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의 미디어는 학습자들이 인생을 살아가는 모든 시간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할 수 있을 만큼 그 영향력이 매우 크다. 특히 현재 중학생의 경우 영·유아기 때부터 이미 스마트폰이나 PC등을 수시로 접하며 그들이 자라나는 과정에서 미디어를 통한 학습이 가치관이나 사고에 큰 영향력을 미쳤을 것이다. 이런 학습자들의 환경을 고려해보았을 때 그들이 생활 속에서 접하는 시각이미지들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적절하게 활용하는 능력이 앞으로도 더욱 중요시될 것이며 이러한 현실태를 반영한 시각적 문해력 교육이 필요하다. 많은 학자들이 시각적...
현대사회의 미디어는 학습자들이 인생을 살아가는 모든 시간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할 수 있을 만큼 그 영향력이 매우 크다. 특히 현재 중학생의 경우 영·유아기 때부터 이미 스마트폰이나 PC등을 수시로 접하며 그들이 자라나는 과정에서 미디어를 통한 학습이 가치관이나 사고에 큰 영향력을 미쳤을 것이다. 이런 학습자들의 환경을 고려해보았을 때 그들이 생활 속에서 접하는 시각이미지들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적절하게 활용하는 능력이 앞으로도 더욱 중요시될 것이며 이러한 현실태를 반영한 시각적 문해력 교육이 필요하다. 많은 학자들이 시각적 문해력에 대한 연구를 하였지만, 연구자가 수업에 적용하고자 하는 랜드하와의 시각적 문해력 3요소는 시각적 이미지에 접근, 분석, 평가 그리고 소통이라는 순환적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어 시각적 문해력이 학습자 자신의 내적 측면과 아울러 타인과의 상호작용까지도 이루어지게 하므로 다른 학자들과 차이점이 있으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시각문화 미술교육에서는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시각환경들이 학습자의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력에 주목하고 있는데 이것은 현대사회의 자연스러운 흐름이며 앞으로도 더 중요하게 인식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방법은 학습자들이 애청하는 유튜브라는 매체를 활용한 수업이다. 이미 학습자들의 삶 깊이 들어와 있는 유튜브라는 매체를 통한 수업은 학습자들이 늘 접하는 환경에서의 시각이미지기 때문에 거부감이 없고 수업 밖의 일상생활에서도 자연스럽게 적용할 수 있다. 평소 학습자들이 즐겨보는 유튜브의 한 뮤직비디오를 감상하고 이를 통한 시각적 문해력 수업을 자연스럽게 전개한다면 꼭 수업시간이 아니더라도 학습을 하고자 하는 마음가짐이 없더라도 자연스럽게 학습자들이 비판적으로 시각 이미지를 수용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습자의 삶과 교육이 연결되는 것이다. 기존 교과서의 활동이나 단원에서 제시하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학습자가 학습을 한다는 인식을 해야만 그 활동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수업이 끝난 후 그들의 직접적인 삶과는 연결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연구자의 수업은 학습 같지 않은 형태의 수업을 제시하고자 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삶과 자연스러운 연결을 최대한 유도하려 했다는 것에 다른 활동과 차별점이 있다.
이처럼 연구자의 수업을 활용한다면 시각문화 미술수업이 삶과 직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중학생의 시각적 문해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학습의 매개로 유튜브 영상을 활용해 시각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 수업을 설계하여 시각적 문해력 향상에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며 수업이 끝난 후에도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학습자들이 흥미를 끌 수 있는 학습을 촉진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현대사회의 미디어는 학습자들이 인생을 살아가는 모든 시간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할 수 있을 만큼 그 영향력이 매우 크다. 특히 현재 중학생의 경우 영·유아기 때부터 이미 스마트폰이나 PC등을 수시로 접하며 그들이 자라나는 과정에서 미디어를 통한 학습이 가치관이나 사고에 큰 영향력을 미쳤을 것이다. 이런 학습자들의 환경을 고려해보았을 때 그들이 생활 속에서 접하는 시각이미지들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적절하게 활용하는 능력이 앞으로도 더욱 중요시될 것이며 이러한 현실태를 반영한 시각적 문해력 교육이 필요하다. 많은 학자들이 시각적 문해력에 대한 연구를 하였지만, 연구자가 수업에 적용하고자 하는 랜드하와의 시각적 문해력 3요소는 시각적 이미지에 접근, 분석, 평가 그리고 소통이라는 순환적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어 시각적 문해력이 학습자 자신의 내적 측면과 아울러 타인과의 상호작용까지도 이루어지게 하므로 다른 학자들과 차이점이 있으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시각문화 미술교육에서는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시각환경들이 학습자의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력에 주목하고 있는데 이것은 현대사회의 자연스러운 흐름이며 앞으로도 더 중요하게 인식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방법은 학습자들이 애청하는 유튜브라는 매체를 활용한 수업이다. 이미 학습자들의 삶 깊이 들어와 있는 유튜브라는 매체를 통한 수업은 학습자들이 늘 접하는 환경에서의 시각이미지기 때문에 거부감이 없고 수업 밖의 일상생활에서도 자연스럽게 적용할 수 있다. 평소 학습자들이 즐겨보는 유튜브의 한 뮤직비디오를 감상하고 이를 통한 시각적 문해력 수업을 자연스럽게 전개한다면 꼭 수업시간이 아니더라도 학습을 하고자 하는 마음가짐이 없더라도 자연스럽게 학습자들이 비판적으로 시각 이미지를 수용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습자의 삶과 교육이 연결되는 것이다. 기존 교과서의 활동이나 단원에서 제시하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학습자가 학습을 한다는 인식을 해야만 그 활동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수업이 끝난 후 그들의 직접적인 삶과는 연결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연구자의 수업은 학습 같지 않은 형태의 수업을 제시하고자 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삶과 자연스러운 연결을 최대한 유도하려 했다는 것에 다른 활동과 차별점이 있다.
이처럼 연구자의 수업을 활용한다면 시각문화 미술수업이 삶과 직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중학생의 시각적 문해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학습의 매개로 유튜브 영상을 활용해 시각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 수업을 설계하여 시각적 문해력 향상에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며 수업이 끝난 후에도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학습자들이 흥미를 끌 수 있는 학습을 촉진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media in modern society is so influential that it can also be said that learners affect all the time while they live their lives. In particular, middle school students have already been exposed to smartphones and PCs from infancy and early childhood, and learning through the media may have had a...
The media in modern society is so influential that it can also be said that learners affect all the time while they live their lives. In particular, middle school students have already been exposed to smartphones and PCs from infancy and early childhood, and learning through the media may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values and thoughts as they grow up. Considering these learners' environments, the ability to critically accept and appropriately utilize the meanings of visual images they encounter in their daily lives will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and visual literacy education that reflects this reality is needed. Eventhough many scholars have studied visual literacy, Randhawa's three elements of visual literacy with that the researchers want to apply to the class consist of a cyclical process of access to visual images, analysis, evaluation, and communication, which makes it different and important from other scholars because visual literacy allows interaction with others as well as the learner's own inner aspects. Today VCAE(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s paying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visual environments on learners' values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a, which is a natural trend in modern society and will be recognized more importantly in the future. Th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Youtube, which learners love. Studying via Youtube, which are already deeply embedded in learners' life, can be applied naturally in daily life and outside the class because of the visual image in the environment that learners always exposed to. If students watch a music video on Youtube and naturally develop a visual literacy through it, it is meaningful in that they can naturally develop their ability to accept and interpret visual images critically, even if they do not have the desire to study even if it is not during the class. The ultimate purpose of research is to connect the life and education of learners. The activities of existing textbooks or the VCAE presented in the unit were difficult to connect with their direct life after the class because the activities were carried out only when the learners recognized that they were learning.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from other activities in that the researcher's class tried to induce a natural connection with the life of the learners as much as possible by trying to present a non-learning-like form of class. By using the researchers' classes, VCAE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visual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directly linking them to their lif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design classes from the perspective of VCAE by using Youtube videos as a medium of learning, and to develop meaningful results in improving visual literacy, and to promote learning that the students can use in their real life after the class and to attract interest from the learners.
The media in modern society is so influential that it can also be said that learners affect all the time while they live their lives. In particular, middle school students have already been exposed to smartphones and PCs from infancy and early childhood, and learning through the media may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values and thoughts as they grow up. Considering these learners' environments, the ability to critically accept and appropriately utilize the meanings of visual images they encounter in their daily lives will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and visual literacy education that reflects this reality is needed. Eventhough many scholars have studied visual literacy, Randhawa's three elements of visual literacy with that the researchers want to apply to the class consist of a cyclical process of access to visual images, analysis, evaluation, and communication, which makes it different and important from other scholars because visual literacy allows interaction with others as well as the learner's own inner aspects. Today VCAE(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s paying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visual environments on learners' values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a, which is a natural trend in modern society and will be recognized more importantly in the future. Th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Youtube, which learners love. Studying via Youtube, which are already deeply embedded in learners' life, can be applied naturally in daily life and outside the class because of the visual image in the environment that learners always exposed to. If students watch a music video on Youtube and naturally develop a visual literacy through it, it is meaningful in that they can naturally develop their ability to accept and interpret visual images critically, even if they do not have the desire to study even if it is not during the class. The ultimate purpose of research is to connect the life and education of learners. The activities of existing textbooks or the VCAE presented in the unit were difficult to connect with their direct life after the class because the activities were carried out only when the learners recognized that they were learning.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from other activities in that the researcher's class tried to induce a natural connection with the life of the learners as much as possible by trying to present a non-learning-like form of class. By using the researchers' classes, VCAE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visual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directly linking them to their lif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design classes from the perspective of VCAE by using Youtube videos as a medium of learning, and to develop meaningful results in improving visual literacy, and to promote learning that the students can use in their real life after the class and to attract interest from the learners.
Keyword
#VCAE 시각적 문해력 비카르 랜드하와 시각적 문해력 3요소 시각적 사고 시각적 학습 시각적 의사소통 시각문화 미술교육 visual literacy Bikkar S. Randhawa visual trinity visual learning visual thinking visual communi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