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딥러닝을 필두로 인공지능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자동 작곡 또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근래에는 신경망을 많이 활용하지만 딥러닝이 대두되기 전에는 진화연산을 이용한 자동 작곡도 많이 연구되었다. 그 중 특히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자동 작곡 또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근래에는 신경망을 많이 활용하지만 딥러닝이 대두되기 전에는 진화연산을 이용한 자동 작곡도 많이 연구되었다. 그 중 특히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동 작곡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되었는데, 이러한 진화연산 계열의 자동 작곡 연구들이 공통적으로 부딪힌 어려움은 음악의 적합도를 계산하는 일이였다. 음악의 적합도를 측정할 수 없으면 어떤 음악이 좋은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좋은 음악을 만들 수 없으므로 사람이 직접 적합도를 측정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적합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기계학습 모델은 좋은 곡으로 분류된 학습 데이터들로부터 지정된 특징을 학습하고, 평가하는 음악이 학습된 좋은 음악의 특징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수치로 나타낸다.
음악은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생성한다. 음표들을 고정길이 염색체(chromosome)로 표현한 보통의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동 작곡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가변길이 염색체로 표현하였다. 이는 음표의 시퀀스에서 좋은 부분들을 잘 보존하기 위하여 사용한 기하학적 교차연산(geometric crossover)이 가변길이의 염색체를 대상으로 잘 동작하기 때문이다. 이후 변이, 선택, 대치 등의 연산을 수행하면서 세대가 증가함에 따라 모집단(population)의 적합도가 높아져 기하학적 교차연산이 음악을 대상으로 훌륭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적합도가 높아질수록 점점 안정적이고 듣기 좋은 음악이 만들어짐을 대중에게 평가 받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결과적으로 음악의 적합도가 높을수록 대중들이 더 좋은 음악으로 평가하는 것을 확인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적합도 함수가 적절하게 설계됨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사람이 직접 적합도를 입력해야 좋은 음악이 나왔던 이전의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한 자동작곡 연구들과 비교할 때 생산성도 매우 좋아졌고, 적합도의 판단 기준도 명확해져 학습 데이터에 따라 다양한 음악을 생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
A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becomes active with deep running, many studies on algorithmic composition is also receiving much attention. In recent years, neural networks have been extensively used. However, before deep learning emerged, a lot of algorithmic composition using evolutionary ...
#유전 음악 작곡 기계학습;
저자 | 남용욱 |
---|---|
학위수여기관 | 광운대학교 대학원 |
학위구분 | 국내박사 |
학과 | 컴퓨터과학과 |
지도교수 | 김용혁 |
발행년도 | 2019 |
키워드 | 유전 음악 작곡 기계학습 |
언어 | kor |
원문 URL | http://www.riss.kr/link?id=T15414102&outLink=K |
정보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