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자기조절능력 간의 구조관계분석 Analysi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Young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원문보기
유아들의 많은 행동과 습관의 발달에서 자기조절 능력은 어느 정도 유아들의 행동 발달의 중요한 표현이다. 유아들의 자기 조절 능력이 좋을수록 행동과 심리적 발달이 더 좋아지며 반대로 여러 가지 문제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애착안정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를 밝히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애착안정성을 검증하는 ...
유아들의 많은 행동과 습관의 발달에서 자기조절 능력은 어느 정도 유아들의 행동 발달의 중요한 표현이다. 유아들의 자기 조절 능력이 좋을수록 행동과 심리적 발달이 더 좋아지며 반대로 여러 가지 문제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애착안정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를 밝히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애착안정성을 검증하는 매개효과를 밝혔다. 본 연구 조사하기 위해 중국 강서성(江西省) 간저우시(赣州市)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3-5세 유아를 둔 어머니 15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차이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위해 AMOS 24.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일반적인 경향에서 모든 변인의 평균 점수는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유아의 애착안정성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그 뒤를 이었다. 어머니의 양육태도 하위요인 중 자율적 태도보다 애정적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애착안정성의 하위요인 중 의사소통이 가장 높고 신뢰감과 소외감이 그 뒤를 이었다.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으로는 자기평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행동억제, 자기결정, 정서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에서, 유아 성별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차이는 여자유아가 남자유아보다 자기조절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유아들의 연령에 따라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결정, 행동억제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기조절능력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에 따라 어머니들의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발달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 일 경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직업이 있는 어머니가 양육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직업이 없는 어머니가 양육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애착안정성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우선,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에서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긍정적이고 자녀의 독자적인 탐구를 허용하는 양육태도는 유아와 어머니 간에 신뢰감을 형성하게 하여 자기조절능력 형성에 영향을 증가시킨다. 또한 애정적과 자기주도적인 양육태도를 가진 어머니는 유아와 원만한 의사소통과 신뢰감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유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유아는 높은 애착안정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애착안정성의 하위요인 중 의사소통과 신뢰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외감이 낮을수록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높아진다. 즉, 어머니와 자녀 간에 정서적 유대로서의 애착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려면 애정, 이해, 존중이 충만한 토대 위에서 신뢰감이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고 유아의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자기조절능력도 높아진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관계에서, 유아의 애착안정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착안정성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관계에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안정성의 매개효과는 완전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애착안정성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유아의 애착안정성은 완전한 매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유아의 경우 자기조절능력이 급격히 발달하는 유아기에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과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부모의 경우에는 부모교육을 강화하고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고취시키며 부모-자녀 관계를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여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개발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유아들의 많은 행동과 습관의 발달에서 자기조절 능력은 어느 정도 유아들의 행동 발달의 중요한 표현이다. 유아들의 자기 조절 능력이 좋을수록 행동과 심리적 발달이 더 좋아지며 반대로 여러 가지 문제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애착안정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를 밝히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애착안정성을 검증하는 매개효과를 밝혔다. 본 연구 조사하기 위해 중국 강서성(江西省) 간저우시(赣州市)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3-5세 유아를 둔 어머니 15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차이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위해 AMOS 24.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일반적인 경향에서 모든 변인의 평균 점수는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유아의 애착안정성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그 뒤를 이었다. 어머니의 양육태도 하위요인 중 자율적 태도보다 애정적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애착안정성의 하위요인 중 의사소통이 가장 높고 신뢰감과 소외감이 그 뒤를 이었다.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으로는 자기평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행동억제, 자기결정, 정서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에서, 유아 성별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차이는 여자유아가 남자유아보다 자기조절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유아들의 연령에 따라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결정, 행동억제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기조절능력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에 따라 어머니들의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발달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 일 경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직업이 있는 어머니가 양육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직업이 없는 어머니가 양육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애착안정성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우선,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에서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긍정적이고 자녀의 독자적인 탐구를 허용하는 양육태도는 유아와 어머니 간에 신뢰감을 형성하게 하여 자기조절능력 형성에 영향을 증가시킨다. 또한 애정적과 자기주도적인 양육태도를 가진 어머니는 유아와 원만한 의사소통과 신뢰감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유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유아는 높은 애착안정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애착안정성의 하위요인 중 의사소통과 신뢰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외감이 낮을수록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높아진다. 즉, 어머니와 자녀 간에 정서적 유대로서의 애착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려면 애정, 이해, 존중이 충만한 토대 위에서 신뢰감이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고 유아의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자기조절능력도 높아진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관계에서, 유아의 애착안정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착안정성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관계에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안정성의 매개효과는 완전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애착안정성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유아의 애착안정성은 완전한 매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유아의 경우 자기조절능력이 급격히 발달하는 유아기에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과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부모의 경우에는 부모교육을 강화하고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고취시키며 부모-자녀 관계를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여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개발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behavior habits, self-regulation ability is an important embodiment of children's behavior development to a certain extent. If children have good self-regulation ability, they are considered to have good behavior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n the contrary, it wil...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behavior habits, self-regulation ability is an important embodiment of children's behavior development to a certain extent. If children have good self-regulation ability, they are considered to have good behavior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n the contrary, it will induce many behavioral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From this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Furthermore,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re were 1540 mothers with 3-5 years old children in kindergartens in Ganzhou, Jiangxi Province, China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analyze the direct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attachment stability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SPSS 26.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variance, and performed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and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used AMOS 24.0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and the path analysis and Bootstrapping examined the significanc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between the main variables for obtaining the tot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the pathw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in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 average value of all variables is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and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is the highest, followed by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 'affectional attitude' is higher than the 'autonomic attitude' appeared the sub-variables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Among the sub-variables of attachment stability, ‘communication level’ is the highest, followed by 'trust' and 'alienation'. According to the sub-variables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self-appraisal' is the highest, followed by 'behavior inhibition', 'self-determination' and 'emotionality'. Second, in terms of socio demographic factor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children variables (gender and ages).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girls was higher than that of boys, and the older the children are, the better their self-regulation ability, and the upward trend increases with age. Furthermore, there a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mothers with different levels of education. It has showed that the ability of children with mothers' education level of undergraduate or above was higher than that of junior college and high school or below. In the meanwhile, there a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regul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mother's existence of job.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raised by working mothers had higher self-regulation abilities than those raised by non-working mothers. Third, the results of the influence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on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sub-variables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the affectional and autonomic parenting attitudes relatively improve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In other words, a mo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that allows children to explore independently promotes the establishment of trust between child and mother, thus increasing the impact of self-regulation ability. Secondly, mothers with affectional and autonomic parenting attitude can not only establish a successful sense of communication and trust with children, but also confirm a positive impact on children, so as to avoid a sense of alienation. Thus, the more positive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delivered, the better the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come to be. Finally, according to the sub-variables of attachment stability,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and trust, the higher their self-regulation ability; the lower the alienation, the higher the self-regulation ability. That is to say, to form the attachment between mother and children as an emotional bond must set up a sense of trust on the basis of affection, permission,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so as to improve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 higher the child's attachment stability, the higher the ability to self-regulat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results of young childhood attachment stability shows that there is no direct statistical impact on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but attachment stability has an indirect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refore the mediation effect of attachment stability turned out to have a full mediator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young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w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ir self-regulation ability. In the process of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plays a completely mediation role. Consequently, for the childr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lative self-regulation environment and instruction to them in their early childhood which is the period of self-regulation ability rapidly developing. For the par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rresponding parenting class, to advocate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to carry out a series of activities which can enhanc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o maximize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behavior habits, self-regulation ability is an important embodiment of children's behavior development to a certain extent. If children have good self-regulation ability, they are considered to have good behavior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n the contrary, it will induce many behavioral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From this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Furthermore,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re were 1540 mothers with 3-5 years old children in kindergartens in Ganzhou, Jiangxi Province, China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analyze the direct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attachment stability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SPSS 26.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variance, and performed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and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used AMOS 24.0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and the path analysis and Bootstrapping examined the significanc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between the main variables for obtaining the tot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the pathw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in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 average value of all variables is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and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is the highest, followed by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 'affectional attitude' is higher than the 'autonomic attitude' appeared the sub-variables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Among the sub-variables of attachment stability, ‘communication level’ is the highest, followed by 'trust' and 'alienation'. According to the sub-variables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self-appraisal' is the highest, followed by 'behavior inhibition', 'self-determination' and 'emotionality'. Second, in terms of socio demographic factor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children variables (gender and ages).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girls was higher than that of boys, and the older the children are, the better their self-regulation ability, and the upward trend increases with age. Furthermore, there a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mothers with different levels of education. It has showed that the ability of children with mothers' education level of undergraduate or above was higher than that of junior college and high school or below. In the meanwhile, there a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regul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mother's existence of job.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raised by working mothers had higher self-regulation abilities than those raised by non-working mothers. Third, the results of the influence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on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sub-variables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the affectional and autonomic parenting attitudes relatively improve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In other words, a mo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that allows children to explore independently promotes the establishment of trust between child and mother, thus increasing the impact of self-regulation ability. Secondly, mothers with affectional and autonomic parenting attitude can not only establish a successful sense of communication and trust with children, but also confirm a positive impact on children, so as to avoid a sense of alienation. Thus, the more positive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delivered, the better the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come to be. Finally, according to the sub-variables of attachment stability,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and trust, the higher their self-regulation ability; the lower the alienation, the higher the self-regulation ability. That is to say, to form the attachment between mother and children as an emotional bond must set up a sense of trust on the basis of affection, permission,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so as to improve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 higher the child's attachment stability, the higher the ability to self-regulat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results of young childhood attachment stability shows that there is no direct statistical impact on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but attachment stability has an indirect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refore the mediation effect of attachment stability turned out to have a full mediator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young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w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ir self-regulation ability. In the process of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plays a completely mediation role. Consequently, for the childr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lative self-regulation environment and instruction to them in their early childhood which is the period of self-regulation ability rapidly developing. For the par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rresponding parenting class, to advocate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to carry out a series of activities which can enhanc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o maximize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