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경증 치매를 진단받은 노인의 우울 완화를 위한 회상중심 미술치료 과정에서 노인은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020년 10월, 경증 치매를 진단받은 만 82세 여성 노인이다. 본 사례는 2021년 5월 4일부터 2021년 6월 8일까지 주 2회, 60분간 총 11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 보호자와의 사전 면담을 통하여 사전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와 보호자의 동의 하에 매회기 녹음, 작품 사진, 임상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어서 녹음을 전사한 축어록을 원자료로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들을 반복적으로 정독하여, 연구 참여자의 유의미한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정리하였다. 이를 자료 준비 단계. 일반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증 치매를 진단받은 노인의 우울 완화를 위한 회상중심 미술치료 과정에서 노인은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020년 10월, 경증 치매를 진단받은 만 82세 여성 노인이다. 본 사례는 2021년 5월 4일부터 2021년 6월 8일까지 주 2회, 60분간 총 11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 보호자와의 사전 면담을 통하여 사전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와 보호자의 동의 하에 매회기 녹음, 작품 사진, 임상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어서 녹음을 전사한 축어록을 원자료로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들을 반복적으로 정독하여, 연구 참여자의 유의미한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정리하였다. 이를 자료 준비 단계. 일반적 자료 분석 과정 단계, 코딩 단계, 테마 단계, 테마 해석 단계 절차를 거쳐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상위 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미술치료 사례의 경험 범주는 <자신의 삶에 담긴 깊은 슬픔과 고통을 인식함>, <삶의 긍정적 회고를 통해 마음의 정화를 경험함>, <자신의 삶을 수용하며 긍정적 재평가함>,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가치를 부여함>이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증 치매를 진단받은 노인을 위한 회상중심 미술치료에서 노인이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회상중심 미술치료를 통해 의미 있고 긍정적인 과거 경험을 고찰하여 자신에 대한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자신의 삶을 수용하여 긍정적 재평가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과거 미해결된 감정과 현재의 심리적 고통을 미술 작품을 통해 안전하게 표현함으로써, 부정 정서를 환기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경험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회상중심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에게 긍정적 역할이 되어주는 내면의 지지 자원을 발견하여, 건강한 미래상에 대한 희망과 용기를 형성할 수 있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는 회상중심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전 생애를 회고하고 인지하며, 이를 미술 작품으로 표현해보는 과정을 통해 기억을 자극하는 기회를 자주 경험하여 기억력 유지에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경증 치매를 진단받은 노인은 회상중심 미술치료 안에서 의미 있고 긍정적인 과거 경험을 고찰하여 자신에 대한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자신의 삶을 수용하여 긍정적 재평가 할 수 있었으며, 과거 미해결된 감정과 현재의 심리적 고통을 미술 작품을 통해 안전하게 표현함으로써 부정 정서를 환기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자신에게 긍정적 역할이 되어주는 내면의 지지 자원을 발견하여 건강한 미래상에 대한 희망과 용기를 형성할 수 있었으며, 회상중심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전 생애를 회고하고 인지하며 이를 이미지로 표현해보는 과정을 통해 기억을 자극하는 기회를 자주 경험하여 기억력 유지에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증 치매를 진단받은 노인의 우울 완화를 위한 회상중심 미술치료 과정에서 노인은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020년 10월, 경증 치매를 진단받은 만 82세 여성 노인이다. 본 사례는 2021년 5월 4일부터 2021년 6월 8일까지 주 2회, 60분간 총 11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 보호자와의 사전 면담을 통하여 사전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와 보호자의 동의 하에 매회기 녹음, 작품 사진, 임상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어서 녹음을 전사한 축어록을 원자료로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들을 반복적으로 정독하여, 연구 참여자의 유의미한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정리하였다. 이를 자료 준비 단계. 일반적 자료 분석 과정 단계, 코딩 단계, 테마 단계, 테마 해석 단계 절차를 거쳐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상위 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미술치료 사례의 경험 범주는 <자신의 삶에 담긴 깊은 슬픔과 고통을 인식함>, <삶의 긍정적 회고를 통해 마음의 정화를 경험함>, <자신의 삶을 수용하며 긍정적 재평가함>,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가치를 부여함>이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증 치매를 진단받은 노인을 위한 회상중심 미술치료에서 노인이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회상중심 미술치료를 통해 의미 있고 긍정적인 과거 경험을 고찰하여 자신에 대한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자신의 삶을 수용하여 긍정적 재평가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과거 미해결된 감정과 현재의 심리적 고통을 미술 작품을 통해 안전하게 표현함으로써, 부정 정서를 환기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경험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회상중심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에게 긍정적 역할이 되어주는 내면의 지지 자원을 발견하여, 건강한 미래상에 대한 희망과 용기를 형성할 수 있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는 회상중심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전 생애를 회고하고 인지하며, 이를 미술 작품으로 표현해보는 과정을 통해 기억을 자극하는 기회를 자주 경험하여 기억력 유지에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경증 치매를 진단받은 노인은 회상중심 미술치료 안에서 의미 있고 긍정적인 과거 경험을 고찰하여 자신에 대한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자신의 삶을 수용하여 긍정적 재평가 할 수 있었으며, 과거 미해결된 감정과 현재의 심리적 고통을 미술 작품을 통해 안전하게 표현함으로써 부정 정서를 환기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자신에게 긍정적 역할이 되어주는 내면의 지지 자원을 발견하여 건강한 미래상에 대한 희망과 용기를 형성할 수 있었으며, 회상중심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전 생애를 회고하고 인지하며 이를 이미지로 표현해보는 과정을 통해 기억을 자극하는 기회를 자주 경험하여 기억력 유지에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experiences the elderly had and the meanings of those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reminiscence art therapy for depression relief i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aqualitative case study to deeply explore the meaning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experiences the elderly had and the meanings of those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reminiscence art therapy for depression relief i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aqualitative case study to deeply explore the meaning of what the participant experienced.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an 82-year-old female elderly was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at October, 2020. In this case, art therapy was performed twice a week from May 4, 2021 to June8, 2021. Total 11 sessions were proceeded for 6 weeks and each session took 60 minutes. The researcher collected prior information through preliminary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 and her next of kin. At each session, researcher collected datathrough recording and taking photos of the work with their consent. Additionally, verbatim transcripts transcribed from audio recordings were collected as raw materials. By repeatedly perusing the collected data, meaningful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of the participant were summarize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procedures of data preparation step, general data analyzing process step, coding step, theme step and finally, theme interpretation ste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otal 4 super-topics and 14 sub-topics were derived. The experience categories of this art therapy case are , , , and .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about the experiences of the elderly in reminiscence art therapy for the elderly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 was able to re-evaluate their lives positively by reviewing meaningful and positive past experiences through art therapy, recognizing their values anew, and accepting their lives. Second, the participant was able to evoke negative emotions and experience emotional stability by safely expressing past unresolved emotions and present psychological pain through artworks. Third, the participant was able to form hope and courage for a healthy future bydiscovering an inner support resource that plays positive role in oneselves through reminiscence art therapy. Fourth, through reminiscence art therapy, the participant recall and recognize one’s entire life and the process of expressing it through images can help maintainingone’s memory by experiencing the opportunity to stimulate memory often. In summary, the elderly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were able to re-evaluate their lives positively by considering meaningful and positive past experiences in reminiscence art therapy, recognizing their value and accepting life. By safely expressing emotions and current psychological pain through works of art, the participant was able to evoke negative emotions and experience emotional stability. In addition, the participant was able to form hope and courage for a healthy future by discovering an inner support resource that plays a positive role in oneself. The participant was able to get help in maintaining memory by experiencing the opportunity to stimulate memory oft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experiences the elderly had and the meanings of those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reminiscence art therapy for depression relief i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aqualitative case study to deeply explore the meaning of what the participant experienced.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an 82-year-old female elderly was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at October, 2020. In this case, art therapy was performed twice a week from May 4, 2021 to June8, 2021. Total 11 sessions were proceeded for 6 weeks and each session took 60 minutes. The researcher collected prior information through preliminary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 and her next of kin. At each session, researcher collected datathrough recording and taking photos of the work with their consent. Additionally, verbatim transcripts transcribed from audio recordings were collected as raw materials. By repeatedly perusing the collected data, meaningful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of the participant were summarize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procedures of data preparation step, general data analyzing process step, coding step, theme step and finally, theme interpretation ste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otal 4 super-topics and 14 sub-topics were derived. The experience categories of this art therapy case are , , , and .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about the experiences of the elderly in reminiscence art therapy for the elderly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 was able to re-evaluate their lives positively by reviewing meaningful and positive past experiences through art therapy, recognizing their values anew, and accepting their lives. Second, the participant was able to evoke negative emotions and experience emotional stability by safely expressing past unresolved emotions and present psychological pain through artworks. Third, the participant was able to form hope and courage for a healthy future bydiscovering an inner support resource that plays positive role in oneselves through reminiscence art therapy. Fourth, through reminiscence art therapy, the participant recall and recognize one’s entire life and the process of expressing it through images can help maintainingone’s memory by experiencing the opportunity to stimulate memory often. In summary, the elderly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were able to re-evaluate their lives positively by considering meaningful and positive past experiences in reminiscence art therapy, recognizing their value and accepting life. By safely expressing emotions and current psychological pain through works of art, the participant was able to evoke negative emotions and experience emotional stability. In addition, the participant was able to form hope and courage for a healthy future by discovering an inner support resource that plays a positive role in oneself. The participant was able to get help in maintaining memory by experiencing the opportunity to stimulate memory ofte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