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등록 장애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서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과의 관계형성을 중심으로 직무스트레스의 원인을 관계적인 측면에서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장애인활동보조인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검증하고, 서비스 제공시 다양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예방하여 이용자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그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성인장애인들의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기간은 2018년 2월 15일부터 3월 1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총 274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인장애인활동보조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장애인과의 관계형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장애인과의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배우자와 사별한 경우, 이용자 수가 적을수록 그들의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조건과 근무환경 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보수와 계약조건의 만족도가 낮거나 업무가 모호하고 업무량이 많을수록, 근로환경과 직업에 대한 안정성의 기대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
본 연구는 등록 장애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서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과의 관계형성을 중심으로 직무스트레스의 원인을 관계적인 측면에서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장애인활동보조인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검증하고, 서비스 제공시 다양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예방하여 이용자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그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성인장애인들의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기간은 2018년 2월 15일부터 3월 1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총 274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인장애인활동보조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장애인과의 관계형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장애인과의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배우자와 사별한 경우, 이용자 수가 적을수록 그들의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조건과 근무환경 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보수와 계약조건의 만족도가 낮거나 업무가 모호하고 업무량이 많을수록, 근로환경과 직업에 대한 안정성의 기대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매개효과분석에 의하면 근무조건의 만족도가 낮을수록, 근무환경이 열악할수록 그들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조건이 장애인과의 관계형성에 대한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변수의 역할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근무환경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과의 관계형성에 대한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점이 있으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을 개선시킬 수 있는 근무조건 및 근무환경이 필요하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이용자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장애인의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을 위한 방법 등 서로간의 관계형성을 유발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정책적으로 실시 할 수 있도록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지속적인 보수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장애등급과 장애유형에 따른 활동지원과 인간존엄성에 의한 역할수행을 함으로써 이용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질 향상과 그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성인장애인들의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등록 장애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서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과의 관계형성을 중심으로 직무스트레스의 원인을 관계적인 측면에서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장애인활동보조인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검증하고, 서비스 제공시 다양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예방하여 이용자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그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성인장애인들의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기간은 2018년 2월 15일부터 3월 1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총 274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인장애인활동보조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장애인과의 관계형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장애인과의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배우자와 사별한 경우, 이용자 수가 적을수록 그들의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조건과 근무환경 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보수와 계약조건의 만족도가 낮거나 업무가 모호하고 업무량이 많을수록, 근로환경과 직업에 대한 안정성의 기대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매개효과분석에 의하면 근무조건의 만족도가 낮을수록, 근무환경이 열악할수록 그들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조건이 장애인과의 관계형성에 대한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변수의 역할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근무환경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과의 관계형성에 대한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점이 있으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을 개선시킬 수 있는 근무조건 및 근무환경이 필요하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이용자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장애인의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을 위한 방법 등 서로간의 관계형성을 유발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정책적으로 실시 할 수 있도록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지속적인 보수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장애등급과 장애유형에 따른 활동지원과 인간존엄성에 의한 역할수행을 함으로써 이용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질 향상과 그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성인장애인들의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number of registered disabled people is increasing, and the cause of job stress i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recognition of disabled people and the relationship with disabled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factors that affect job stress 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number of registered disabled people is increasing, and the cause of job stress i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recognition of disabled people and the relationship with disabled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factors that affect job stress for adult disabled persons, to reduce the burden on the family by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for the disabled by complementing and preventing various problems in providing services, an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from February 15, 2018 to March 15, 2018,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using a total of 274 copies of data for analysis. In this stud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adult disabled pers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disabled peopl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with disabled people. The lower the age, the less the number of spouses, and the more the job stress. The effects of working conditions and working environment factors on job stress showed that the lower the satisfaction level of remuneration and contract conditions, the more ambiguous the workload, and the higher the expectation of work environment and job stability,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lower the satisfaction level of working conditions, the wors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higher the job stress, and the role of the mediator was proved to have no mediating effect on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the disabled. However, the working environment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awareness of the disabled and the formation of relations with the disabled.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entered on Busan, but it is necessary to have working conditions and working environment to improve job stress factors. In addition, continuous maintenance education of disabled activity assistants is needed so that programs to induce mutual relationship formation such as methods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can be implemented in order to reduce job stress and to provide servic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In particular, by supporting activities according to disability grade and disability type and playing a role by human dignity, it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for disabled people, reducing the burden on their famili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number of registered disabled people is increasing, and the cause of job stress i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recognition of disabled people and the relationship with disabled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factors that affect job stress for adult disabled persons, to reduce the burden on the family by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for the disabled by complementing and preventing various problems in providing services, an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from February 15, 2018 to March 15, 2018,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using a total of 274 copies of data for analysis. In this stud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adult disabled pers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disabled peopl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with disabled people. The lower the age, the less the number of spouses, and the more the job stress. The effects of working conditions and working environment factors on job stress showed that the lower the satisfaction level of remuneration and contract conditions, the more ambiguous the workload, and the higher the expectation of work environment and job stability,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lower the satisfaction level of working conditions, the wors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higher the job stress, and the role of the mediator was proved to have no mediating effect on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the disabled. However, the working environment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awareness of the disabled and the formation of relations with the disabled.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entered on Busan, but it is necessary to have working conditions and working environment to improve job stress factors. In addition, continuous maintenance education of disabled activity assistants is needed so that programs to induce mutual relationship formation such as methods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can be implemented in order to reduce job stress and to provide servic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In particular, by supporting activities according to disability grade and disability type and playing a role by human dignity, it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for disabled people, reducing the burden on their famili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