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의 경제 상황은 제대군인들의 재취업이 더욱 어려워지는 여건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제대군인들의 원활한 사회복귀를 위해서 제대군인들에 대한 자영업 창업지원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기존 논문에서 주장한 일반적으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소로 알려진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결혼상태),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롤모델), 인적 자본(교육 및 경험), 재정자원(보유자산, 연금 등) 등이 자영업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제대군인들의 군 복무 경험 특성(근무기간, 근무환경(지역), 계급(신분), 군인연금, 병과 구분 등)이 자영업 창업의도(Entrepreneurial ...
최근 우리의 경제 상황은 제대군인들의 재취업이 더욱 어려워지는 여건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제대군인들의 원활한 사회복귀를 위해서 제대군인들에 대한 자영업 창업지원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기존 논문에서 주장한 일반적으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소로 알려진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결혼상태),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롤모델), 인적 자본(교육 및 경험), 재정자원(보유자산, 연금 등) 등이 자영업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제대군인들의 군 복무 경험 특성(근무기간, 근무환경(지역), 계급(신분), 군인연금, 병과 구분 등)이 자영업 창업의도(Entrepreneurial Intention)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개인적 특성과 군 경험 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존 논문자료, 관련 도서, 연구기관 자료 등의 문헌 분석을 하였다. 설문지를 활용한 직접설문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실증적 연구방법으로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대군인들의 자영업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은 롤모델과 인지된 바람직함, 그리고 근무환경(근무지역)으로 분석되었으며, 군인들은 주위의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인들은 재정적인 여유가 생기더라도 창업을 선택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제대군인들이 창업을 준비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은 창업자금과 창업정보의 부족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군 경력은 창업 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의견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군에서 받은 교육도 창업 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다. 연구결과 군에서의 창업교육 방법의 개선과 복무 중 창업교육의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연구결과를 볼 때 창업 경험과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교육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과 정보가 부족한 군인들에게 창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관심을 높여 나갈 수 있는 정책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 국방전직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창업 관련 교육을 전직교육기간 뿐만 아니라 평소 복무기간 중에도 확대함으로써 군인들의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방전직교육원에서 교육 중인 제대예정 군인 356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군 경험 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 결과, 최근 제대군인의 사회정착과 적응문제가 중요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제대군인들의 원활한 사회복귀를 위해 현재 재취업 위주로 실시되고 있는 전직 지원정책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창업분야의 지원을 확대하고 현재 전직 교육기간에 일부 인원에게만 제공되는 창업 관련 교육을 확대하여 평소 복무기간 중에도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대적으로 창업교육의 기회가 제한되는 격오지 근무 군인들에게 원격교육 등을 통해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준다.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대군인 창업 지원정책의 개선과 더불어 향후 제대군인들에 대한 전직 지원정책을 발전시켜 나가는 데 그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우리의 경제 상황은 제대군인들의 재취업이 더욱 어려워지는 여건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제대군인들의 원활한 사회복귀를 위해서 제대군인들에 대한 자영업 창업지원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기존 논문에서 주장한 일반적으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소로 알려진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결혼상태),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롤모델), 인적 자본(교육 및 경험), 재정자원(보유자산, 연금 등) 등이 자영업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제대군인들의 군 복무 경험 특성(근무기간, 근무환경(지역), 계급(신분), 군인연금, 병과 구분 등)이 자영업 창업의도(Entrepreneurial Intention)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개인적 특성과 군 경험 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존 논문자료, 관련 도서, 연구기관 자료 등의 문헌 분석을 하였다. 설문지를 활용한 직접설문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실증적 연구방법으로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대군인들의 자영업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은 롤모델과 인지된 바람직함, 그리고 근무환경(근무지역)으로 분석되었으며, 군인들은 주위의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인들은 재정적인 여유가 생기더라도 창업을 선택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제대군인들이 창업을 준비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은 창업자금과 창업정보의 부족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군 경력은 창업 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의견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군에서 받은 교육도 창업 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다. 연구결과 군에서의 창업교육 방법의 개선과 복무 중 창업교육의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연구결과를 볼 때 창업 경험과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교육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과 정보가 부족한 군인들에게 창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관심을 높여 나갈 수 있는 정책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 국방전직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창업 관련 교육을 전직교육기간 뿐만 아니라 평소 복무기간 중에도 확대함으로써 군인들의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방전직교육원에서 교육 중인 제대예정 군인 356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군 경험 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 결과, 최근 제대군인의 사회정착과 적응문제가 중요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제대군인들의 원활한 사회복귀를 위해 현재 재취업 위주로 실시되고 있는 전직 지원정책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창업분야의 지원을 확대하고 현재 전직 교육기간에 일부 인원에게만 제공되는 창업 관련 교육을 확대하여 평소 복무기간 중에도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대적으로 창업교육의 기회가 제한되는 격오지 근무 군인들에게 원격교육 등을 통해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준다.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대군인 창업 지원정책의 개선과 더불어 향후 제대군인들에 대한 전직 지원정책을 발전시켜 나가는 데 그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military service experience on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Hypotheses were developed based on extant literature and tested using the data collected by surveys to retiring officers and NCOs. The conclusion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military service experience on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Hypotheses were developed based on extant literature and tested using the data collected by surveys to retiring officers and NCO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voluntary self-employment intention are role model, perceived desirability, and working environment. Second, the biggest difficulty in preparing to start a self-employed business is the lack of founding capital and entrepreneurial information. Third, the respondents believe that military career is not helpful in starting a business. Fourth, there were many negative perceptions that the education and training from the military does not help the self-employment. As a result, it is believed that improvement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in the military and expansion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during service are required. Especially, the education focusing on self-employed entrepreneurship should be improved. It is recommendable that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now being carried out by the Military Outplacement Training Institute should be extended not only during the outplacement period but also the normal service period, thereby increasing the intention of the military offic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military service experience on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Hypotheses were developed based on extant literature and tested using the data collected by surveys to retiring officers and NCO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voluntary self-employment intention are role model, perceived desirability, and working environment. Second, the biggest difficulty in preparing to start a self-employed business is the lack of founding capital and entrepreneurial information. Third, the respondents believe that military career is not helpful in starting a business. Fourth, there were many negative perceptions that the education and training from the military does not help the self-employment. As a result, it is believed that improvement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in the military and expansion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during service are required. Especially, the education focusing on self-employed entrepreneurship should be improved. It is recommendable that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now being carried out by the Military Outplacement Training Institute should be extended not only during the outplacement period but also the normal service period, thereby increasing the intention of the military officia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