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지식재산권 담보 활성화를 위한 방안 고찰:담보권자의 입장에서 A Study on the Vitalization of the Security f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From the Perspective of Security Rights Holders원문보기
지식재산은 인간의 지적 창작의 결과물로서 무형의 자산이다. 지식재산권은 지식재산을 창출한 자에게 일정한 기간 동안 부여한 독점적 권리로서 발명과 창작활동을 장려하여 사회적 후생을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도화되었다. 지식기반 사회에 접어들어 지식재산이 창출하는 부가가치가 증가하고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인식되면서 지식재산의 활용 방안을 확대하기 위한 논의가 제...
지식재산은 인간의 지적 창작의 결과물로서 무형의 자산이다. 지식재산권은 지식재산을 창출한 자에게 일정한 기간 동안 부여한 독점적 권리로서 발명과 창작활동을 장려하여 사회적 후생을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도화되었다. 지식기반 사회에 접어들어 지식재산이 창출하는 부가가치가 증가하고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인식되면서 지식재산의 활용 방안을 확대하기 위한 논의가 제기되었다. 그중에서도 정부는 부동산과 기계와 같은 유형자산이 부족하지만 우수한 지식재산을 보유한 중소 벤처기업들이 사업자금 대출 시 담보의 수단으로 지식재산을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그러나 각종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금융기관에서는 여전히 물적담보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지식재산권 담보권자의 권리 보호가 물적 담보권자 대비 취약하여 안정성을 중시하는 금융기관의 입장에서 지식재산권 담보제도는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지식재산권 담보방법으로는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질권제도이며 그 외에 공장 및 광업재단 저당법에 의한 저당권, 동산ㆍ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상 지식재산권담보권, 양도담보, 가등기담보제도가 있으나 실제 이용은 저조하다. 현행 지식재산권 담보를 규율하는 법은 유형자산을 목적으로 한 물권법을 대부분 준용하여 무형자산인 지식재산권 고유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지식재산권 담보권자의 권리행사에 제약이 되는 현행 제도들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담보권자의 권리를 보다 강화한다면 지식재산권 담보제도의 자율적인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이며 이는 자금 조달 수단을 다양화하여 지식기반 중소 벤처기업들의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금융기관에는 부동산 담보대출에 치중된 관행을 탈피하여 잠재적 가치가 높은 지식재산을 기반으로 한 금융기법을 창출함으로써 수익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지식재산은 인간의 지적 창작의 결과물로서 무형의 자산이다. 지식재산권은 지식재산을 창출한 자에게 일정한 기간 동안 부여한 독점적 권리로서 발명과 창작활동을 장려하여 사회적 후생을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도화되었다. 지식기반 사회에 접어들어 지식재산이 창출하는 부가가치가 증가하고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인식되면서 지식재산의 활용 방안을 확대하기 위한 논의가 제기되었다. 그중에서도 정부는 부동산과 기계와 같은 유형자산이 부족하지만 우수한 지식재산을 보유한 중소 벤처기업들이 사업자금 대출 시 담보의 수단으로 지식재산을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그러나 각종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금융기관에서는 여전히 물적담보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지식재산권 담보권자의 권리 보호가 물적 담보권자 대비 취약하여 안정성을 중시하는 금융기관의 입장에서 지식재산권 담보제도는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지식재산권 담보방법으로는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질권제도이며 그 외에 공장 및 광업재단 저당법에 의한 저당권, 동산ㆍ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상 지식재산권담보권, 양도담보, 가등기담보제도가 있으나 실제 이용은 저조하다. 현행 지식재산권 담보를 규율하는 법은 유형자산을 목적으로 한 물권법을 대부분 준용하여 무형자산인 지식재산권 고유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지식재산권 담보권자의 권리행사에 제약이 되는 현행 제도들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담보권자의 권리를 보다 강화한다면 지식재산권 담보제도의 자율적인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이며 이는 자금 조달 수단을 다양화하여 지식기반 중소 벤처기업들의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금융기관에는 부동산 담보대출에 치중된 관행을 탈피하여 잠재적 가치가 높은 지식재산을 기반으로 한 금융기법을 창출함으로써 수익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The Intellectual Property(IP) is a type of intangible asset which is produced through intellectual activities of human beings.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s exclusively bestowed, for certain period, upon a person who creates the IP. The purpose of this system is to stimulate invention, creation...
The Intellectual Property(IP) is a type of intangible asset which is produced through intellectual activities of human beings.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s exclusively bestowed, for certain period, upon a person who creates the IP. The purpose of this system is to stimulate invention, creation, and thereby, increase social welfare. As the economic value of IP increases overtime in knowledge-based society, there are rising debates on ‘how to expand the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mong various methods, Korean government has actively promoted us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s collateral to obtain commercial loans to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that do not have sufficient material assets such as real estates and equipments, but possess solid IP right. However, despite the presence of numerous government policies supports to vitalize the security f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inancial sector prefers tangible assets over intangible assets as collateral in business loans. Why is it the case? In part, it is due to the fact the rights of lenders, who accept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s collateral are relatively vulnerable compared to those who obtain tangible assets as collateral. Given such circumstance, lenders such as banks, which prioritize minimizing the risk, hesitate to accept intellectual property right from companies as collateral for business loans to them. In South Korea, pledge is the most widely used way to secure loans with IP. Also, occasionally, the security systems such as – 1) mortgage under ‘Factory and Mining Assets Mortgage Act’, 2) Security Interests i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under ‘Act on security over movable property, claims, etc’, 3) security by means of transfer, 4) provisionally registered security – are also considered to us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s collateral. However, I find applying ‘Property law’ which is fundamentally grounded on tangible property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 highly problematic, because it fails to ful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IP as an intangible asset. Based on such background, I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system and identify the factor that hinders lenders from exercising its IP rights upon collateral. If the rights of lenders on IP collateral get enhanced, it will increase the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s collateral. As a consequence, I believe that it will promote growth of innovative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relying on knowledge-based product and services by providing them with more opportunities to garner business loans from banks. In addition, it may enable banking sector to break away from over reliance on collateral based on real estates and to diversify its loaning methods to IP, which has sound potential for high profits.
The Intellectual Property(IP) is a type of intangible asset which is produced through intellectual activities of human beings.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s exclusively bestowed, for certain period, upon a person who creates the IP. The purpose of this system is to stimulate invention, creation, and thereby, increase social welfare. As the economic value of IP increases overtime in knowledge-based society, there are rising debates on ‘how to expand the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mong various methods, Korean government has actively promoted us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s collateral to obtain commercial loans to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that do not have sufficient material assets such as real estates and equipments, but possess solid IP right. However, despite the presence of numerous government policies supports to vitalize the security f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inancial sector prefers tangible assets over intangible assets as collateral in business loans. Why is it the case? In part, it is due to the fact the rights of lenders, who accept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s collateral are relatively vulnerable compared to those who obtain tangible assets as collateral. Given such circumstance, lenders such as banks, which prioritize minimizing the risk, hesitate to accept intellectual property right from companies as collateral for business loans to them. In South Korea, pledge is the most widely used way to secure loans with IP. Also, occasionally, the security systems such as – 1) mortgage under ‘Factory and Mining Assets Mortgage Act’, 2) Security Interests i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under ‘Act on security over movable property, claims, etc’, 3) security by means of transfer, 4) provisionally registered security – are also considered to us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s collateral. However, I find applying ‘Property law’ which is fundamentally grounded on tangible property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 highly problematic, because it fails to ful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IP as an intangible asset. Based on such background, I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system and identify the factor that hinders lenders from exercising its IP rights upon collateral. If the rights of lenders on IP collateral get enhanced, it will increase the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s collateral. As a consequence, I believe that it will promote growth of innovative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relying on knowledge-based product and services by providing them with more opportunities to garner business loans from banks. In addition, it may enable banking sector to break away from over reliance on collateral based on real estates and to diversify its loaning methods to IP, which has sound potential for high profits.
Keyword
#지식재산권 담보 질권 물상대위 과실 공유 특허권 Intellectual Property Right collateralization pledge rights of lenders subrogation legal fructus co-owned patent
학위논문 정보
저자
우혜진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지식재산권법무전공
지도교수
나종갑
발행연도
2019
총페이지
ⅴ, 77p.
키워드
지식재산권 담보 질권 물상대위 과실 공유 특허권 Intellectual Property Right collateralization pledge rights of lenders subrogation legal fructus co-owned pat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