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보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플랫폼 역시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생태계 변화는 언론 수용 측면에서도 기존 방식에서 메신저와 같은 플랫폼으로 그 수요가 이동하도록 만들었다. 챗봇은 대부분 텍스트로 된 대화형 인터랙션을 사용하기 때문에 메신저와의 결합이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챗봇을 통해 뉴스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챗봇 App을 활용하여 챗봇이 가진 대화형 인터랙션의 수준에 따른 ...
최근 정보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플랫폼 역시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생태계 변화는 언론 수용 측면에서도 기존 방식에서 메신저와 같은 플랫폼으로 그 수요가 이동하도록 만들었다. 챗봇은 대부분 텍스트로 된 대화형 인터랙션을 사용하기 때문에 메신저와의 결합이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챗봇을 통해 뉴스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챗봇 App을 활용하여 챗봇이 가진 대화형 인터랙션의 수준에 따른 사용자 경험 평가를 실시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정보 제공 상황이라는 조건 하에 챗봇의 인터랙션을 평가하는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 제공 상황을 뉴스 기사를 구독하는 상황으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사전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독립 변인을 상호작용성과 친밀도로 설정하였고, 이를 뉴스 기사 구독 챗봇 내의 인터랙션으로 반영하여 구현하였다. 피실험자는 인터랙션의 유형에 따른 챗봇을 사용해보고, 실험의 종속 변인인 신뢰도, 지속 사용 의도,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실험은 오프라인으로 인터랙션 유형에 따른 챗봇을 모두 테스팅 한 뒤, 온라인 설문 평가를 통해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실험 결과, 1) 상호작용성이 높을수록 신뢰도 및 지속 사용 의도가 높아진다는 점, 2) 친밀도가 높을수록 지속 사용 의도가 높아진다는 점, 3) 친밀도가 낮을수록 신뢰도는 높아진다는 점과 더불어, 시스템의 4) 신뢰도가 높아질수록 만족도 및 지속 사용 의도가 높아진다는 점, 5) 지속 사용 의도가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존 챗봇 인터랙션을 통한 의인화, 친밀도, 관계 형성, 사용성 등 개별적인 요소에 기반한 사용자 경험 평가 연구에서 더 나아가, 친밀도, 상호작용성, 신뢰도, 지속 사용 의도, 만족도 등의 요소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증명 및 관계성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정보 제공 상황을 가정한 연구를 통해, 추후 다양한 형태와 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대화형 인공지능 시스템 설계 및 개발에 필요한 요소 및 관계, 중요도를 제시하고 있다.
최근 정보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플랫폼 역시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생태계 변화는 언론 수용 측면에서도 기존 방식에서 메신저와 같은 플랫폼으로 그 수요가 이동하도록 만들었다. 챗봇은 대부분 텍스트로 된 대화형 인터랙션을 사용하기 때문에 메신저와의 결합이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챗봇을 통해 뉴스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챗봇 App을 활용하여 챗봇이 가진 대화형 인터랙션의 수준에 따른 사용자 경험 평가를 실시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정보 제공 상황이라는 조건 하에 챗봇의 인터랙션을 평가하는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 제공 상황을 뉴스 기사를 구독하는 상황으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사전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독립 변인을 상호작용성과 친밀도로 설정하였고, 이를 뉴스 기사 구독 챗봇 내의 인터랙션으로 반영하여 구현하였다. 피실험자는 인터랙션의 유형에 따른 챗봇을 사용해보고, 실험의 종속 변인인 신뢰도, 지속 사용 의도,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실험은 오프라인으로 인터랙션 유형에 따른 챗봇을 모두 테스팅 한 뒤, 온라인 설문 평가를 통해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실험 결과, 1) 상호작용성이 높을수록 신뢰도 및 지속 사용 의도가 높아진다는 점, 2) 친밀도가 높을수록 지속 사용 의도가 높아진다는 점, 3) 친밀도가 낮을수록 신뢰도는 높아진다는 점과 더불어, 시스템의 4) 신뢰도가 높아질수록 만족도 및 지속 사용 의도가 높아진다는 점, 5) 지속 사용 의도가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존 챗봇 인터랙션을 통한 의인화, 친밀도, 관계 형성, 사용성 등 개별적인 요소에 기반한 사용자 경험 평가 연구에서 더 나아가, 친밀도, 상호작용성, 신뢰도, 지속 사용 의도, 만족도 등의 요소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증명 및 관계성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정보 제공 상황을 가정한 연구를 통해, 추후 다양한 형태와 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대화형 인공지능 시스템 설계 및 개발에 필요한 요소 및 관계, 중요도를 제시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with the variety of information available, platforms that can receive information have also become increasingly diverse. The ecological changes have led to the use of the media as a messenger-like platform, rather than a conventional one. Since chatbots mostly use conversational int...
In recent years, with the variety of information available, platforms that can receive information have also become increasingly diverse. The ecological changes have led to the use of the media as a messenger-like platform, rather than a conventional one. Since chatbots mostly use conversational interaction in text, their combination with instant messaging is very useful. This research utilizes chatbot apps that can receive news information through these chatbots. In addition, we change the level of conversational interaction that Chatbot has, and conduct user experience evaluation. In previous studies,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to evaluate the interaction of chatbots under the condition of information provis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formation delivery status was set up to be a news item subscription situation. We have established interaction and intimacy as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preliminary findings. In addition, we have implemented this as an interaction within the news article subscription chatbot. The subjects used chatbot depending on the type of interaction. Then, they evaluated the dependent variables; reliability,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Chatbot testing according to the type of interaction was conducted offline, and the survey assessment was conducted offline. The experiment found that 1) The higher the interaction, the higher the reliability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2) The higher the level of intimacy, the higher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3) The lower the level of intimacy, the higher the reliability. 4) The higher the reliabilit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5) The higher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thehigher th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were developed in existing user experience assessment studies. This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has empirically demonstrated and elicited relationships among factors such as intimacy, interactivity, reliability,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assumption of information provision. We present the elements, relationships and importance needed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chatbot, which provides information on various forms and topics in the future.
In recent years, with the variety of information available, platforms that can receive information have also become increasingly diverse. The ecological changes have led to the use of the media as a messenger-like platform, rather than a conventional one. Since chatbots mostly use conversational interaction in text, their combination with instant messaging is very useful. This research utilizes chatbot apps that can receive news information through these chatbots. In addition, we change the level of conversational interaction that Chatbot has, and conduct user experience evaluation. In previous studies,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to evaluate the interaction of chatbots under the condition of information provis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formation delivery status was set up to be a news item subscription situation. We have established interaction and intimacy as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preliminary findings. In addition, we have implemented this as an interaction within the news article subscription chatbot. The subjects used chatbot depending on the type of interaction. Then, they evaluated the dependent variables; reliability,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Chatbot testing according to the type of interaction was conducted offline, and the survey assessment was conducted offline. The experiment found that 1) The higher the interaction, the higher the reliability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2) The higher the level of intimacy, the higher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3) The lower the level of intimacy, the higher the reliability. 4) The higher the reliabilit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5) The higher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thehigher th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were developed in existing user experience assessment studies. This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has empirically demonstrated and elicited relationships among factors such as intimacy, interactivity, reliability,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assumption of information provision. We present the elements, relationships and importance needed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chatbot, which provides information on various forms and topics in the future.
Keyword
#대화형 인터랙션 챗봇 상호작용성 친밀도 신뢰도 지속 사용 의도 사용자 경험 Chatbot Conversational Interaction Interactivity Intimacy Reliability Continuous Use Intention User Experience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재중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산업공학과
지도교수
지용구
발행연도
2019
총페이지
vi, 54장
키워드
대화형 인터랙션 챗봇 상호작용성 친밀도 신뢰도 지속 사용 의도 사용자 경험 Chatbot Conversational Interaction Interactivity Intimacy Reliability Continuous Use Intention User Experien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