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모인구의 증가에 따라 탈모시장이 성장하고 탈모시장의 유통채널이 다양화되며 온라인, 오프라인을 통해 누구나 쉽게 구매 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2017년부터 기능성화장품의 범위가 확대되어 탈모관련 제품들이 기존의 의약외품에서 기능성화장품으로 분류 되었다. 시장의 성장에 따라 관련 제품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제품출시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탈모제품의 특허연구동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출원된 탈모 외용도포제의 특허동향과 제품화 현황을 조사하여 특허의 활용률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출원된 특허를 연도별로 보았을 때 총 429건의 출원이 이루어 졌으며 그 중 발모제 196건으로 1위, 탈모방지제가 142건으로 2위, 육모제 51건으로 3위, 양모제 40건으로 4위로 집계되었다. 각 항목은 연도별로 크게 차이 없이 지속적으로 특허출원이 이루어졌다. 둘째, 특허를 소재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천연성분 254건(59.2%) 화학성분 175건(40.8%)으로 천연성분을 이용한 특허가 18.4%더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특허를 출원한 주체는 지난 10년간 기업에서 출원한 특허가 총 205개(48.3%), 개인이 출원한 특허는 83건(20.8%),다자출원 79건(19.8%), 대학 62건(15.5%) 이었다. 기업에서 출원한 특허가 개인이 출원한 특허에 비해 2.5대 더 많았는데 그 이유는 연구투자, 제품화등 다양한 여건을 갖추기에 기업이 유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넷째, 특허출원 후 제품화 현황의 조사에 있어서 개인, 대학, 다자출원 등의 특허는 조사에 한계점이 있어 기업에서 출원한 특허를 중심으로 하였다. 총 429개의 특허 중 기업출원 특허 205건, 탈모외용도포제를 통틀어 제품화된 특허는 21건 이었다. 이는 전체 특허 가운데 4.9%로 매우 적은 비율이며, 기업출원 특허 중에서는 10.2%를 차지한다. 중소기업에서 출시된 제품의 경우 마케팅이 활발하지 않은 것도 다수이다. 제품군에 따라 특징이 있었는데 발모제는 세정제품 9건, 영양공급기능을 갖춘 제품 17건으로 영양공급기능을 갖춘 제품이 2배 가까이 제작되었고 탈모방지제품은 세정제품 4건, 영양공급제품 4건으로 세정제품의 출시비율이 50%를 차지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 보았을 때 특허출원비율은 최근10년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였지만, 제품으로 개발되는 비율은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부차원에서의 특허활용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지원방법을 개발하고 , 기업은 특허를 활용한 제품화를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개인이나 대학등에서 출원한 특허를 기업과 같이 협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는 특허를 활용한 ...
탈모인구의 증가에 따라 탈모시장이 성장하고 탈모시장의 유통채널이 다양화되며 온라인, 오프라인을 통해 누구나 쉽게 구매 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2017년부터 기능성화장품의 범위가 확대되어 탈모관련 제품들이 기존의 의약외품에서 기능성화장품으로 분류 되었다. 시장의 성장에 따라 관련 제품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제품출시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탈모제품의 특허연구동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출원된 탈모 외용도포제의 특허동향과 제품화 현황을 조사하여 특허의 활용률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출원된 특허를 연도별로 보았을 때 총 429건의 출원이 이루어 졌으며 그 중 발모제 196건으로 1위, 탈모방지제가 142건으로 2위, 육모제 51건으로 3위, 양모제 40건으로 4위로 집계되었다. 각 항목은 연도별로 크게 차이 없이 지속적으로 특허출원이 이루어졌다. 둘째, 특허를 소재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천연성분 254건(59.2%) 화학성분 175건(40.8%)으로 천연성분을 이용한 특허가 18.4%더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특허를 출원한 주체는 지난 10년간 기업에서 출원한 특허가 총 205개(48.3%), 개인이 출원한 특허는 83건(20.8%),다자출원 79건(19.8%), 대학 62건(15.5%) 이었다. 기업에서 출원한 특허가 개인이 출원한 특허에 비해 2.5대 더 많았는데 그 이유는 연구투자, 제품화등 다양한 여건을 갖추기에 기업이 유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넷째, 특허출원 후 제품화 현황의 조사에 있어서 개인, 대학, 다자출원 등의 특허는 조사에 한계점이 있어 기업에서 출원한 특허를 중심으로 하였다. 총 429개의 특허 중 기업출원 특허 205건, 탈모외용도포제를 통틀어 제품화된 특허는 21건 이었다. 이는 전체 특허 가운데 4.9%로 매우 적은 비율이며, 기업출원 특허 중에서는 10.2%를 차지한다. 중소기업에서 출시된 제품의 경우 마케팅이 활발하지 않은 것도 다수이다. 제품군에 따라 특징이 있었는데 발모제는 세정제품 9건, 영양공급기능을 갖춘 제품 17건으로 영양공급기능을 갖춘 제품이 2배 가까이 제작되었고 탈모방지제품은 세정제품 4건, 영양공급제품 4건으로 세정제품의 출시비율이 50%를 차지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 보았을 때 특허출원비율은 최근10년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였지만, 제품으로 개발되는 비율은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부차원에서의 특허활용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지원방법을 개발하고 , 기업은 특허를 활용한 제품화를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개인이나 대학등에서 출원한 특허를 기업과 같이 협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는 특허를 활용한 제품개발을 기업으로만 한정한 제한점이 있었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특허 제품개발현황을 특허전체로 확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탈모인구의 증가에 따라 탈모시장이 성장하고 탈모시장의 유통채널이 다양화되며 온라인, 오프라인을 통해 누구나 쉽게 구매 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2017년부터 기능성화장품의 범위가 확대되어 탈모관련 제품들이 기존의 의약외품에서 기능성화장품으로 분류 되었다. 시장의 성장에 따라 관련 제품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제품출시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탈모제품의 특허연구동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출원된 탈모 외용도포제의 특허동향과 제품화 현황을 조사하여 특허의 활용률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출원된 특허를 연도별로 보았을 때 총 429건의 출원이 이루어 졌으며 그 중 발모제 196건으로 1위, 탈모방지제가 142건으로 2위, 육모제 51건으로 3위, 양모제 40건으로 4위로 집계되었다. 각 항목은 연도별로 크게 차이 없이 지속적으로 특허출원이 이루어졌다. 둘째, 특허를 소재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천연성분 254건(59.2%) 화학성분 175건(40.8%)으로 천연성분을 이용한 특허가 18.4%더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특허를 출원한 주체는 지난 10년간 기업에서 출원한 특허가 총 205개(48.3%), 개인이 출원한 특허는 83건(20.8%),다자출원 79건(19.8%), 대학 62건(15.5%) 이었다. 기업에서 출원한 특허가 개인이 출원한 특허에 비해 2.5대 더 많았는데 그 이유는 연구투자, 제품화등 다양한 여건을 갖추기에 기업이 유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넷째, 특허출원 후 제품화 현황의 조사에 있어서 개인, 대학, 다자출원 등의 특허는 조사에 한계점이 있어 기업에서 출원한 특허를 중심으로 하였다. 총 429개의 특허 중 기업출원 특허 205건, 탈모외용도포제를 통틀어 제품화된 특허는 21건 이었다. 이는 전체 특허 가운데 4.9%로 매우 적은 비율이며, 기업출원 특허 중에서는 10.2%를 차지한다. 중소기업에서 출시된 제품의 경우 마케팅이 활발하지 않은 것도 다수이다. 제품군에 따라 특징이 있었는데 발모제는 세정제품 9건, 영양공급기능을 갖춘 제품 17건으로 영양공급기능을 갖춘 제품이 2배 가까이 제작되었고 탈모방지제품은 세정제품 4건, 영양공급제품 4건으로 세정제품의 출시비율이 50%를 차지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 보았을 때 특허출원비율은 최근10년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였지만, 제품으로 개발되는 비율은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부차원에서의 특허활용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지원방법을 개발하고 , 기업은 특허를 활용한 제품화를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개인이나 대학등에서 출원한 특허를 기업과 같이 협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는 특허를 활용한 제품개발을 기업으로만 한정한 제한점이 있었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특허 제품개발현황을 특허전체로 확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hair loss market grew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air loss population. In the past, the distribution channels in the specialized management room were diversified so that anyone can purchase them online or offline. Accordingly, the scope of functional cosmetic products expanded from 2017 ...
The hair loss market grew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air loss population. In the past, the distribution channels in the specialized management room were diversified so that anyone can purchase them online or offline. Accordingly, the scope of functional cosmetic products expanded from 2017 to invigorate the cosmetics market, and hair loss related products were revised as functional products. Various studies and product releases are being conducted on related products, and trends in patent research on hair loss products have not been followed up since 2010 when a Se-il, Kang study was addressed. Therefore, this paper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atent trends and the current status of hair loss external application applications for the past 10 years to find way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patents. First, a total of 429 applications were applied annually from January 2009 to September 2018, ranking first, followed by hair growth solution 196, number of rank second hair loss inhibitor 142, third hair growth promoter with 61, and fourth with hair tonic products 40. Second, according to the materials, 254 cases (59.2%) of natural ingredients and 175 cases of chemical compounds (40.8%) were analyzed, with 18.4% more patents using natural ingredients. Third, according to applicants, the past 10 years ranked number of 205 patents applied for corporation (48.3 %) , followed 83 patents applied for individuals(22.8%) , for multiple applications and 62(19.8%), and 62 patents applied for for universities(15.5%). Fourth, the research on the status of productization after patent application was focused on patents applied by the company. Out of the total 429 patents, 21 patents were manufactured for hair loss. This ratio is very small with 4.9 percent of all patents applied for companies. The above research combined, it was thought that efforts were needed at various layers to enhance the use of patents. It is deemed necessary for companies to pay more attention to produc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patent utilization rate, and to find ways to use patents filed by individuals or universities under the same agreement with companies. The government's provision of patent-use policies and various support methods for the revitalization of research is also considered one of the measures.
The hair loss market grew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air loss population. In the past, the distribution channels in the specialized management room were diversified so that anyone can purchase them online or offline. Accordingly, the scope of functional cosmetic products expanded from 2017 to invigorate the cosmetics market, and hair loss related products were revised as functional products. Various studies and product releases are being conducted on related products, and trends in patent research on hair loss products have not been followed up since 2010 when a Se-il, Kang study was addressed. Therefore, this paper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atent trends and the current status of hair loss external application applications for the past 10 years to find way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patents. First, a total of 429 applications were applied annually from January 2009 to September 2018, ranking first, followed by hair growth solution 196, number of rank second hair loss inhibitor 142, third hair growth promoter with 61, and fourth with hair tonic products 40. Second, according to the materials, 254 cases (59.2%) of natural ingredients and 175 cases of chemical compounds (40.8%) were analyzed, with 18.4% more patents using natural ingredients. Third, according to applicants, the past 10 years ranked number of 205 patents applied for corporation (48.3 %) , followed 83 patents applied for individuals(22.8%) , for multiple applications and 62(19.8%), and 62 patents applied for for universities(15.5%). Fourth, the research on the status of productization after patent application was focused on patents applied by the company. Out of the total 429 patents, 21 patents were manufactured for hair loss. This ratio is very small with 4.9 percent of all patents applied for companies. The above research combined, it was thought that efforts were needed at various layers to enhance the use of patents. It is deemed necessary for companies to pay more attention to produc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patent utilization rate, and to find ways to use patents filed by individuals or universities under the same agreement with companies. The government's provision of patent-use policies and various support methods for the revitalization of research is also considered one of the measur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