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는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인구감소 현상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비수도권 지역뿐만 아니라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주택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주택수요 부족 현상이 지속화되면서, 미분양이 다수 발생하는 등 주택시장의 장기적인 침체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소멸 위험과 미분양을 지역특성과 함께 고려하여 공간적 상호작용 효과로 인한...
현재 우리나라는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인구감소 현상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비수도권 지역뿐만 아니라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주택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주택수요 부족 현상이 지속화되면서, 미분양이 다수 발생하는 등 주택시장의 장기적인 침체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소멸 위험과 미분양을 지역특성과 함께 고려하여 공간적 상호작용 효과로 인한 지역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분양은 지역 주택가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아닌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미분양은 비수도권 미분양에 비해 해당 지역 주택시장에 유의한 부(-)의 효과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소멸 위험성이 낮아질수록 주택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나 생산가능인구의 증가는 지역 주택시장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미분양이 우리나라 주택시장의 전반적인 위험성을 나타내는 지표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지방의 미분양관리뿐만 아니라 수도권의 미분양 또한 중요한 정책의제가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인구 변동과 주택시장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인구감소에 대응하고 주거안정을 위한 통합적인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인구감소 현상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비수도권 지역뿐만 아니라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주택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주택수요 부족 현상이 지속화되면서, 미분양이 다수 발생하는 등 주택시장의 장기적인 침체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소멸 위험과 미분양을 지역특성과 함께 고려하여 공간적 상호작용 효과로 인한 지역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분양은 지역 주택가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아닌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미분양은 비수도권 미분양에 비해 해당 지역 주택시장에 유의한 부(-)의 효과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소멸 위험성이 낮아질수록 주택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나 생산가능인구의 증가는 지역 주택시장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미분양이 우리나라 주택시장의 전반적인 위험성을 나타내는 지표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지방의 미분양관리뿐만 아니라 수도권의 미분양 또한 중요한 정책의제가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인구 변동과 주택시장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인구감소에 대응하고 주거안정을 위한 통합적인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Currently, in Korea, population decline due to demographic change is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this problem is occurring not only in non-metropolitan areas but also in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This problem has a greater impact on the housing market. As the shortage of housing deman...
Currently, in Korea, population decline due to demographic change is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this problem is occurring not only in non-metropolitan areas but also in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This problem has a greater impact on the housing market. As the shortage of housing demand due to population decline continues,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the cause of a long-term stagnation in the housing market, such as a large number of unsold hom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patial interaction effect on local housing prices was identified by considering the risk of population extinction and unsold housing units along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unsold housing units occurring in the metropolitan area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he housing market in the region compared to unsold units in non-metropolitan areas. Second, the lower the risk of population extinction, the higher the housing price, confirming that the increase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can contribute to the stability of the local housing market. Therefore, since unsold houses occurring in the metropolitan area serve as an indicator of the overall risk of Korea's housing market, it suggests that unsold houses in the metropolitan area as well as local unsold house management should be an important policy agenda. Also, in addition, since demographic change and the housing market are closely related,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population extinction and promote an integrated policy for housing stability.
Currently, in Korea, population decline due to demographic change is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this problem is occurring not only in non-metropolitan areas but also in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This problem has a greater impact on the housing market. As the shortage of housing demand due to population decline continues,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the cause of a long-term stagnation in the housing market, such as a large number of unsold hom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patial interaction effect on local housing prices was identified by considering the risk of population extinction and unsold housing units along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unsold housing units occurring in the metropolitan area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he housing market in the region compared to unsold units in non-metropolitan areas. Second, the lower the risk of population extinction, the higher the housing price, confirming that the increase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can contribute to the stability of the local housing market. Therefore, since unsold houses occurring in the metropolitan area serve as an indicator of the overall risk of Korea's housing market, it suggests that unsold houses in the metropolitan area as well as local unsold house management should be an important policy agenda. Also, in addition, since demographic change and the housing market are closely related,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population extinction and promote an integrated policy for housing stability.
Keyword
#인구소멸 미분양주택 주택가격 주택시장 도시공간특성 공간회귀모형 Population Extinction Unsold Housing Housing Price Housing market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Spatial Regression Model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혜진
학위수여기관
중앙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도시계획부동산학과 부동산전공
지도교수
서원석
발행연도
2022
총페이지
v, 76장
키워드
인구소멸 미분양주택 주택가격 주택시장 도시공간특성 공간회귀모형 Population Extinction Unsold Housing Housing Price Housing market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Spatial Regression Mode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