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으로서 보디빌딩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도핑 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소인 도핑 태도, 신체 만족도, 인지된 약물 사용의 위험을 바탕으로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도핑 태도와 도핑 의도 간의 관계에서 인지된 약물 사용의 위험과 신체 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보디빌딩 운동에 규칙적으로 참여하거나 보디빌딩 시합에 참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280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으로서 보디빌딩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도핑 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소인 도핑 태도, 신체 만족도, 인지된 약물 사용의 위험을 바탕으로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도핑 태도와 도핑 의도 간의 관계에서 인지된 약물 사용의 위험과 신체 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보디빌딩 운동에 규칙적으로 참여하거나 보디빌딩 시합에 참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280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 통계, 왜도, 첨도, 신뢰도 검사,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형 검증, 구조모형 검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도핑 태도는 도핑 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이는 도핑에 관대한 태도를 가질수록 시합 상황에서 약물 사용을 할 의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도핑 태도는 신체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도핑에 관대하다고 신체에 만족하는 정도가 달라지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도핑 태도는 인지된 약물 사용의 위험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도핑에 관대할수록 약물 사용이 위험하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넷째, 신체 만족은 도핑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신체에 만족하는 정도와 도핑 의도는 무관한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인지된 약물 사용의 위험은 도핑의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약물 사용이 위험하다고 생각할수록 도핑을 할 의도는 적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신체 만족은 도핑 태도와 도핑 의도 사이에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곱째, 인지된 약물 사용의 위험은 도핑 태도와 도핑 의도 사이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그동안 도핑 의도를 예측하는 요소 중 인지된 약물 사용의 위험이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약물 사용의 위험성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신체 만족도는 사회적 바람직성과 같은 편향성이 개입하는 척도이므로 좀 더 다양한 측면에서의 신체 만족도의 측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으로서 보디빌딩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도핑 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소인 도핑 태도, 신체 만족도, 인지된 약물 사용의 위험을 바탕으로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도핑 태도와 도핑 의도 간의 관계에서 인지된 약물 사용의 위험과 신체 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보디빌딩 운동에 규칙적으로 참여하거나 보디빌딩 시합에 참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280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 통계, 왜도, 첨도, 신뢰도 검사,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형 검증, 구조모형 검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도핑 태도는 도핑 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이는 도핑에 관대한 태도를 가질수록 시합 상황에서 약물 사용을 할 의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도핑 태도는 신체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도핑에 관대하다고 신체에 만족하는 정도가 달라지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도핑 태도는 인지된 약물 사용의 위험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도핑에 관대할수록 약물 사용이 위험하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넷째, 신체 만족은 도핑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신체에 만족하는 정도와 도핑 의도는 무관한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인지된 약물 사용의 위험은 도핑의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약물 사용이 위험하다고 생각할수록 도핑을 할 의도는 적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신체 만족은 도핑 태도와 도핑 의도 사이에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곱째, 인지된 약물 사용의 위험은 도핑 태도와 도핑 의도 사이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그동안 도핑 의도를 예측하는 요소 중 인지된 약물 사용의 위험이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약물 사용의 위험성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신체 만족도는 사회적 바람직성과 같은 편향성이 개입하는 척도이므로 좀 더 다양한 측면에서의 신체 만족도의 측정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building participants’ doping attitude, risk perception and body satisfaction factors that can predict their doping intent and to verify the medial effects of risk perception and body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op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building participants’ doping attitude, risk perception and body satisfaction factors that can predict their doping intent and to verify the medial effects of risk perception and body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oping attitude and doping intent. The study was conducted on participants who regularly participated in the bodybuilding as physical activity, and a total of 280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4.0 and AMOS 23.0 programs,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latitude, peak, reliability testing,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verification,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and parametric effectiveness verification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doping attitud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oping intent, which means that the more lenient the attitude toward doping, the more intent is to use drugs in competing situations. Second, doping attitud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ody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being tolerant of doping does not change the degree to satisfied with their body. Third, doping attitud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risk perception. In other words, the more lenient about the drug, the less dangerous perceived it was to use the drug. Fourth, body satisfaction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oping intent. This means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body and the degree of doping are irrelevant. Fifth, risk awareness had a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doping intent. This means that the more they perceive the drug use is dangerous, the less they intend to do so. Sixth, body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no mediating effect between doping attitudes and doping intent. Seventh, risk perception has been shown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doping attitude and doping intent.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risk percep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dicting doping intent and suggest the need for education on the dangers of drug use. In addition, body satisfaction is a measure of bias, such as social desirability. Therefore, body satisfaction measurements from various aspects will b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building participants’ doping attitude, risk perception and body satisfaction factors that can predict their doping intent and to verify the medial effects of risk perception and body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oping attitude and doping intent. The study was conducted on participants who regularly participated in the bodybuilding as physical activity, and a total of 280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4.0 and AMOS 23.0 programs,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latitude, peak, reliability testing,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verification,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and parametric effectiveness verification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doping attitud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oping intent, which means that the more lenient the attitude toward doping, the more intent is to use drugs in competing situations. Second, doping attitud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ody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being tolerant of doping does not change the degree to satisfied with their body. Third, doping attitud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risk perception. In other words, the more lenient about the drug, the less dangerous perceived it was to use the drug. Fourth, body satisfaction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oping intent. This means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body and the degree of doping are irrelevant. Fifth, risk awareness had a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doping intent. This means that the more they perceive the drug use is dangerous, the less they intend to do so. Sixth, body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no mediating effect between doping attitudes and doping intent. Seventh, risk perception has been shown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doping attitude and doping intent.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risk percep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dicting doping intent and suggest the need for education on the dangers of drug use. In addition, body satisfaction is a measure of bias, such as social desirability. Therefore, body satisfaction measurements from various aspects will be requir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