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필요한 시각 문해력 함양을 목표로 미술교육과 미디어교육을 연계한 교육 지도안을 개발하고 제안하는 연구다. 이 연구는 미술교육과 미디어교육의 연계 가능성을 탐색하고,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2015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연구설계는 ASSURE 모형을 기반으로, 학습자 분석을 통한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한 과정 중심 수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전문가...
본 논문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필요한 시각 문해력 함양을 목표로 미술교육과 미디어교육을 연계한 교육 지도안을 개발하고 제안하는 연구다. 이 연구는 미술교육과 미디어교육의 연계 가능성을 탐색하고,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2015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연구설계는 ASSURE 모형을 기반으로, 학습자 분석을 통한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한 과정 중심 수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전문가의 의견과 평가를 근거로 미술교육과 미디어교육의 연계를 통한 융합적 접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있어 미술 교과에 적합한 융합적 접근이다. 둘째, 미래 인재의 핵심 역량인 시각 문해력 함양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학습자의 요구에 따른 과정 중심교육으로 이들의 진로 탐색 경험과 실제 문제 해결력을 배양할 수 있다는 점이다. 넷째, 현장에 적용 가능한 지도안이다. 나아가 현장에서 다양한 융합적 미디어교육 접근에 대한 관심을 기대한다.
본 논문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필요한 시각 문해력 함양을 목표로 미술교육과 미디어교육을 연계한 교육 지도안을 개발하고 제안하는 연구다. 이 연구는 미술교육과 미디어교육의 연계 가능성을 탐색하고,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2015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연구설계는 ASSURE 모형을 기반으로, 학습자 분석을 통한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한 과정 중심 수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전문가의 의견과 평가를 근거로 미술교육과 미디어교육의 연계를 통한 융합적 접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있어 미술 교과에 적합한 융합적 접근이다. 둘째, 미래 인재의 핵심 역량인 시각 문해력 함양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학습자의 요구에 따른 과정 중심교육으로 이들의 진로 탐색 경험과 실제 문제 해결력을 배양할 수 있다는 점이다. 넷째, 현장에 적용 가능한 지도안이다. 나아가 현장에서 다양한 융합적 미디어교육 접근에 대한 관심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propose an educational guidance plan linking media and art education to cultivate visual litera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igital media era.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between media and art education and to develop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propose an educational guidance plan linking media and art education to cultivate visual litera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igital media era.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between media and art education and to develop programs are applicable in the field, this study was drawn from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nalyzed learners based on the ASSURE model and organized a process-oriented class using various media. The study result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 convergence approach using the connection of media and art education grounded on expert advice and evalu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a convergence approach suitable for art class in the digital media era. Second, it can foster visual literacy, a core competency of future talent. Third, as a process-oriented education considering the needs of learners, it helps learners’ career exploration and practical problem-solving ability. Fourth, it is applicable to the field and calls for interest in various approaches to convergence media education in the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propose an educational guidance plan linking media and art education to cultivate visual litera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igital media era.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between media and art education and to develop programs are applicable in the field, this study was drawn from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nalyzed learners based on the ASSURE model and organized a process-oriented class using various media. The study result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 convergence approach using the connection of media and art education grounded on expert advice and evalu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a convergence approach suitable for art class in the digital media era. Second, it can foster visual literacy, a core competency of future talent. Third, as a process-oriented education considering the needs of learners, it helps learners’ career exploration and practical problem-solving ability. Fourth, it is applicable to the field and calls for interest in various approaches to convergence media education in the fiel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