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테트라티아풀바렌을 포함하는 디스크형태의 액정 분자 구조를 설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말단에 싸이올기를 함유한 반응성 액정 단량체 ((2,2'-binaphtho(2,3-d)(1,3)dithiolylidene)-4,4',9,9'-tetrayl tetrakis (10-mercaptodecanoate), TTF-SH)를 널리 알려진 유기 합성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반응성 액정 단량체들의 화학구조와 순도는 프로톤 ...
본 연구에서는 테트라티아풀바렌을 포함하는 디스크형태의 액정 분자 구조를 설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말단에 싸이올기를 함유한 반응성 액정 단량체 ((2,2'-binaphtho(2,3-d)(1,3)dithiolylidene)-4,4',9,9'-tetrayl tetrakis (10-mercaptodecanoate), TTF-SH)를 널리 알려진 유기 합성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반응성 액정 단량체들의 화학구조와 순도는 프로톤핵자기 공명 분광법과 카본-13 핵자기 공명 분광법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을 이용하여 확인 하였고, 분자들의 열적 특성과 상전이 거동은 편광 광학현미경 (polarized optical microscopy, POM), 시차주사식 열량측정법 (differential scanningcalorimetry, DSC), 열 중량 분석법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X-선 회절법을 통해 규명하였다. TTF-SH는 열 중합법을 이용하여 다이설파이드 그룹을 갖는 형상 기억 고분자 필름 형태로 제작 되었다.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을 통해 다이설파이드의 형성을 확인 하였고, 동적 기계 분석기 (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 를 이용하여 필름의 유리전이 온도를 확인하고 형상 기억 효과를 증명하였다. 필름의 열전도 특성은 핫 디스크 열전도 측정법 (transient plane source technique, TPS 500S) 를 통해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테트라티아풀바렌을 포함하는 디스크형태의 액정 분자 구조를 설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말단에 싸이올기를 함유한 반응성 액정 단량체 ((2,2'-binaphtho(2,3-d)(1,3)dithiolylidene)-4,4',9,9'-tetrayl tetrakis (10-mercaptodecanoate), TTF-SH)를 널리 알려진 유기 합성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반응성 액정 단량체들의 화학구조와 순도는 프로톤 핵자기 공명 분광법과 카본-13 핵자기 공명 분광법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을 이용하여 확인 하였고, 분자들의 열적 특성과 상전이 거동은 편광 광학현미경 (polarized optical microscopy, POM), 시차주사식 열량측정법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열 중량 분석법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X-선 회절법을 통해 규명하였다. TTF-SH는 열 중합법을 이용하여 다이설파이드 그룹을 갖는 형상 기억 고분자 필름 형태로 제작 되었다.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을 통해 다이설파이드의 형성을 확인 하였고, 동적 기계 분석기 (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 를 이용하여 필름의 유리전이 온도를 확인하고 형상 기억 효과를 증명하였다. 필름의 열전도 특성은 핫 디스크 열전도 측정법 (transient plane source technique, TPS 500S) 를 통해서 평가하였다.
Tetrathifulvalene-based disk-type reactive mesogen with thiol function group ((2,2'-binaphtho(2,3-d)(1,3)dithiolylidene)-4,4',9,9'-tetrayl tetrakis(10-mercaptodea noate), TTF-SH) was designed and synthesized using well-known organic synthesis methods. The chemical structure and purity of the synthes...
Tetrathifulvalene-based disk-type reactive mesogen with thiol function group ((2,2'-binaphtho(2,3-d)(1,3)dithiolylidene)-4,4',9,9'-tetrayl tetrakis(10-mercaptodea noate), TTF-SH) was designed and synthesized using well-known organic synthesis methods. The chemical structure and purity of the synthesized reactive mesogen were verified by the proton (1H) and carbon-13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The thermal properties and phase transition behavior of molecules were also confirmed using polarized optical microscopy (POM),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X-ray diffraction analysis (XRD). And then, tetrathiafulvalene-based shape memory polymer was produced through thermal polymerization. The polymerization of molecules was verifi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olymer was confirmed using thermomechanical analyzer (TMA), 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 The shape memory effect was demonstrated through the controlled mode of DMA, and thermal conductivity of the polymer was evaluated by the transient plane source technology (TPS 500S).
Tetrathifulvalene-based disk-type reactive mesogen with thiol function group ((2,2'-binaphtho(2,3-d)(1,3)dithiolylidene)-4,4',9,9'-tetrayl tetrakis(10-mercaptodea noate), TTF-SH) was designed and synthesized using well-known organic synthesis methods. The chemical structure and purity of the synthesized reactive mesogen were verified by the proton (1H) and carbon-13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The thermal properties and phase transition behavior of molecules were also confirmed using polarized optical microscopy (POM),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X-ray diffraction analysis (XRD). And then, tetrathiafulvalene-based shape memory polymer was produced through thermal polymerization. The polymerization of molecules was verifi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olymer was confirmed using thermomechanical analyzer (TMA), 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 The shape memory effect was demonstrated through the controlled mode of DMA, and thermal conductivity of the polymer was evaluated by the transient plane source technology (TPS 500S).
Keyword
#reactive mesogen thermal polymerization shape memory polymer thermal conductivity 반응성 메조겐 열중합 형상 기억 고분자 열 전도도
학위논문 정보
저자
임민우
학위수여기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나노융합공학과
지도교수
정광운
발행연도
2021
총페이지
xi, 66 p.
키워드
reactive mesogen thermal polymerization shape memory polymer thermal conductivity 반응성 메조겐 열중합 형상 기억 고분자 열 전도도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