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하 문화전당)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광주광역시 동구에 지어진 대규모 복합문화시설이다. 지자체의 이전과 새로운 택지개발로 인해 동구는 도심공동화 현상이 광주에서 가장 심각한 곳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문화전당은 쇠퇴한 동구에 촉매로 작용하여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전당으로 인한 주변지역의 촉매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건축적·도시적 변화와 사회·경제·문화적 지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문화전당이 개관하기 전인 2002년도부터 개관후인 2017년도까지의 자료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여 문화전당으로 인한 영향력을 파악했다. 분석결과 문화전당의 개관으로 인해 가장 변화가 두드러지는 지역은 동명동과 ...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하 문화전당)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광주광역시 동구에 지어진 대규모 복합문화시설이다. 지자체의 이전과 새로운 택지개발로 인해 동구는 도심공동화 현상이 광주에서 가장 심각한 곳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문화전당은 쇠퇴한 동구에 촉매로 작용하여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전당으로 인한 주변지역의 촉매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건축적·도시적 변화와 사회·경제·문화적 지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문화전당이 개관하기 전인 2002년도부터 개관후인 2017년도까지의 자료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여 문화전당으로 인한 영향력을 파악했다. 분석결과 문화전당의 개관으로 인해 가장 변화가 두드러지는 지역은 동명동과 장동 지역으로, 문화전당 동측에 위치한 곳이다. 이 두 지역은 공간구문론으로 도시 공간조직의 변화를 분석할 때, 문화전당과 밀접한 연결성을 갖는 곳이다. 또한, 이 두 지역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지가 덕분에 건축활동이 활발해져 주거시설이 상업시설로 용도변화가 활발히 이루어 진 것으로 판단된다. 즉, 동명동과 장동이 주변의 유사한 환경과 조건을 갖는 지역보다 문화전당과의 접근성이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촉매 효과는 촉매 시설과 접근성이 용이한 지역에서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촉매 효과는 가로를 따라 확산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가로를 이용하는 보행량이 높은 지역과 연계되었을 때 그 영향은 크게 나타났으며, 보행자의 특징에 따라 촉매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화전당의 남측과 북측은 특정 용도를 방문하기 위한 목적지향적인 보행자가 많은 지역이다. 이는 문화전당 서측과 동측과는 상반되는 상황으로, 촉매 효과는 목적지향적인 보행자보다, 배회하거나 특정 목적 없이 이동하는 보행자들이 많은 곳에서 그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형 복합문화시설의 도시적 촉매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문화전당이라는 국한된 사례를 통해 분석했기 때문에 본 연구를 일반화하는 것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촉매 효과를 분석하기에 문화전당의 개관이 3년밖에 되지 않아 시기적으로 이른 점이 있고 분석을 하는데 있어 자료의 수집에 한계가 있었지만,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본 결과, 문화전당과 같은 대형 복합문화시설 역시 촉매로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같은 대형 복합문화시설의 촉매 효과는 주변지역을 활성화시킨다. 특히, 촉매 효과는 보행자의 흐름과 연관되어 있으며, 촉매와 주변지역의 접근이 용이할 때 활발히 나타났으며, 보행자의 특징에 따라 그 영향이 상이했다. 본 연구는 대형 복합문화시설을 계획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대형 복합문화시설의 촉매 효과에 관한 다양한 사례와 장기적인 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실증적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하 문화전당)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광주광역시 동구에 지어진 대규모 복합문화시설이다. 지자체의 이전과 새로운 택지개발로 인해 동구는 도심공동화 현상이 광주에서 가장 심각한 곳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문화전당은 쇠퇴한 동구에 촉매로 작용하여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전당으로 인한 주변지역의 촉매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건축적·도시적 변화와 사회·경제·문화적 지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문화전당이 개관하기 전인 2002년도부터 개관후인 2017년도까지의 자료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여 문화전당으로 인한 영향력을 파악했다. 분석결과 문화전당의 개관으로 인해 가장 변화가 두드러지는 지역은 동명동과 장동 지역으로, 문화전당 동측에 위치한 곳이다. 이 두 지역은 공간구문론으로 도시 공간조직의 변화를 분석할 때, 문화전당과 밀접한 연결성을 갖는 곳이다. 또한, 이 두 지역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지가 덕분에 건축활동이 활발해져 주거시설이 상업시설로 용도변화가 활발히 이루어 진 것으로 판단된다. 즉, 동명동과 장동이 주변의 유사한 환경과 조건을 갖는 지역보다 문화전당과의 접근성이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촉매 효과는 촉매 시설과 접근성이 용이한 지역에서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촉매 효과는 가로를 따라 확산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가로를 이용하는 보행량이 높은 지역과 연계되었을 때 그 영향은 크게 나타났으며, 보행자의 특징에 따라 촉매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화전당의 남측과 북측은 특정 용도를 방문하기 위한 목적지향적인 보행자가 많은 지역이다. 이는 문화전당 서측과 동측과는 상반되는 상황으로, 촉매 효과는 목적지향적인 보행자보다, 배회하거나 특정 목적 없이 이동하는 보행자들이 많은 곳에서 그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형 복합문화시설의 도시적 촉매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문화전당이라는 국한된 사례를 통해 분석했기 때문에 본 연구를 일반화하는 것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촉매 효과를 분석하기에 문화전당의 개관이 3년밖에 되지 않아 시기적으로 이른 점이 있고 분석을 하는데 있어 자료의 수집에 한계가 있었지만,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본 결과, 문화전당과 같은 대형 복합문화시설 역시 촉매로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같은 대형 복합문화시설의 촉매 효과는 주변지역을 활성화시킨다. 특히, 촉매 효과는 보행자의 흐름과 연관되어 있으며, 촉매와 주변지역의 접근이 용이할 때 활발히 나타났으며, 보행자의 특징에 따라 그 영향이 상이했다. 본 연구는 대형 복합문화시설을 계획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대형 복합문화시설의 촉매 효과에 관한 다양한 사례와 장기적인 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실증적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he Asia Culture Cen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CC") is a large-scale cultural facility built in Dong-gu,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part of the Asian Culture City Development Project. Due to the reloc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development of new residential areas, Dong-gu is the...
The Asia Culture Cen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CC") is a large-scale cultural facility built in Dong-gu,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part of the Asian Culture City Development Project. Due to the reloc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development of new residential areas, Dong-gu is the most serious place in Gwangju. In such a situation, the ACC is actively catalyzing the declining Dong-gu, and it is bringing new vitali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architectural and urban changes and the changes in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indicators in order to grasp the catalytic effect of the surrounding area due to the ACC. By analyzing the data from 2002, which was before the opening of the ACC, to the year 2017, which was opened,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AC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st prominent areas are the Dongmyeong-dong and Jang-dong areas, which are located on the east side of the ACC, due to the opening of the ACC. Considering the change of urban space organization through spatial syntax, these two areas increased the connectivity between Jang-dong and Dongmyeong–dong in the urban space organization changed due to the ACC,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use of residential facilities changed into commercial facilities actively.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at Dongmyeong-dong and Jang-dong have higher accessibility to the ACC than those of the same environment,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catalytic effect is further strengthened in the catalyst facilities and easily accessible areas. In addition, the catalytic effect was spreading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the catalytic effec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when the transverse direction was connected to the area having a large walking amount, and the catalytic effec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The southern and northern sides of the ACC are areas with a lot of purpose-oriented pedestrians to visit specific uses. This is in contrast to the western side and the east side of the ACC, and the catalytic effect is more widespread than the purpose-oriented pedestrian or the pedestrian having the idiosyncratic features without the specific purpose. To analyze the urban catalytic effect of a large-scale cultural complex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be careful to generalize this study because it is analyzed through the limited case of the ACC. In addition, it was only three years since it was opened to analyze the catalytic effect of the ACC, and there were limitations in the collection of data in the analysis. However, based on the analyzed data, large-scale cultural complex such as the ACC also act as catalysts. The catalytic effect of the large-scale cultural complex such as the ACC activates the surrounding area. Especially, the catalytic effect was related to the flow of the pedestrian, and it was activated when the catalyst and the surrounding area were easy to access, and the effec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planning of large-scale cultural complex, and the case study on the catalytic effect of large-scale cultural complex and the empirical study on the contents of long - term data should be complemented.
The Asia Culture Cen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CC") is a large-scale cultural facility built in Dong-gu,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part of the Asian Culture City Development Project. Due to the reloc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development of new residential areas, Dong-gu is the most serious place in Gwangju. In such a situation, the ACC is actively catalyzing the declining Dong-gu, and it is bringing new vitali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architectural and urban changes and the changes in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indicators in order to grasp the catalytic effect of the surrounding area due to the ACC. By analyzing the data from 2002, which was before the opening of the ACC, to the year 2017, which was opened,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AC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st prominent areas are the Dongmyeong-dong and Jang-dong areas, which are located on the east side of the ACC, due to the opening of the ACC. Considering the change of urban space organization through spatial syntax, these two areas increased the connectivity between Jang-dong and Dongmyeong–dong in the urban space organization changed due to the ACC,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use of residential facilities changed into commercial facilities actively.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at Dongmyeong-dong and Jang-dong have higher accessibility to the ACC than those of the same environment,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catalytic effect is further strengthened in the catalyst facilities and easily accessible areas. In addition, the catalytic effect was spreading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the catalytic effec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when the transverse direction was connected to the area having a large walking amount, and the catalytic effec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The southern and northern sides of the ACC are areas with a lot of purpose-oriented pedestrians to visit specific uses. This is in contrast to the western side and the east side of the ACC, and the catalytic effect is more widespread than the purpose-oriented pedestrian or the pedestrian having the idiosyncratic features without the specific purpose. To analyze the urban catalytic effect of a large-scale cultural complex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be careful to generalize this study because it is analyzed through the limited case of the ACC. In addition, it was only three years since it was opened to analyze the catalytic effect of the ACC, and there were limitations in the collection of data in the analysis. However, based on the analyzed data, large-scale cultural complex such as the ACC also act as catalysts. The catalytic effect of the large-scale cultural complex such as the ACC activates the surrounding area. Especially, the catalytic effect was related to the flow of the pedestrian, and it was activated when the catalyst and the surrounding area were easy to access, and the effec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planning of large-scale cultural complex, and the case study on the catalytic effect of large-scale cultural complex and the empirical study on the contents of long - term data should be complement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