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치면세균막 관리방법 및 임플란트 지대주 크기에 따른 치은연하 치면세균막 제거효과 Removal Effectiveness of Subgingival Dental Plaque according to the Type of Plaque Control Methods by Different Implant Abutment Size원문보기
목적: 임플란트 지대주의 크기와 잇솔질 및 구강위생용품 사용 유형에 따른 치은연하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를 비교·평가하여 임플란트의 효율적 관리를 통한 구강건강관리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법: 임플란트를 식립한 치주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작한 모형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직경 3종(∅4.5, ∅5.5, ∅6.5)과 높이 2종(3.5 mm, 5.5 mm)을 조합한 총 6종 임플란트 지대주의 모든 면에 Occlude 파우더(Pascal Co., USA)를 사용하여 치면세균막을 실험적으로 조성하였다.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는 2가지 잇솔질(회전법, 바스법)과 3가지 구강위생용품(치실, 치간칫솔, 구강세정기)의 사용 특성(잇솔질은 미세모, 일반모, 치간칫솔은 ...
목적: 임플란트 지대주의 크기와 잇솔질 및 구강위생용품 사용 유형에 따른 치은연하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를 비교·평가하여 임플란트의 효율적 관리를 통한 구강건강관리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법: 임플란트를 식립한 치주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작한 모형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직경 3종(∅4.5, ∅5.5, ∅6.5)과 높이 2종(3.5 mm, 5.5 mm)을 조합한 총 6종 임플란트 지대주의 모든 면에 Occlude 파우더(Pascal Co., USA)를 사용하여 치면세균막을 실험적으로 조성하였다.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는 2가지 잇솔질(회전법, 바스법)과 3가지 구강위생용품(치실, 치간칫솔, 구강세정기)의 사용 특성(잇솔질은 미세모, 일반모, 치간칫솔은 SS, S, M사이즈 사용) 및 사용 방법(치간칫솔은 0도, 45도, 구강세정기는 0도, 30도, 60도 적용)과 임플란트 지대주 크기에 따라 임플란트 지대주의 8개 방향에서 각 5회씩 제거된 파우더 깊이를 버니어캘리퍼스(Ex-power, Korea)로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통계분석은 MedCalc 프로그램(ver. 19.0)을 사용하여 Mann-Whitney test와 Kruskal-Wallis test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인제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면제 절차를 통과하였다(INJE NON2018-012).
결과: 치은연하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는 지대주 직경 ∅4.5, 높이 3.5 mm에서 설측은 미세모 바스법이 가장 컸고, 설측 외의 모든 방향에서는 치간칫솔 M사이즈 45도 적용이 가장 컸다. 지대주 직경 ∅5.5, 높이 3.5 mm와 직경 ∅6.5, 높이 3.5 mm 에서는 모든 방향에서 치실이 가장 컸다. 결론: 임플란트 지대주의 직경과 높이에 따라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지대주 직경 ∅4.5, 높이 3.5 mm에서는 미세모를 사용한 바스법 잇솔질과 치간칫솔 M사이즈 45도 각도 병행 사용을, 지대주 직경 ∅5.5 높이 3.5 mm, 직경 ∅6.5 높이 3.5 mm에서는 치실 사용을 권장한다. 효율적인 임플란트 지대주 치은연하 치면세균막 제거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치과의료기관 방문을 통한 전문가 위생관리가 반드시 필요하겠으며, 치은연하 치면세균막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도구 개발에도 노력하여야 한다.
목적: 임플란트 지대주의 크기와 잇솔질 및 구강위생용품 사용 유형에 따른 치은연하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를 비교·평가하여 임플란트의 효율적 관리를 통한 구강건강관리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법: 임플란트를 식립한 치주 환경과 동일하도록 제작한 모형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직경 3종(∅4.5, ∅5.5, ∅6.5)과 높이 2종(3.5 mm, 5.5 mm)을 조합한 총 6종 임플란트 지대주의 모든 면에 Occlude 파우더(Pascal Co., USA)를 사용하여 치면세균막을 실험적으로 조성하였다.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는 2가지 잇솔질(회전법, 바스법)과 3가지 구강위생용품(치실, 치간칫솔, 구강세정기)의 사용 특성(잇솔질은 미세모, 일반모, 치간칫솔은 SS, S, M사이즈 사용) 및 사용 방법(치간칫솔은 0도, 45도, 구강세정기는 0도, 30도, 60도 적용)과 임플란트 지대주 크기에 따라 임플란트 지대주의 8개 방향에서 각 5회씩 제거된 파우더 깊이를 버니어 캘리퍼스(Ex-power, Korea)로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통계분석은 MedCalc 프로그램(ver. 19.0)을 사용하여 Mann-Whitney test와 Kruskal-Wallis test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인제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면제 절차를 통과하였다(INJE NON2018-012).
결과: 치은연하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는 지대주 직경 ∅4.5, 높이 3.5 mm에서 설측은 미세모 바스법이 가장 컸고, 설측 외의 모든 방향에서는 치간칫솔 M사이즈 45도 적용이 가장 컸다. 지대주 직경 ∅5.5, 높이 3.5 mm와 직경 ∅6.5, 높이 3.5 mm 에서는 모든 방향에서 치실이 가장 컸다. 결론: 임플란트 지대주의 직경과 높이에 따라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지대주 직경 ∅4.5, 높이 3.5 mm에서는 미세모를 사용한 바스법 잇솔질과 치간칫솔 M사이즈 45도 각도 병행 사용을, 지대주 직경 ∅5.5 높이 3.5 mm, 직경 ∅6.5 높이 3.5 mm에서는 치실 사용을 권장한다. 효율적인 임플란트 지대주 치은연하 치면세균막 제거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치과의료기관 방문을 통한 전문가 위생관리가 반드시 필요하겠으며, 치은연하 치면세균막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도구 개발에도 노력하여야 한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ist oral health care promotion with efficient implant care through evaluating the effect of subgingival dental plaque removal of implant abutment by the types of toothbrushing and oral hygienic devices (OHD) application.
Methods: An experimenta...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ist oral health care promotion with efficient implant care through evaluating the effect of subgingival dental plaque removal of implant abutment by the types of toothbrushing and oral hygienic devices (OHD) application.
Methods: An experimental study conducted using the model prepared as similar dento-gingival environment when the implant set. The dental plaque made experimentally on the six phenotypes of implant abutment with diameters ∅4.5, ∅5.5, ∅6.5, and gingiva height (G/H) 3.5 mm, 5.5 mm using the occlude powder (Pascal Co., USA). Effect of the dental plaque removal was evaluated as removal depth of the powder using vernier caliper(Ex-power, Korea) for the eight sites of the abutment with every five times measurements and by the plaque control methods;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application (size, strength, angle) of toothbrushing (rolling and Bass' method) and OHD (dental floss, interdental brush, water pick).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MedCalc program (ver. 19.0) with Mann-Whitney test and Kruskal-Wallis test. This study was approved by Inje University IRB (INJE NON2018-012). Results: Effect of the dental plaque removal was the highest in the mesial site when used Bass' method with fine brush hair, instead, it was the highest when used M size interdental toothbrush with 45 degree in the all other sites. In case of the abutment diameter ∅5.5, G/H 3.5 mm and diameter ∅6.5 and G/H 3.5 mm, dental floss was most effective at the all eight sites.
Conclusion: Effects of the dental plaque removal were identified different by diameter and G/H of the implant abutment. For effective removal of the plaque, adequate and paralleled use of toothbrushing and OHD, and regular visit and take care from the dental clinics strongly recommended. In addition, efforts to develop the OHD that can more effectively remove the plaque would be needed.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ist oral health care promotion with efficient implant care through evaluating the effect of subgingival dental plaque removal of implant abutment by the types of toothbrushing and oral hygienic devices (OHD) application.
Methods: An experimental study conducted using the model prepared as similar dento-gingival environment when the implant set. The dental plaque made experimentally on the six phenotypes of implant abutment with diameters ∅4.5, ∅5.5, ∅6.5, and gingiva height (G/H) 3.5 mm, 5.5 mm using the occlude powder (Pascal Co., USA). Effect of the dental plaque removal was evaluated as removal depth of the powder using vernier caliper(Ex-power, Korea) for the eight sites of the abutment with every five times measurements and by the plaque control methods;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application (size, strength, angle) of toothbrushing (rolling and Bass' method) and OHD (dental floss, interdental brush, water pick).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MedCalc program (ver. 19.0) with Mann-Whitney test and Kruskal-Wallis test. This study was approved by Inje University IRB (INJE NON2018-012). Results: Effect of the dental plaque removal was the highest in the mesial site when used Bass' method with fine brush hair, instead, it was the highest when used M size interdental toothbrush with 45 degree in the all other sites. In case of the abutment diameter ∅5.5, G/H 3.5 mm and diameter ∅6.5 and G/H 3.5 mm, dental floss was most effective at the all eight sites.
Conclusion: Effects of the dental plaque removal were identified different by diameter and G/H of the implant abutment. For effective removal of the plaque, adequate and paralleled use of toothbrushing and OHD, and regular visit and take care from the dental clinics strongly recommended. In addition, efforts to develop the OHD that can more effectively remove the plaque would be need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