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의 문제점에 대해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초점을 맞추어 직업재활서비스의 개선방안 등을 파악함으로써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직업재활서비스의 문제점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와 장애인 고용실태조사 자료를 통해 직업재활서비스에 나타난 실질적인 6개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에 나타난 실질적인 문제점에 대하여 직업재활서비스 관련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로 구성된 의견조사를 실시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구직욕구 초기상담 창구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점과 관련하여서는 단일화된 구직욕구 초기상담 창구마련 및 직업재활서비스 제공기관들 간의 협업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둘째, 직업상담 부재로 인한 장애인 직업욕구 파악의 어려움에 대한 문제점과 관련하여서는 직업재활상담 전문인력의 배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능력평가 후 연계 서비스 부족에 대한 문제점과 관련하여서는 ...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의 문제점에 대해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초점을 맞추어 직업재활서비스의 개선방안 등을 파악함으로써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직업재활서비스의 문제점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와 장애인 고용실태조사 자료를 통해 직업재활서비스에 나타난 실질적인 6개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에 나타난 실질적인 문제점에 대하여 직업재활서비스 관련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로 구성된 의견조사를 실시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구직욕구 초기상담 창구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점과 관련하여서는 단일화된 구직욕구 초기상담 창구마련 및 직업재활서비스 제공기관들 간의 협업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둘째, 직업상담 부재로 인한 장애인 직업욕구 파악의 어려움에 대한 문제점과 관련하여서는 직업재활상담 전문인력의 배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능력평가 후 연계 서비스 부족에 대한 문제점과 관련하여서는 지역사회 연계방안 및 직업능력평가의 전문화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넷째, 훈련을 위한 훈련에 대한 문제점과 관련하여서는 직무능력향상 중심의 실질적인 훈련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구직 장애인과 구인 사업체의 부조화로 인한 취업률 저하 문제점과 관련하여서는 구직 인력풀과 구인 사업체풀 구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취업유지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과 관련하여서는 취업유지를 위한 제도적 지원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확보를 위해 지역사회 내 구심점으로서 허브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지자체별 단일화된 초기상담 창구가 마련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둘째, 직업재활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직업재활상담 전문인력 의무배치 제도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직업능력평가의 전문화를 위한 지자체별 전문 직업능력평가센터를 운영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넷째,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의 내실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도모해야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다섯째, 사업체의 구직풀 구성과 직업적응훈련의 내실화를 위하여 지역자원 연계를 통한 다양한 직무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여섯째, 안정적인 취업유지를 위하여 취업후 적응지도에 대한 지역사회 및 국가적인 제도적 지원으로 현행되고 있는 직업생활상담원제도의 활성화와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의 지역별 확충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의 문제점에 대해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초점을 맞추어 직업재활서비스의 개선방안 등을 파악함으로써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직업재활서비스의 문제점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와 장애인 고용실태조사 자료를 통해 직업재활서비스에 나타난 실질적인 6개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에 나타난 실질적인 문제점에 대하여 직업재활서비스 관련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로 구성된 의견조사를 실시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구직욕구 초기상담 창구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점과 관련하여서는 단일화된 구직욕구 초기상담 창구마련 및 직업재활서비스 제공기관들 간의 협업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둘째, 직업상담 부재로 인한 장애인 직업욕구 파악의 어려움에 대한 문제점과 관련하여서는 직업재활상담 전문인력의 배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능력평가 후 연계 서비스 부족에 대한 문제점과 관련하여서는 지역사회 연계방안 및 직업능력평가의 전문화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넷째, 훈련을 위한 훈련에 대한 문제점과 관련하여서는 직무능력향상 중심의 실질적인 훈련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구직 장애인과 구인 사업체의 부조화로 인한 취업률 저하 문제점과 관련하여서는 구직 인력풀과 구인 사업체풀 구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취업유지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과 관련하여서는 취업유지를 위한 제도적 지원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확보를 위해 지역사회 내 구심점으로서 허브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지자체별 단일화된 초기상담 창구가 마련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둘째, 직업재활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직업재활상담 전문인력 의무배치 제도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직업능력평가의 전문화를 위한 지자체별 전문 직업능력평가센터를 운영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넷째,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의 내실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도모해야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다섯째, 사업체의 구직풀 구성과 직업적응훈련의 내실화를 위하여 지역자원 연계를 통한 다양한 직무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여섯째, 안정적인 취업유지를 위하여 취업후 적응지도에 대한 지역사회 및 국가적인 제도적 지원으로 현행되고 있는 직업생활상담원제도의 활성화와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의 지역별 확충이 요구되어진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identifying ways to improv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by focusing on the site of social welfare practice on the problem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disabled. To this end, first, six practical problems in...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identifying ways to improv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by focusing on the site of social welfare practice on the problem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disabled. To this end, first, six practical problem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derived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the problem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nd the data on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disabled. And, on the practical problem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disabled, an opinion survey consisting of semi-structured open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on 10 experts related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o seek improvement meas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necessity of the initial counseling window for the job search for the disabled, the need for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and establishing a Single Initial Consultation Window for Job Seekers. Second,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difficulty of grasping the vocational needs of the disabled due to the absence of vocational counseling,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deploy professional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Third, regarding the problem of lack of linked services after vocational competency evaluation, the need for community linkage measures and specialization of vocational competency evaluation was derived. Fourth, regarding the problem of training for training, the need for practical training centered on job competency improvement was derived. Fifth, regarding the problem of lowering the employment rate due to the mismatch between the job-seeker search disability and the job search business,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organize a job search manpower pool and a job search business pool. Sixth, regarding the necessity of systematic management for maintaining employment, institutional support for maintaining employment was found to be required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identifying ways to improv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by focusing on the site of social welfare practice on the problem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disabled. To this end, first, six practical problem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derived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the problem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nd the data on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disabled. And, on the practical problem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disabled, an opinion survey consisting of semi-structured open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on 10 experts related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o seek improvement meas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necessity of the initial counseling window for the job search for the disabled, the need for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and establishing a Single Initial Consultation Window for Job Seekers. Second,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difficulty of grasping the vocational needs of the disabled due to the absence of vocational counseling,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deploy professional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Third, regarding the problem of lack of linked services after vocational competency evaluation, the need for community linkage measures and specialization of vocational competency evaluation was derived. Fourth, regarding the problem of training for training, the need for practical training centered on job competency improvement was derived. Fifth, regarding the problem of lowering the employment rate due to the mismatch between the job-seeker search disability and the job search business,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organize a job search manpower pool and a job search business pool. Sixth, regarding the necessity of systematic management for maintaining employment, institutional support for maintaining employment was found to be requir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