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청소년기에 경험한 아버지의 죽음이 성장과정과 성인기 삶에 미치는 영향 : van-Manen의 체험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father's death in adolescence on growing process and adult life : based on van-Manen's method for researching lived experience원문보기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아버지의 죽음은 청소년기 성장과정은 물론이고 성인기의 삶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기에 경험한 아버지의 죽음은 청소년기와 성인기를 포함하여 삶의 전체 과정에서 조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애과정 관점에서 청소년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성인의 경험에 드러난 아버지 죽음의 의미와 본질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청소년기에 아버지의 죽음을 경험한 성인 9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밴 매넌의 체험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고, ...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아버지의 죽음은 청소년기 성장과정은 물론이고 성인기의 삶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기에 경험한 아버지의 죽음은 청소년기와 성인기를 포함하여 삶의 전체 과정에서 조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애과정 관점에서 청소년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성인의 경험에 드러난 아버지 죽음의 의미와 본질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청소년기에 아버지의 죽음을 경험한 성인 9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밴 매넌의 체험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고, 자료분석 결과 청소년기에 아버지의 죽음을 겪은 성인의 경험은 247개의 개별주제, 50개의 드러난 주제, 20개의 본질적 주제로 나타났다. 이렇게 도출된 청소년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성인의 경험은 밴 매넌이 실존적 탐구의 길잡이로 제시했던 4개의 근본적 실존체(시간성, 몸성, 관계성, 공간성) 차원에서 재배열하였고,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기에 아버지의 죽음을 경험한 성인들의 개별적이면서 공통적인 아버지 죽음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한 어른아이 현상, 상실로 인한 강박, 무죄한 죄인이라는 인식과 스스로 떠맡은 과도한 책임, 아버지의 극복과 같은 길 가기, 침묵의 배려, 상실을 치유하는 자기 정화 의례, 시공을 초월하여 존재의 끈으로 연결된 아버지와 자녀의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생사학 차원에서의 실존적 애도를 위한 제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그리고 연구의 자기치유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아버지의 죽음은 청소년기 성장과정은 물론이고 성인기의 삶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기에 경험한 아버지의 죽음은 청소년기와 성인기를 포함하여 삶의 전체 과정에서 조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애과정 관점에서 청소년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성인의 경험에 드러난 아버지 죽음의 의미와 본질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청소년기에 아버지의 죽음을 경험한 성인 9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밴 매넌의 체험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고, 자료분석 결과 청소년기에 아버지의 죽음을 겪은 성인의 경험은 247개의 개별주제, 50개의 드러난 주제, 20개의 본질적 주제로 나타났다. 이렇게 도출된 청소년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성인의 경험은 밴 매넌이 실존적 탐구의 길잡이로 제시했던 4개의 근본적 실존체(시간성, 몸성, 관계성, 공간성) 차원에서 재배열하였고,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기에 아버지의 죽음을 경험한 성인들의 개별적이면서 공통적인 아버지 죽음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한 어른아이 현상, 상실로 인한 강박, 무죄한 죄인이라는 인식과 스스로 떠맡은 과도한 책임, 아버지의 극복과 같은 길 가기, 침묵의 배려, 상실을 치유하는 자기 정화 의례, 시공을 초월하여 존재의 끈으로 연결된 아버지와 자녀의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생사학 차원에서의 실존적 애도를 위한 제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그리고 연구의 자기치유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Father's death in adolescence may have an impact on not only growing process but also the life as an adult. Therefore, father's death in adolescence should be examined through one’s whole life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essence of fath...
Father's death in adolescence may have an impact on not only growing process but also the life as an adult. Therefore, father's death in adolescence should be examined through one’s whole life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essence of father's death which were revealed from experience of adults whose father died during their adolescenc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from nine participants who had undergone father's death during adolescence.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van-Manen′s method for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and 247 individual themes, 50 revealed themes, and 20 essential themes emerged. The findings were rearranged into four fundamental existentials of lived body, lived space, lived time, and lived human relation. The meaning and essence which were individual and common at the same time were revealed from each participant’s experience. Key findings such as adultized children, obsessive compulsion due to loss, recognition of innocent sinners and excessive responsibility, overcoming fathers and taking the same direction, consideration of silence, self-purification rituals for healing loss, and the meaning of fathers and children connected by strings of existence beyond time and space were discussed. Finally, the study suggested existential mourning based on life and death studies, followed by study limitations, further research, and significance of self-healing.
Father's death in adolescence may have an impact on not only growing process but also the life as an adult. Therefore, father's death in adolescence should be examined through one’s whole life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essence of father's death which were revealed from experience of adults whose father died during their adolescenc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from nine participants who had undergone father's death during adolescence.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van-Manen′s method for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and 247 individual themes, 50 revealed themes, and 20 essential themes emerged. The findings were rearranged into four fundamental existentials of lived body, lived space, lived time, and lived human relation. The meaning and essence which were individual and common at the same time were revealed from each participant’s experience. Key findings such as adultized children, obsessive compulsion due to loss, recognition of innocent sinners and excessive responsibility, overcoming fathers and taking the same direction, consideration of silence, self-purification rituals for healing loss, and the meaning of fathers and children connected by strings of existence beyond time and space were discussed. Finally, the study suggested existential mourning based on life and death studies, followed by study limitations, further research, and significance of self-heali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