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손 재활 로봇 치료가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대조 연구 Effect of hand rehabilitation robot treatment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visual percep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randomized controlled study원문보기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말단장치형의 손 재활 로봇 치료를 적용하여 손의 기능적 변화와 치료적 효과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능동 훈련, 능동-보조 훈련, 과제 지향적 훈련을 제공한 그룹과 수동 훈련을 제공한 그룹에서 훈련 프로토콜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절차는 만 4세 이상 ~ 만 15세 미만 뇌성마비 아동이면서 사물조작능력 분류체계(MACS) 2~4단계, 대운동기능 분류체계(...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말단장치형의 손 재활 로봇 치료를 적용하여 손의 기능적 변화와 치료적 효과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능동 훈련, 능동-보조 훈련, 과제 지향적 훈련을 제공한 그룹과 수동 훈련을 제공한 그룹에서 훈련 프로토콜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절차는 만 4세 이상 ~ 만 15세 미만 뇌성마비 아동이면서 사물조작능력 분류체계(MACS) 2~4단계, 대운동기능 분류체계(GMFCS) 1~4단계에 해당하는 38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무작위로 실험군(19명)과 대조군(19명)에 배정되었다. 실험군은 능동 훈련, 능동-보조 훈련, 과제 지향적 훈련을 받았으며, 대조군은 수동 훈련을 받았다. 두 그룹 모두 손 재활 로봇인 Amadeo를 사용하였으며, 6주 동안 주 3회, 회당 30분간 치료를 받았다. 결과의 측정은 치료 전과 후, 치료 종료 후 6주 뒤에 추적검사까지 총 3번을 진행하였다. 상지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Shriners Hospital Upper Extremity Evaluation (SHUEE), 9-hole pegboard test, Box and Block Test, 장악력과 손가락 집기력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일상생활활동 능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Pediatric Motor Activity Log (PMAL), 시지각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4(MVPT-4)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32명의 대상자가 훈련을 완료하였다(실험군 16명, 대조군 16명). 실험군은 모든 평가항목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확인되었다. 대조군은 상지기능의 평가에서 치료 후 개선은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한 P-MAL에서 유의미한 개선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뇌성마비 아동에게 전통적 작업치료와 손 재활 로봇 치료를 병행한 재활이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손 재활 로봇을 활용한 재활의 효과에 대하여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말단장치형의 손 재활 로봇 치료를 적용하여 손의 기능적 변화와 치료적 효과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능동 훈련, 능동-보조 훈련, 과제 지향적 훈련을 제공한 그룹과 수동 훈련을 제공한 그룹에서 훈련 프로토콜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절차는 만 4세 이상 ~ 만 15세 미만 뇌성마비 아동이면서 사물조작능력 분류체계(MACS) 2~4단계, 대운동기능 분류체계(GMFCS) 1~4단계에 해당하는 38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무작위로 실험군(19명)과 대조군(19명)에 배정되었다. 실험군은 능동 훈련, 능동-보조 훈련, 과제 지향적 훈련을 받았으며, 대조군은 수동 훈련을 받았다. 두 그룹 모두 손 재활 로봇인 Amadeo를 사용하였으며, 6주 동안 주 3회, 회당 30분간 치료를 받았다. 결과의 측정은 치료 전과 후, 치료 종료 후 6주 뒤에 추적검사까지 총 3번을 진행하였다. 상지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Shriners Hospital Upper Extremity Evaluation (SHUEE), 9-hole pegboard test, Box and Block Test, 장악력과 손가락 집기력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일상생활활동 능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Pediatric Motor Activity Log (PMAL), 시지각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4(MVPT-4)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32명의 대상자가 훈련을 완료하였다(실험군 16명, 대조군 16명). 실험군은 모든 평가항목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확인되었다. 대조군은 상지기능의 평가에서 치료 후 개선은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한 P-MAL에서 유의미한 개선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뇌성마비 아동에게 전통적 작업치료와 손 재활 로봇 치료를 병행한 재활이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손 재활 로봇을 활용한 재활의 효과에 대하여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I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basis for the functional change and therapeutic effect of the hand by applying the end-effector type hand rehabilitation robot treatment to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lso, the effect of the active training group and the passive training group is com...
I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basis for the functional change and therapeutic effect of the hand by applying the end-effector type hand rehabilitation robot treatment to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lso, the effect of the active training group and the passive training group is compared. Thirty-eight children (4–13 years of age) with cerebral palsy who corresponded to stages 2–4 of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and stages 1–4 of the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were selected.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n=19) or the control group (n=19).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ctive training, active-assisted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The control group received passive training. Both groups used the Amadeo hand rehabilitation robot three times a week (30 min per session, for 6 weeks). The results were evaluated three times (before treatment initiation, after 6 weeks of treatment, and during follow-up). To verify the chang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the results of Shriners Hospital Upper Extremity Evaluation, the 9-hole Pegboard Test, and the Box and Block Test, and the changes in grip and pinching power were evaluated. To assess the changes in daily living ability, Pediatric Motor Activity Log (PMAL) was used. To determine the change in visual perception,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4 was used. Thirty-two subjects completed the training (16 in each group). Significant improvement with respect to all evaluations was evid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showed improvement in upper extremity function after treatment; however, this result was not significant. By contrast,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PMA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hand rehabilitation robot treatment will be beneficial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findings also represent useful preliminary data regarding the importance of hand rehabilitation robot in the re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basis for the functional change and therapeutic effect of the hand by applying the end-effector type hand rehabilitation robot treatment to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lso, the effect of the active training group and the passive training group is compared. Thirty-eight children (4–13 years of age) with cerebral palsy who corresponded to stages 2–4 of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and stages 1–4 of the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were selected.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n=19) or the control group (n=19).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ctive training, active-assisted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The control group received passive training. Both groups used the Amadeo hand rehabilitation robot three times a week (30 min per session, for 6 weeks). The results were evaluated three times (before treatment initiation, after 6 weeks of treatment, and during follow-up). To verify the chang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the results of Shriners Hospital Upper Extremity Evaluation, the 9-hole Pegboard Test, and the Box and Block Test, and the changes in grip and pinching power were evaluated. To assess the changes in daily living ability, Pediatric Motor Activity Log (PMAL) was used. To determine the change in visual perception,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4 was used. Thirty-two subjects completed the training (16 in each group). Significant improvement with respect to all evaluations was evid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showed improvement in upper extremity function after treatment; however, this result was not significant. By contrast,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PMA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hand rehabilitation robot treatment will be beneficial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findings also represent useful preliminary data regarding the importance of hand rehabilitation robot in the re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