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생태하천복원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복원탄력성 평가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성남시 탄천을 중심으로 The Evaluation of Resilience of Prioritization of Ecological River Resilience : Focused on Tancheon, Seongnamsi, Gyeonggido원문보기
기존에 있던 많은 평가지표를 통하여 하천복원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하천복원 사업을 진행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복원탄력성을 평가하여 하천의 복원사업의 우선순위결정을 위한 복원탄력성 식을 만들고자 연구하였다. 또한, 시간의 경제성과 비용의 감소를 위하여 회귀분석을 통하여 복원탄력성간편을 만들고자 하였다. 복원탄력성 평가에 관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성남시 탄천 본류에 대해서 2016년부터 2019년 까지 분기별로 그리고 8개 지점에 대하여 생태하천복원사업 사후모니터링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2. 물리, 생태, 수질, 친수분야 별 30개 지표값에 대해서 표준화를 실시하였고 ...
기존에 있던 많은 평가지표를 통하여 하천복원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하천복원 사업을 진행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복원탄력성을 평가하여 하천의 복원사업의 우선순위결정을 위한 복원탄력성 식을 만들고자 연구하였다. 또한, 시간의 경제성과 비용의 감소를 위하여 회귀분석을 통하여 복원탄력성간편을 만들고자 하였다. 복원탄력성 평가에 관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성남시 탄천 본류에 대해서 2016년부터 2019년 까지 분기별로 그리고 8개 지점에 대하여 생태하천복원사업 사후모니터링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2. 물리, 생태, 수질, 친수분야 별 30개 지표값에 대해서 표준화를 실시하였고 요인분석의 주성분분석을 통하여 25개의 최종 지표를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25개 지표를 복원탄력성 값을 산정하기 위해 25개 지표에 대해 엔트로피 방법으로 가중치를 산정하여 복원탄력성 값을 산출하였다. 3. 탄천의 복원탄력성 값을 산출한 결과 W2, W4, W6, W8 지점의 복원탄력성 값이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며, W1, W3, W5, W7 지점의 복원탄력성 값은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이는 하천을 복원하며 자연2019년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W6 지점 15.361, W4 지점 15.452, W2 지점 15.456, W8 지점 15.652 순으로 복원탄력성 값이 높아졌으며 W3 지점 15.062, W7 지점 14.416, W5 지점 12.048, W1 지점 11.711 순으로 복원탄력성 값이 낮아졌다. 복원탄력성 값의 변화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향상된 지점의 차이 값은 W7 지점 1.441, W2 지점 1.168, W3 지점 1.097, W5 지점 0.875, W4 지점 0.796, W1 지점 0.566으로 차이 값이 높아졌고, 복원탄력성 값이 감소된 지점의 차이 값은 W8 지점 –1.01, W6 지점 –1.477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점별로의 차이는 기능성을 상실한 구조물을 제거하거나 개량하여 동물 및 물질의 흐름을 가능하도록 한 하천 복원의 목적이 큰 것으로 나타난다. 4. 시간의 경제성 및 비용적인 측면의 감소를 위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생태하천복원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복원탄력성간편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5. 복원탄력성 값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식을 도출하기 위해서, 종속변수는 복원탄력성 값으로 하였으며, 물리, 생태, 수질 및 친수분야 별 25개의 독립변수를 선정하고 상관분성에 의해 복원탄력성 값과 유의확률이 0.05 이상으로 상관성이 큰 17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그 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된 8개의 회귀식 중 회귀식의 선형성을 설명하는 결정계수값 Ad.R2이 0.720으로 가장 크고 공선성 값이 모두 10 이하인 식 8을 복원탄력성간편 회귀식으로 결정하였다. 복원탄력성간편 = 5.597×P2 + 14.615×P7 + 3.164×P8 + 25.511×FAI + 1.026×T.coli + 1.089×F.coli – 14.498×S4 + 0.612
기존에 있던 많은 평가지표를 통하여 하천복원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하천복원 사업을 진행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복원탄력성을 평가하여 하천의 복원사업의 우선순위결정을 위한 복원탄력성 식을 만들고자 연구하였다. 또한, 시간의 경제성과 비용의 감소를 위하여 회귀분석을 통하여 복원탄력성간편을 만들고자 하였다. 복원탄력성 평가에 관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성남시 탄천 본류에 대해서 2016년부터 2019년 까지 분기별로 그리고 8개 지점에 대하여 생태하천복원사업 사후모니터링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2. 물리, 생태, 수질, 친수분야 별 30개 지표값에 대해서 표준화를 실시하였고 요인분석의 주성분분석을 통하여 25개의 최종 지표를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25개 지표를 복원탄력성 값을 산정하기 위해 25개 지표에 대해 엔트로피 방법으로 가중치를 산정하여 복원탄력성 값을 산출하였다. 3. 탄천의 복원탄력성 값을 산출한 결과 W2, W4, W6, W8 지점의 복원탄력성 값이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며, W1, W3, W5, W7 지점의 복원탄력성 값은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이는 하천을 복원하며 자연2019년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W6 지점 15.361, W4 지점 15.452, W2 지점 15.456, W8 지점 15.652 순으로 복원탄력성 값이 높아졌으며 W3 지점 15.062, W7 지점 14.416, W5 지점 12.048, W1 지점 11.711 순으로 복원탄력성 값이 낮아졌다. 복원탄력성 값의 변화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향상된 지점의 차이 값은 W7 지점 1.441, W2 지점 1.168, W3 지점 1.097, W5 지점 0.875, W4 지점 0.796, W1 지점 0.566으로 차이 값이 높아졌고, 복원탄력성 값이 감소된 지점의 차이 값은 W8 지점 –1.01, W6 지점 –1.477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점별로의 차이는 기능성을 상실한 구조물을 제거하거나 개량하여 동물 및 물질의 흐름을 가능하도록 한 하천 복원의 목적이 큰 것으로 나타난다. 4. 시간의 경제성 및 비용적인 측면의 감소를 위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생태하천복원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복원탄력성간편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5. 복원탄력성 값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식을 도출하기 위해서, 종속변수는 복원탄력성 값으로 하였으며, 물리, 생태, 수질 및 친수분야 별 25개의 독립변수를 선정하고 상관분성에 의해 복원탄력성 값과 유의확률이 0.05 이상으로 상관성이 큰 17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그 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된 8개의 회귀식 중 회귀식의 선형성을 설명하는 결정계수값 Ad.R2이 0.720으로 가장 크고 공선성 값이 모두 10 이하인 식 8을 복원탄력성간편 회귀식으로 결정하였다. 복원탄력성간편 = 5.597×P2 + 14.615×P7 + 3.164×P8 + 25.511×FAI + 1.026×T.coli + 1.089×F.coli – 14.498×S4 + 0.61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