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취업지원담당자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Support Staff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재해 발생 위험에 노출된 장애인을 담당하는 취업지원담당자를 대상으로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는데 있다. 현재 비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보건교육은 있지만, 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보건교육은 따로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장애인 취업지원담당자의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고,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의 교육내용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알아봄으로써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취업지원담당자들의 인식을 알아본다. 둘째,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취업지원담당자들의 실태를 알아본다. 셋째,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 교육내용의 중요도를 알아본다. 이에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재해 발생 위험에 노출된 장애인을 담당하는 취업지원담당자를 대상으로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는데 있다. 현재 비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보건교육은 있지만, 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보건교육은 따로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장애인 취업지원담당자의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고,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의 교육내용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알아봄으로써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취업지원담당자들의 인식을 알아본다. 둘째,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취업지원담당자들의 실태를 알아본다. 셋째,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 교육내용의 중요도를 알아본다. 이에 영남권 지역의 장애인 복지관, 장애인 복지 관련 공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장애인 직업훈련기관에서 훈련경험이 있는 현장 전문가의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살펴보고 교육내용을 알아봄으로써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의 어려움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측정 도구는 부록의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설문지는 응답자 특성, 교육 인식 및 교육실태, 필수 교육영역 및 내용 구성의 3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박정식 외(2020)의 연구에서 사용했던 설문지의 내용을 근거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였고, 설문지의 미흡한 부분은 지도교수와 상의하에 수정하였다. 필수 교육영역 및 내용의 교육영역에서는 타당도와 중요도, 교육내용에서는 중요도를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타당도는 문항이 조사하는 내용을 얼마나 잘 반영하는가를 측정하는 것으로 타당도 있음과 없음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였고, 중요도는 해당 내용이 중요하다고 느끼는 정도에 따라 5점 리쿼트 척도로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총 156개이며, 이 중 결측치를 제외한 총 140개의 설문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통계 프로그램 IBM SPSS Statistics 25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적사항에 대해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사용한 척도들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내적일관성 평가 방법으로 Cronbach’s α 계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 대상자의 인적사항별 응답의 차이를 알기 위하여 교차분석(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넷째, 연구 대상자의 인적사항에 따른 척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취업지원담당자의 인식과 실태의 연구 결과를 통해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훈련생의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취업지원담당자들의 인식은 현장학습 연수 경험이 있거나 근무 기관이 장애인 복지 관련 공공기관일 때 필요성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다. 또한 산업안전보건교육 실행에 있어 어려움에 대해서는 교육 관련 인식의 이해가 부족하고, 교육실행을 위해 필요한 개선 사항으로는 교육 매뉴얼 개발이 가장 많다.
둘째, 산업안전보건교육 실태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20대, 40대, 50대 이상인 경우, 근무 기관이 장애인 복지 관련 공공기관인 경우, 소지 자격이 교원자격(특수), 직업훈련교사, 기타의 경우 산업안전보건교육을 더 많이 실행했다. 장애인 훈련생의 산업안전보건교육을 하지 않고 있는 취업지원담당자들은 교육 관련 인식 및 이해 부족과 교육환경 및 지원 부족, 교육자료 부족의 이유로 교육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셋째, 산업안전보건교육의 필수 교육영역별 중요도는 ‘산업안전 이해’에서는 안전점검 습관, 직장 내 위험요소, 안전사고 발생의 이유, 안전사고 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산업안전의 중요성과 필요성, 산업안전의 개념도 중요하다. ‘현장에서의 산업안전관리’ 문항에서는 위험한 장소와 작업, 작업 전 안전 확인과 준비, 작업 후 안전 관리와 정리가 평균보다 높았으며, 나머지 항목도 중요하다. ‘산업안전 사고대처’ 문항에서는 사고 시 발생 대처, 간단한 응급처치와 방법, 도움 요청 절차 및 산업안전을 위해 도움받는 곳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산업유형별 사고대처와 직장 내 위험 요소 개선 방법, 재해 사례와 대응 사례 또한 중요하다. ‘산업안전 분야별 예방’에서는 산업별 응급상황, 제조업 분야의 산업안전 예방대책, 서비스업 분야의 산업안전 예방대책, 기계·금속 분야의 산업안전 예방대책, 전기·전자·통신 분야의 산업안전 예방대책,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계도구설비의 사용’에서는 보호구의 착용 및 비상상황 대응, 위험한 도구, 유해·위험한 기계 기구에 대한 방호조치가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유해물질, 정기적인 건강검진, 지게차 사다리 및 크레인 작업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산업안전 이해의 중요도에 대한 차이는 연령대가 50대 이상인 경우 20대보다 산업안전 이해의 중요도가 더 높으며, 직업훈련교사 경력이 6~10년인 경우 없는 경우와 5년 이하인 경우보다, 현장학습 연수 경험이 있는 경우 없는 경우보다 산업안전 이해의 중요도가 더 높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을 위해 산업안전보건 전문가는 취업지원담당자들에게 교육 매뉴얼 개발, 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 실천을 위한 환경조성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이 연구의 대상이 영남권에 소재한 장애인 복지관, 장애인 복지 관련 공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추후 연구에서 전국적인 확대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 인식과 실태 연구를 통해서 장애인 맞춤형 산업안전보건교육 자료개발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재해 발생 위험에 노출된 장애인을 담당하는 취업지원담당자를 대상으로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는데 있다. 현재 비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보건교육은 있지만, 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보건교육은 따로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장애인 취업지원담당자의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고,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의 교육내용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알아봄으로써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취업지원담당자들의 인식을 알아본다. 둘째,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취업지원담당자들의 실태를 알아본다. 셋째,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 교육내용의 중요도를 알아본다. 이에 영남권 지역의 장애인 복지관, 장애인 복지 관련 공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장애인 직업훈련기관에서 훈련경험이 있는 현장 전문가의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살펴보고 교육내용을 알아봄으로써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의 어려움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측정 도구는 부록의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설문지는 응답자 특성, 교육 인식 및 교육실태, 필수 교육영역 및 내용 구성의 3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박정식 외(2020)의 연구에서 사용했던 설문지의 내용을 근거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였고, 설문지의 미흡한 부분은 지도교수와 상의하에 수정하였다. 필수 교육영역 및 내용의 교육영역에서는 타당도와 중요도, 교육내용에서는 중요도를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타당도는 문항이 조사하는 내용을 얼마나 잘 반영하는가를 측정하는 것으로 타당도 있음과 없음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였고, 중요도는 해당 내용이 중요하다고 느끼는 정도에 따라 5점 리쿼트 척도로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총 156개이며, 이 중 결측치를 제외한 총 140개의 설문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통계 프로그램 IBM SPSS Statistics 25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적사항에 대해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사용한 척도들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내적일관성 평가 방법으로 Cronbach’s α 계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 대상자의 인적사항별 응답의 차이를 알기 위하여 교차분석(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넷째, 연구 대상자의 인적사항에 따른 척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취업지원담당자의 인식과 실태의 연구 결과를 통해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훈련생의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취업지원담당자들의 인식은 현장학습 연수 경험이 있거나 근무 기관이 장애인 복지 관련 공공기관일 때 필요성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다. 또한 산업안전보건교육 실행에 있어 어려움에 대해서는 교육 관련 인식의 이해가 부족하고, 교육실행을 위해 필요한 개선 사항으로는 교육 매뉴얼 개발이 가장 많다.
둘째, 산업안전보건교육 실태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20대, 40대, 50대 이상인 경우, 근무 기관이 장애인 복지 관련 공공기관인 경우, 소지 자격이 교원자격(특수), 직업훈련교사, 기타의 경우 산업안전보건교육을 더 많이 실행했다. 장애인 훈련생의 산업안전보건교육을 하지 않고 있는 취업지원담당자들은 교육 관련 인식 및 이해 부족과 교육환경 및 지원 부족, 교육자료 부족의 이유로 교육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셋째, 산업안전보건교육의 필수 교육영역별 중요도는 ‘산업안전 이해’에서는 안전점검 습관, 직장 내 위험요소, 안전사고 발생의 이유, 안전사고 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산업안전의 중요성과 필요성, 산업안전의 개념도 중요하다. ‘현장에서의 산업안전관리’ 문항에서는 위험한 장소와 작업, 작업 전 안전 확인과 준비, 작업 후 안전 관리와 정리가 평균보다 높았으며, 나머지 항목도 중요하다. ‘산업안전 사고대처’ 문항에서는 사고 시 발생 대처, 간단한 응급처치와 방법, 도움 요청 절차 및 산업안전을 위해 도움받는 곳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산업유형별 사고대처와 직장 내 위험 요소 개선 방법, 재해 사례와 대응 사례 또한 중요하다. ‘산업안전 분야별 예방’에서는 산업별 응급상황, 제조업 분야의 산업안전 예방대책, 서비스업 분야의 산업안전 예방대책, 기계·금속 분야의 산업안전 예방대책, 전기·전자·통신 분야의 산업안전 예방대책,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계도구설비의 사용’에서는 보호구의 착용 및 비상상황 대응, 위험한 도구, 유해·위험한 기계 기구에 대한 방호조치가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유해물질, 정기적인 건강검진, 지게차 사다리 및 크레인 작업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산업안전 이해의 중요도에 대한 차이는 연령대가 50대 이상인 경우 20대보다 산업안전 이해의 중요도가 더 높으며, 직업훈련교사 경력이 6~10년인 경우 없는 경우와 5년 이하인 경우보다, 현장학습 연수 경험이 있는 경우 없는 경우보다 산업안전 이해의 중요도가 더 높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을 위해 산업안전보건 전문가는 취업지원담당자들에게 교육 매뉴얼 개발, 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 실천을 위한 환경조성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이 연구의 대상이 영남권에 소재한 장애인 복지관, 장애인 복지 관련 공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추후 연구에서 전국적인 확대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 산업안전보건교육 인식과 실태 연구를 통해서 장애인 맞춤형 산업안전보건교육 자료개발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plaining the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employment support staff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how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to provid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plaining the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employment support staff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how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to provid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nd out the perceptions of employment support staff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econd, investigate statu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ird, reveal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employment support staff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irst,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support staff abou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trainees with disabilities is more aware of the necessity when they have experience in field study training or their working organization is a public institution related to the welfare of the disabled.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education-related perceptions regarding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manuals is the most necessary improvement for education implementation. Second, i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men in their 20s, 40s and 50s or older than women, public institutions related to welfare for the disabled, and professional training teachers, and othe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were conducted. Employment support staff who do not provid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trainees with disabilities shall not provide education due to lack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education, lack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pport, and lack of educational materials. Third, the importanc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s higher than average in "Understanding Occupational Safety," including safety inspection habits, risks in the workplace, reasons for safety accidents, contents and methods of safety education. In the question "Occupational Safety Management in the Field," dangerous places and tasks, safety confirmation and preparation before work, safety management and arrangement after work were higher than average, and the rest of the items are important. In the "Occupational Safety Accident Response" question, it was higher than average to receive help for handling accidents, simple first aid and methods, procedures for asking for help, and occupational safety, how to deal with accidents by industry type, ways to improve risk factors in the workplace, and disaster cases and response cases are also important. In Prevention by Occupational Safety, matters concerning occupational emergency situations, occupational safety prevention measur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ccupational safety prevention measures in the mechanical and metal sectors, occupational safety prevention measures in the electrical, electronic and telecommunications sectors, and occupational accident insurance policies are important. Finally, in "Use of Mechanical Tool Facilities," protection measures against protective equipment, emergency response, dangerous tools, harmful and dangerous machinery were above average, and the rest of the training items were import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plaining the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employment support staff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how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to provid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nd out the perceptions of employment support staff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econd, investigate statu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ird, reveal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employment support staff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irst,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support staff abou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trainees with disabilities is more aware of the necessity when they have experience in field study training or their working organization is a public institution related to the welfare of the disabled.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education-related perceptions regarding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manuals is the most necessary improvement for education implementation. Second, i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men in their 20s, 40s and 50s or older than women, public institutions related to welfare for the disabled, and professional training teachers, and othe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were conducted. Employment support staff who do not provid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trainees with disabilities shall not provide education due to lack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education, lack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pport, and lack of educational materials. Third, the importanc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s higher than average in "Understanding Occupational Safety," including safety inspection habits, risks in the workplace, reasons for safety accidents, contents and methods of safety education. In the question "Occupational Safety Management in the Field," dangerous places and tasks, safety confirmation and preparation before work, safety management and arrangement after work were higher than average, and the rest of the items are important. In the "Occupational Safety Accident Response" question, it was higher than average to receive help for handling accidents, simple first aid and methods, procedures for asking for help, and occupational safety, how to deal with accidents by industry type, ways to improve risk factors in the workplace, and disaster cases and response cases are also important. In Prevention by Occupational Safety, matters concerning occupational emergency situations, occupational safety prevention measur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ccupational safety prevention measures in the mechanical and metal sectors, occupational safety prevention measures in the electrical, electronic and telecommunications sectors, and occupational accident insurance policies are important. Finally, in "Use of Mechanical Tool Facilities," protection measures against protective equipment, emergency response, dangerous tools, harmful and dangerous machinery were above average, and the rest of the training items were importa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