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고령화가 점점 심화되며 한국은 2020년 노인 인구가 총 인구의 15.7퍼센트를 차지하는 초 고령화사회로 접어들었다. 이에 따라 노인환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 비율이 계속 증가될 것으로 여겨진다. 근골격 이완제는 근골격계 질환을 치료하는데 널리 쓰이고 있는 약물군이다. 노인환자들은 노화에 따라 약물의 체내 흡수,분포가 달라지며, 동반질환의 영향으로 다약물복용이 흔하여 이에 따라 이상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이에 한국의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근골격 이완제의 처방 현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는 비어스 기준(...
인구 고령화가 점점 심화되며 한국은 2020년 노인 인구가 총 인구의 15.7퍼센트를 차지하는 초 고령화사회로 접어들었다. 이에 따라 노인환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 비율이 계속 증가될 것으로 여겨진다. 근골격 이완제는 근골격계 질환을 치료하는데 널리 쓰이고 있는 약물군이다. 노인환자들은 노화에 따라 약물의 체내 흡수,분포가 달라지며, 동반질환의 영향으로 다약물복용이 흔하여 이에 따라 이상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이에 한국의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근골격 이완제의 처방 현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는 비어스 기준(Beers criteria)에 실린 노인 처방주의 의약품 중 한 종류인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 처방 현황을 확인하고,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 처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부적절한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의 처방은 졸음, 착란, 낙상 등의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는 노인에게 주의하여 처방하여야 하는 약물이다. 본 연구에서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는 비어스 기준을 참고하여 다음의 6가지 약물, 카리소프로돌(Carisoprodol), 클로르족사존(chlorzoxazone), 시클로벤자프린(cyclobenzaprine), 메탁살론(metaxalone), 메토카르바몰(methocarbamol), 오르페나드린(orphenadrine)으로 정의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요양급여비용 심사청구자료의 환자표본자료인 고령환자데이터셋(HIRA-APS) 2016년, 2017년 그리고 2018년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혹은 그 이상의 노인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처방 요인 분석은 SAS 9.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p value가 0.05 이하이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요소로 판단하였다. 3년간 2,633,896명의 노인 환자 중 약 5 퍼센트인 131,708명의 노인 환자가 적어도 한번의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를 처방받았다. 가장 많이 처방된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는 오르페나드린이었다(77.95%).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가 가장 많이 처방된 의료기관 종류는 1차 병원이며, 가장 많이 처방된 지역은 지방이었다. 모든 처방건의 72.66 퍼센트가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의 적응증에 맞게 처방이 되었으며,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의 항콜린작용으로 인해 처방에 주의가 필요한 질환에 처방된 건은 전체 처방건의 0.13 퍼센트였다.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의 처방에 영향을 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는 성별, 의료기관 타입, 지역 그리고 동반질환지수였다. 또한 의료기관 타입이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 두 번 이상 처방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전 연령 대상으로 근골격 이완제 처방의 트렌드를 확인한 미국의 선행연구에서는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의 처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것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노인환자 대상으로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의 처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처방이 1차 병원 및 지방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1차 병원 및 지방에서는 더욱 조심히 SMR을 처방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노인 환자와 1차 병원의 임상의들을 대상으로 중추작용 근골격이완제의 올바른 처방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한국 노인환자들의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 처방에 대한 현주소를 보여주고, 앞으로의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 처방 주의에 대한 환기의 역할을 하기를 바란다.
인구 고령화가 점점 심화되며 한국은 2020년 노인 인구가 총 인구의 15.7퍼센트를 차지하는 초 고령화사회로 접어들었다. 이에 따라 노인환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 비율이 계속 증가될 것으로 여겨진다. 근골격 이완제는 근골격계 질환을 치료하는데 널리 쓰이고 있는 약물군이다. 노인환자들은 노화에 따라 약물의 체내 흡수,분포가 달라지며, 동반질환의 영향으로 다약물복용이 흔하여 이에 따라 이상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이에 한국의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근골격 이완제의 처방 현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는 비어스 기준(Beers criteria)에 실린 노인 처방주의 의약품 중 한 종류인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 처방 현황을 확인하고,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 처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부적절한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의 처방은 졸음, 착란, 낙상 등의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는 노인에게 주의하여 처방하여야 하는 약물이다. 본 연구에서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는 비어스 기준을 참고하여 다음의 6가지 약물, 카리소프로돌(Carisoprodol), 클로르족사존(chlorzoxazone), 시클로벤자프린(cyclobenzaprine), 메탁살론(metaxalone), 메토카르바몰(methocarbamol), 오르페나드린(orphenadrine)으로 정의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요양급여비용 심사청구자료의 환자표본자료인 고령환자데이터셋(HIRA-APS) 2016년, 2017년 그리고 2018년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혹은 그 이상의 노인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처방 요인 분석은 SAS 9.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p value가 0.05 이하이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요소로 판단하였다. 3년간 2,633,896명의 노인 환자 중 약 5 퍼센트인 131,708명의 노인 환자가 적어도 한번의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를 처방받았다. 가장 많이 처방된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는 오르페나드린이었다(77.95%).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가 가장 많이 처방된 의료기관 종류는 1차 병원이며, 가장 많이 처방된 지역은 지방이었다. 모든 처방건의 72.66 퍼센트가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의 적응증에 맞게 처방이 되었으며,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의 항콜린작용으로 인해 처방에 주의가 필요한 질환에 처방된 건은 전체 처방건의 0.13 퍼센트였다.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의 처방에 영향을 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는 성별, 의료기관 타입, 지역 그리고 동반질환지수였다. 또한 의료기관 타입이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 두 번 이상 처방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전 연령 대상으로 근골격 이완제 처방의 트렌드를 확인한 미국의 선행연구에서는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의 처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것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노인환자 대상으로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의 처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처방이 1차 병원 및 지방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1차 병원 및 지방에서는 더욱 조심히 SMR을 처방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노인 환자와 1차 병원의 임상의들을 대상으로 중추작용 근골격이완제의 올바른 처방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한국 노인환자들의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 처방에 대한 현주소를 보여주고, 앞으로의 중추작용 근골격 이완제 처방 주의에 대한 환기의 역할을 하기를 바란다.
With the aging of the population intensifying, Korea has entered an ultra-aging society with the elderly population accounting for 15.7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in 2020.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rat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mong elderly patients will continue to increase. Skele...
With the aging of the population intensifying, Korea has entered an ultra-aging society with the elderly population accounting for 15.7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in 2020.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rat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mong elderly patients will continue to increase. Skeletal muscle relaxants are widely used in treating musculoskeletal conditions. In elderly patients, the absorption and distribution of drugs in the body changes with age, and polypharmacy is common due to comorbid diseases, which increases the likelihood of adverse events. Therefor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elderly patients when prescribing medicines. So, we need to review the drug utilization pattern of SMR for the elderly patients in Korea, as inadequate prescription of SMR can lead to adverse events including drowsiness, confusion, and fa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the centrally acting skeletal muscle relaxants (SMR) prescription.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escription of SMR will be also analyzed. In this study, SMR were defined as the following 6 drugs with reference to the Beers criteria: Carisoprodol, chlorzoxazone, cyclobenzaprine, metaxalone, methocarbamol and orphenadrine. We used Korea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Aged Patient Sample (HIRA-APS) in 2016, 2017 and 2018. The study population are geriatric out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of the SAS 9.3 program.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8, it is observed that out of total 2,633,896 elderly patients, 131,708 elderly patients (5.00%) received at least 1 SMR prescription. The total number of SMR prescription was 447,076 of which orphenadrine prescriptions accounted for 77.95%. Methocarbamol was followed with 19.65% and cyclobenzaprine was 2.40%. Out of 447,076, 1-time SMR prescription accounted for 44.11%. SMRs were most frequently prescribed in primary care setting and were relatively frequently prescribed in rural areas. 72.66% of total prescription has diagnostic code for disease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connective tissue. Only 0.13% of prescription has diagnostic code for the disease which SMR should be cautiously prescribed due to potential anticholinergic adverse even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prescription of SMR were gender, medical institution type, region, and Charlson comorbidity index. In addition, the type of medical institution was identified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prescription of the SMR more than twice. Unlike previous study in the United States that confirmed that SMR use has been increasing rapidly between 2005 and 2016, This study confirmed that Korea’s SMR use of elderly patients gradually decreasing over time. However, since most of the prescriptions are made in primary care setting and rural area, we still need to cautiously prescribe SMR at primary care setting and in the rural area. Education to patients and physician can be given regarding how to appropriately use SMR including precautions after SMR administration to prevent potential harm.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further review of SMR utilization in Korea.
With the aging of the population intensifying, Korea has entered an ultra-aging society with the elderly population accounting for 15.7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in 2020.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rat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mong elderly patients will continue to increase. Skeletal muscle relaxants are widely used in treating musculoskeletal conditions. In elderly patients, the absorption and distribution of drugs in the body changes with age, and polypharmacy is common due to comorbid diseases, which increases the likelihood of adverse events. Therefor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elderly patients when prescribing medicines. So, we need to review the drug utilization pattern of SMR for the elderly patients in Korea, as inadequate prescription of SMR can lead to adverse events including drowsiness, confusion, and fa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the centrally acting skeletal muscle relaxants (SMR) prescription.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escription of SMR will be also analyzed. In this study, SMR were defined as the following 6 drugs with reference to the Beers criteria: Carisoprodol, chlorzoxazone, cyclobenzaprine, metaxalone, methocarbamol and orphenadrine. We used Korea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Aged Patient Sample (HIRA-APS) in 2016, 2017 and 2018. The study population are geriatric out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of the SAS 9.3 program.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8, it is observed that out of total 2,633,896 elderly patients, 131,708 elderly patients (5.00%) received at least 1 SMR prescription. The total number of SMR prescription was 447,076 of which orphenadrine prescriptions accounted for 77.95%. Methocarbamol was followed with 19.65% and cyclobenzaprine was 2.40%. Out of 447,076, 1-time SMR prescription accounted for 44.11%. SMRs were most frequently prescribed in primary care setting and were relatively frequently prescribed in rural areas. 72.66% of total prescription has diagnostic code for disease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connective tissue. Only 0.13% of prescription has diagnostic code for the disease which SMR should be cautiously prescribed due to potential anticholinergic adverse even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prescription of SMR were gender, medical institution type, region, and Charlson comorbidity index. In addition, the type of medical institution was identified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prescription of the SMR more than twice. Unlike previous study in the United States that confirmed that SMR use has been increasing rapidly between 2005 and 2016, This study confirmed that Korea’s SMR use of elderly patients gradually decreasing over time. However, since most of the prescriptions are made in primary care setting and rural area, we still need to cautiously prescribe SMR at primary care setting and in the rural area. Education to patients and physician can be given regarding how to appropriately use SMR including precautions after SMR administration to prevent potential harm.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further review of SMR utilization in Kore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