairs, fences, and facilities were the primary causes for life safety risk. Especially, C University showed a similar frequency in damage to facilities, including floorings and an insufficiency of installation positions and conditions of stairs, fences, and facilities. Sixth, mainly, the surrounding of the main gate was a risky section of traffic safety, and three-way intersection and crossroads crowded with pedestrians and cars were risky sections of traffic safety too. Also, the section for vehicle parking was risky. In addition to the main gate, the entrance and the campus boundary were mostly risky sections of crime safety.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is a lack of facilities to prevent crimes in these sections, or outsiders can enter freely. It was discovered that in most risky sections of life safety, the floorings are eliminated and stairs with inappropriate heights are installed. Seventh, when it comes to physical environmental variables of individual universities, it was found that the universities built in the 1900s showed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with trails and outside rest spaces, and they need to be managed constantly. The universities built in the 2000s showed low satisfaction with outside res spaces, public facilities, and paths/passages, among the physical environmental variables, which belong to the Ⅱ quadrant, and their importances were high. This means intensive improvements of these facilities are required. The university campuses founded in the 1900s had a relatively lower average of crime safety satisfaction. In the university campuses built in the 1900s, the spaces crowded with pedestrians and cars, and in the university campuses built in the 1900s, the vehicle parking spaces were risky sections of traffic safety. In the university campuses built in the 1900s, the old and improper stairs, and in the university campuses built in the 2000s, the spaces with eliminated floorings were mainly risky sections of life safe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