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는 집단미술치료과정에서 나타난 대학생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양상은 어떠한가이다. 연구 대상은 SNS 홍보를 통해 모집된 서울 및 기타지역에 소재하는 대학교 재학생 14명으로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에게만 실시된 집단미술치료는 2020년 6월 27부터 8월 12일까지 8주에 걸쳐 주 2회 90분씩, 총 11회기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용 다차원적 삶의 의미 척도(MMLS)와 심리적 안녕감 척도(PWBS)를 사용하였고 ...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는 집단미술치료과정에서 나타난 대학생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양상은 어떠한가이다. 연구 대상은 SNS 홍보를 통해 모집된 서울 및 기타지역에 소재하는 대학교 재학생 14명으로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에게만 실시된 집단미술치료는 2020년 6월 27부터 8월 12일까지 8주에 걸쳐 주 2회 90분씩, 총 11회기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용 다차원적 삶의 의미 척도(MMLS)와 심리적 안녕감 척도(PWBS)를 사용하였고 SPSS 25.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는데, 집단 간 동질성 검정을 위해 비모수 검정인 맨 휘트니의 U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효과성 검증을 위해 윌콕스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삶의 의미 및 심리적 안녕감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후로 대학생의 삶의 의미 척도의 통계량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삶의 의미 사전・사후검사 결과에서는 중요도 차원과 일치도 차원에서 평균이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후로 심리적 안녕감 척도의 통계량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척도의 사전・ 사후 검사에서 평균 점수는 증가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에서 심리적 안녕감 척도의 하위요인인 개인의 성장은 오히려 통계량에서 유의미하게 하락했으며 평균값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평균도 하락하였다. 그런데 집단미술치료과정에서 나타난 심리적인 변화를 질적으로 살펴보면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서의 긍정적 변화를 찾아볼 수 있는데 집단미술치료를 통해서 이전보다 자기 자신을 의미의 주체로써 자각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행동들이 많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 측면에서는 자기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받아들이고 공감적 태도를 바탕으로 하는 대인관계가 형성되었으며 자신의 기준에 따라 외부환경을 통제하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집단미술치료가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로써 집단미술치료가 사회적 적응이 중요한 대학생에게 의미 찾기와 안녕감 형성을 통해 자기 정체성 확립과 성장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는 집단미술치료과정에서 나타난 대학생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양상은 어떠한가이다. 연구 대상은 SNS 홍보를 통해 모집된 서울 및 기타지역에 소재하는 대학교 재학생 14명으로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에게만 실시된 집단미술치료는 2020년 6월 27부터 8월 12일까지 8주에 걸쳐 주 2회 90분씩, 총 11회기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용 다차원적 삶의 의미 척도(MMLS)와 심리적 안녕감 척도(PWBS)를 사용하였고 SPSS 25.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는데, 집단 간 동질성 검정을 위해 비모수 검정인 맨 휘트니의 U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효과성 검증을 위해 윌콕스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삶의 의미 및 심리적 안녕감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후로 대학생의 삶의 의미 척도의 통계량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삶의 의미 사전・사후검사 결과에서는 중요도 차원과 일치도 차원에서 평균이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후로 심리적 안녕감 척도의 통계량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척도의 사전・ 사후 검사에서 평균 점수는 증가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에서 심리적 안녕감 척도의 하위요인인 개인의 성장은 오히려 통계량에서 유의미하게 하락했으며 평균값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평균도 하락하였다. 그런데 집단미술치료과정에서 나타난 심리적인 변화를 질적으로 살펴보면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서의 긍정적 변화를 찾아볼 수 있는데 집단미술치료를 통해서 이전보다 자기 자신을 의미의 주체로써 자각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행동들이 많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 측면에서는 자기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받아들이고 공감적 태도를 바탕으로 하는 대인관계가 형성되었으며 자신의 기준에 따라 외부환경을 통제하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집단미술치료가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로써 집단미술치료가 사회적 적응이 중요한 대학생에게 의미 찾기와 안녕감 형성을 통해 자기 정체성 확립과 성장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out the meaning in life of group art therapy in university students and its effect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meaning in life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wha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out the meaning in life of group art therapy in university students and its effect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meaning in life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Third, what is the meaning in lif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change i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during group art therap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other regions recruited through SNS promotion, consisting of seven experiment groups and seven control groups. Group art therapy, conducted only by experimental groups,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90 minutes from June 27 to August 12, 2020. In this study, we used the Multidimensional meaning in Life Scale(MM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for university students and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5.0, which is a nonparametric test, the Man-Whitney U Test, for group homogeneity, and pre-validation of Wilanxcoilan effectiveness. Furthermore, the meaning of lif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emerged during group art therapy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s the case.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tatistics on the meaning in life of university students before and after group art therapy. However, the before and after results of the meaning in life showed that the average rose in terms of importance and consistency.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tatistics of psychological well-being before and after group art therapy. However, the average score increased during the before and after examination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other hand, individual growth, lower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factor in the control group, fell rather significant in statistic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mean value. The average also fell. However, if you look at the psychological changes in the process of group art therapy qualitatively, you can find positive changes in the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group art therapy, we can see that there have been more actions to realize and practice themselves as subjects of meaning than before. In addition, in terms of psychological well-being, we could see that we accepted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ourselves, formed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ased on a sympathetic attitude, and wanted to control the external environment according to our standards. The results show that group art therapy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meaning in life and the promo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It also suggests that group art therapy can help establish and grow self-identity through finding meaning and forming a sense of well-being for university students whose social adaptation is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out the meaning in life of group art therapy in university students and its effect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meaning in life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Third, what is the meaning in lif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change i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during group art therap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other regions recruited through SNS promotion, consisting of seven experiment groups and seven control groups. Group art therapy, conducted only by experimental groups,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90 minutes from June 27 to August 12, 2020. In this study, we used the Multidimensional meaning in Life Scale(MM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for university students and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5.0, which is a nonparametric test, the Man-Whitney U Test, for group homogeneity, and pre-validation of Wilanxcoilan effectiveness. Furthermore, the meaning of lif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emerged during group art therapy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s the case.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tatistics on the meaning in life of university students before and after group art therapy. However, the before and after results of the meaning in life showed that the average rose in terms of importance and consistency.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tatistics of psychological well-being before and after group art therapy. However, the average score increased during the before and after examination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other hand, individual growth, lower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factor in the control group, fell rather significant in statistic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mean value. The average also fell. However, if you look at the psychological changes in the process of group art therapy qualitatively, you can find positive changes in the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group art therapy, we can see that there have been more actions to realize and practice themselves as subjects of meaning than before. In addition, in terms of psychological well-being, we could see that we accepted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ourselves, formed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ased on a sympathetic attitude, and wanted to control the external environment according to our standards. The results show that group art therapy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meaning in life and the promo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It also suggests that group art therapy can help establish and grow self-identity through finding meaning and forming a sense of well-being for university students whose social adaptation is importa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