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의 발달로 제품의 소재와 제조방식이 다양해졌지만 동시에 폐기물의 성상 종류와 배출량도 증가하였다. 현재 수용량이 포화상태인 폐기물 처리시설은 운영 차원에서 일부 폐기물을 적치구역에 저장하여 처리량을 조정하였다. 하지만 적치구역의 관리시스템의 미흡함과 전문 인력의 부족은 이 구역이 화재위험에 노출되게 만들었다. 특히 적치구역의 화재는 단순 화재가 아닌 주변 지역의 환경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금액으로 산정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된다.
이 구역 내 화재발생의 위험을 인지하고 관련 법적 규정과 화재예방시스템을 조...
산업의 발달로 제품의 소재와 제조방식이 다양해졌지만 동시에 폐기물의 성상 종류와 배출량도 증가하였다. 현재 수용량이 포화상태인 폐기물 처리시설은 운영 차원에서 일부 폐기물을 적치구역에 저장하여 처리량을 조정하였다. 하지만 적치구역의 관리시스템의 미흡함과 전문 인력의 부족은 이 구역이 화재위험에 노출되게 만들었다. 특히 적치구역의 화재는 단순 화재가 아닌 주변 지역의 환경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금액으로 산정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된다.
이 구역 내 화재발생의 위험을 인지하고 관련 법적 규정과 화재예방시스템을 조사하였지만 해당 구역과 시설물은 제도적 지원과 소방시설설치기준에도 제외된 곳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화재대응을 어렵게 하고 추가적인 소방인력과 비용을 낭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적치구역의 화재관리의 문제점을 찾기 위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이 공간을 분석하였고, 통계현황을 조사하며 해당 구역의 화재요인을 분석하였다. 실제 사례를 수집하여 조사 후 기존에 연구한 화재요인과 비교 분석하여 ‘자연발화’가 적치구역의 화재요인임을 도출하였다.
자연발화의 특성을 분석하고, 대응 방법을 조사하여 적치구역의 화재관리의 개선방안을 두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첫째. 제도적 개선방안이다. 근본적으로 폐기물 처리시설이 소방관련 제반규정에 포함되지 않기287 때문에 발생한 사례로 보고, 제도적 보완과 신설된 화재예방조치법을 활용하여 폐기물 처리시설과 소방시설의 연계를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두 번째. 시설 운영 차원의 개선방안이다. 현재 기술관리인에 제외된 소방 전문 인력의 배치로 폐기물 처리시설 내 소방시설의 설치와 관리의 필요성을 촉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폐기물 처리시설 내 화재관리시스템의 개선을 바라며 이 시설물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소방관련 규정과 운영 매뉴얼이 도입되길 바란다.
산업의 발달로 제품의 소재와 제조방식이 다양해졌지만 동시에 폐기물의 성상 종류와 배출량도 증가하였다. 현재 수용량이 포화상태인 폐기물 처리시설은 운영 차원에서 일부 폐기물을 적치구역에 저장하여 처리량을 조정하였다. 하지만 적치구역의 관리시스템의 미흡함과 전문 인력의 부족은 이 구역이 화재위험에 노출되게 만들었다. 특히 적치구역의 화재는 단순 화재가 아닌 주변 지역의 환경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금액으로 산정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된다.
이 구역 내 화재발생의 위험을 인지하고 관련 법적 규정과 화재예방시스템을 조사하였지만 해당 구역과 시설물은 제도적 지원과 소방시설설치기준에도 제외된 곳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화재대응을 어렵게 하고 추가적인 소방인력과 비용을 낭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적치구역의 화재관리의 문제점을 찾기 위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이 공간을 분석하였고, 통계현황을 조사하며 해당 구역의 화재요인을 분석하였다. 실제 사례를 수집하여 조사 후 기존에 연구한 화재요인과 비교 분석하여 ‘자연발화’가 적치구역의 화재요인임을 도출하였다.
자연발화의 특성을 분석하고, 대응 방법을 조사하여 적치구역의 화재관리의 개선방안을 두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첫째. 제도적 개선방안이다. 근본적으로 폐기물 처리시설이 소방관련 제반규정에 포함되지 않기287 때문에 발생한 사례로 보고, 제도적 보완과 신설된 화재예방조치법을 활용하여 폐기물 처리시설과 소방시설의 연계를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두 번째. 시설 운영 차원의 개선방안이다. 현재 기술관리인에 제외된 소방 전문 인력의 배치로 폐기물 처리시설 내 소방시설의 설치와 관리의 필요성을 촉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폐기물 처리시설 내 화재관리시스템의 개선을 바라며 이 시설물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소방관련 규정과 운영 매뉴얼이 도입되길 바란다.
Abstract
With industrial development, raw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s have become diversified,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the types and amount of waste. As waste treatment facilities have already reached saturation, some wastes are being stored in the storage area for operational ...
Abstract
With industrial development, raw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s have become diversified,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the types and amount of waste. As waste treatment facilities have already reached saturation, some wastes are being stored in the storage area for operational purposes. However, the poor management system of the storage area and the lack of skilled workers have exposed such area to fire hazards. Fires in the storage area cause immeasurable financial losses as they affect the surrounding areas as well.
Recognizing the risk of fire in such area, relevant legal regulations and fire suppression systems were investigated, and it was found that the area and facilities were not covered by institutional support and firefighting facility installation standards. This can lead to difficulties to react to a fire and the misuse of firefighting resources.
Against the backdrop, this study analyzed the storage area from different aspect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fire management and investigated the statistical status to examine fire factors in the space. After collecting and investigating actual cases,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fire factors, which found that “ignition fires” were the fire factor in the storage area.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gnition fires and exploring the countermeasures, plans to improve fire management in the storage area were suggested in two aspects as follows.
First,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emphasizes the necessity of linking waste treatment facilities with fire-fighting ones based on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the new fire prevention measures since the incidents are considered to have occurred as a result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not being included in the general fire safety regulations.
Second, the facility operation improvement plan stresses the importance of having firefighting specialists, who are currently not considered as technical managers, in the area to install and manage fire safety systems in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conclusion, the fire-fighting systems in waste treatment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and systematic fire safety regulations and operation manual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ch facilities.
Abstract
With industrial development, raw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s have become diversified,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the types and amount of waste. As waste treatment facilities have already reached saturation, some wastes are being stored in the storage area for operational purposes. However, the poor management system of the storage area and the lack of skilled workers have exposed such area to fire hazards. Fires in the storage area cause immeasurable financial losses as they affect the surrounding areas as well.
Recognizing the risk of fire in such area, relevant legal regulations and fire suppression systems were investigated, and it was found that the area and facilities were not covered by institutional support and firefighting facility installation standards. This can lead to difficulties to react to a fire and the misuse of firefighting resources.
Against the backdrop, this study analyzed the storage area from different aspect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fire management and investigated the statistical status to examine fire factors in the space. After collecting and investigating actual cases,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fire factors, which found that “ignition fires” were the fire factor in the storage area.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gnition fires and exploring the countermeasures, plans to improve fire management in the storage area were suggested in two aspects as follows.
First,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emphasizes the necessity of linking waste treatment facilities with fire-fighting ones based on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the new fire prevention measures since the incidents are considered to have occurred as a result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not being included in the general fire safety regulations.
Second, the facility operation improvement plan stresses the importance of having firefighting specialists, who are currently not considered as technical managers, in the area to install and manage fire safety systems in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conclusion, the fire-fighting systems in waste treatment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and systematic fire safety regulations and operation manual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ch facilities.
Keyword
#방재안전 폐기물처리시설화재 폐기물 자연발화 적치구역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