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층 건축물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준공 시의 관심이나 주목도에 비해 준공 이후 이루어지는 피난 계획이나 피난 훈련에 대한 부분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와 자료, 사례 등도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이해나 실제 운영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만들어진 법규나 과도하게 강조된 위험성 등으로 그릇된 인식이 형성되어 과도한 인허가 조건이나 부가적인 시설 등도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초고층 건축물 연구들이 준공 이전의 설계 단계에서 실시됐거나 시스템 구축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었던 것과는 다르게 준공 이후 실질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는 소방안전관리자의 관점에서 피난 계획과 피난 훈련을 중심으로 사례조사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피난훈련에 대한 모델과 연구에 대한 결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 특성과 현황 및 사례 등을 조사하였고, 수직적인 높이로 인해 장시간 피난이 필요하고 일반 건축물에는 없는 피난안전구역과 피난용 승강기 등을 이용해야 하며 소방관의 소화활동에도 제약이 큰 초고층 건축물 피난 계획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피난과 관련하여 기준이 되는 국내법규 내용과 해당 적용성을 분석하여 피난안전구역과 피난용 승강기에 대한 법적 보완 및 피난 계획과 피난 훈련에 대한 세부적인 지침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현재 실시되고 있는 초고층 건축물 피난 훈련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현실적이고 발전적인 방향의 피난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초고층 건축물 피난 계획과 피난 훈련의 실제 현황을 연구 및 실증하기 위해 초고층 건축물 3개소를 지정하여 사례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고 피난안전구역과 피난용 승강기가 피난계획과는 다르게 훈련 시 실효성 있게 운영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며, 다수의 피난안전구역이 법정시설이 아닌 임의시설이고 피난용 승강기는 법정 기준에 따라 최소로만 설치되어 초고층 건축물이지만 일반 건축물과 동일하게 피난 계단만으로 피난 훈련이 시행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국의 경우는 피난 계획과 피난 훈련에 대한 기준이 한국과는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기 위해 미국 NFPA의 규정과 일본 소방법규를 조사 및 분석하였고, 한국과 유사한 일본 소방법규와 훨씬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미국 NFPA의 규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위에서 조사한 것들을 최종적으로 검증 및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초고층 건축물 4개소를 포함, 총 10개의 건축물에 대해 37개 문항의 인터뷰를 해당 건축물의 소방안전관리자 등 담당자를 직접 만나서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일반 건축물에 비해 더 높은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 관련 안전성, 재해약자의 피난 관련 전체적인 보완 필요, 피난 시설에 대한 실질적 관리와 활용 강화 등이 필요함을 도출했다.
초고층 건축물 피난 계획에 있어서 개선방안으로 피난안전구역과 피난용 승강기의 실질적인 활용안과 이들이 미비할 경우 피난 계단 중심의 피난 계획을 제시하였고, 피난 훈련에 있어서는 반드시 재해약자가 고려되고 성과중심이 아닌 실질적인 훈련안을 세부적으로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조사 및 분석, 도출한 개선방안을 종합하여 초고층 건축물 피난훈련 모형 3가지를 제시하여 현업 관계인들이 피난 계획과 피난 훈련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최종 결론으로 법규적인 지침의 필요성과 관련 법률 통합 및 개선, 전문인력 양성 등을 제시하였다.
초고층 건축물은 일반 건축물보다 안전하게 운영되고 있지만 화재나 재난시 대형피해가 우려되므로 피난 계획이나 훈련에 있어서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고 전문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개선방안과 ...
초고층 건축물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준공 시의 관심이나 주목도에 비해 준공 이후 이루어지는 피난 계획이나 피난 훈련에 대한 부분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와 자료, 사례 등도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이해나 실제 운영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만들어진 법규나 과도하게 강조된 위험성 등으로 그릇된 인식이 형성되어 과도한 인허가 조건이나 부가적인 시설 등도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초고층 건축물 연구들이 준공 이전의 설계 단계에서 실시됐거나 시스템 구축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었던 것과는 다르게 준공 이후 실질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는 소방안전관리자의 관점에서 피난 계획과 피난 훈련을 중심으로 사례조사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피난훈련에 대한 모델과 연구에 대한 결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 특성과 현황 및 사례 등을 조사하였고, 수직적인 높이로 인해 장시간 피난이 필요하고 일반 건축물에는 없는 피난안전구역과 피난용 승강기 등을 이용해야 하며 소방관의 소화활동에도 제약이 큰 초고층 건축물 피난 계획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피난과 관련하여 기준이 되는 국내법규 내용과 해당 적용성을 분석하여 피난안전구역과 피난용 승강기에 대한 법적 보완 및 피난 계획과 피난 훈련에 대한 세부적인 지침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현재 실시되고 있는 초고층 건축물 피난 훈련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현실적이고 발전적인 방향의 피난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초고층 건축물 피난 계획과 피난 훈련의 실제 현황을 연구 및 실증하기 위해 초고층 건축물 3개소를 지정하여 사례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고 피난안전구역과 피난용 승강기가 피난계획과는 다르게 훈련 시 실효성 있게 운영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며, 다수의 피난안전구역이 법정시설이 아닌 임의시설이고 피난용 승강기는 법정 기준에 따라 최소로만 설치되어 초고층 건축물이지만 일반 건축물과 동일하게 피난 계단만으로 피난 훈련이 시행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국의 경우는 피난 계획과 피난 훈련에 대한 기준이 한국과는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기 위해 미국 NFPA의 규정과 일본 소방법규를 조사 및 분석하였고, 한국과 유사한 일본 소방법규와 훨씬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미국 NFPA의 규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위에서 조사한 것들을 최종적으로 검증 및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초고층 건축물 4개소를 포함, 총 10개의 건축물에 대해 37개 문항의 인터뷰를 해당 건축물의 소방안전관리자 등 담당자를 직접 만나서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일반 건축물에 비해 더 높은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 관련 안전성, 재해약자의 피난 관련 전체적인 보완 필요, 피난 시설에 대한 실질적 관리와 활용 강화 등이 필요함을 도출했다.
초고층 건축물 피난 계획에 있어서 개선방안으로 피난안전구역과 피난용 승강기의 실질적인 활용안과 이들이 미비할 경우 피난 계단 중심의 피난 계획을 제시하였고, 피난 훈련에 있어서는 반드시 재해약자가 고려되고 성과중심이 아닌 실질적인 훈련안을 세부적으로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조사 및 분석, 도출한 개선방안을 종합하여 초고층 건축물 피난훈련 모형 3가지를 제시하여 현업 관계인들이 피난 계획과 피난 훈련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최종 결론으로 법규적인 지침의 필요성과 관련 법률 통합 및 개선, 전문인력 양성 등을 제시하였다.
초고층 건축물은 일반 건축물보다 안전하게 운영되고 있지만 화재나 재난시 대형피해가 우려되므로 피난 계획이나 훈련에 있어서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고 전문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개선방안과 훈련모델이 초고층 건축물의 안전과 현업 관계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초고층 건축물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준공 시의 관심이나 주목도에 비해 준공 이후 이루어지는 피난 계획이나 피난 훈련에 대한 부분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와 자료, 사례 등도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이해나 실제 운영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만들어진 법규나 과도하게 강조된 위험성 등으로 그릇된 인식이 형성되어 과도한 인허가 조건이나 부가적인 시설 등도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초고층 건축물 연구들이 준공 이전의 설계 단계에서 실시됐거나 시스템 구축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었던 것과는 다르게 준공 이후 실질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는 소방안전관리자의 관점에서 피난 계획과 피난 훈련을 중심으로 사례조사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피난훈련에 대한 모델과 연구에 대한 결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 특성과 현황 및 사례 등을 조사하였고, 수직적인 높이로 인해 장시간 피난이 필요하고 일반 건축물에는 없는 피난안전구역과 피난용 승강기 등을 이용해야 하며 소방관의 소화활동에도 제약이 큰 초고층 건축물 피난 계획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피난과 관련하여 기준이 되는 국내법규 내용과 해당 적용성을 분석하여 피난안전구역과 피난용 승강기에 대한 법적 보완 및 피난 계획과 피난 훈련에 대한 세부적인 지침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현재 실시되고 있는 초고층 건축물 피난 훈련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현실적이고 발전적인 방향의 피난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초고층 건축물 피난 계획과 피난 훈련의 실제 현황을 연구 및 실증하기 위해 초고층 건축물 3개소를 지정하여 사례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고 피난안전구역과 피난용 승강기가 피난계획과는 다르게 훈련 시 실효성 있게 운영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며, 다수의 피난안전구역이 법정시설이 아닌 임의시설이고 피난용 승강기는 법정 기준에 따라 최소로만 설치되어 초고층 건축물이지만 일반 건축물과 동일하게 피난 계단만으로 피난 훈련이 시행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국의 경우는 피난 계획과 피난 훈련에 대한 기준이 한국과는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기 위해 미국 NFPA의 규정과 일본 소방법규를 조사 및 분석하였고, 한국과 유사한 일본 소방법규와 훨씬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미국 NFPA의 규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위에서 조사한 것들을 최종적으로 검증 및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초고층 건축물 4개소를 포함, 총 10개의 건축물에 대해 37개 문항의 인터뷰를 해당 건축물의 소방안전관리자 등 담당자를 직접 만나서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일반 건축물에 비해 더 높은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 관련 안전성, 재해약자의 피난 관련 전체적인 보완 필요, 피난 시설에 대한 실질적 관리와 활용 강화 등이 필요함을 도출했다.
초고층 건축물 피난 계획에 있어서 개선방안으로 피난안전구역과 피난용 승강기의 실질적인 활용안과 이들이 미비할 경우 피난 계단 중심의 피난 계획을 제시하였고, 피난 훈련에 있어서는 반드시 재해약자가 고려되고 성과중심이 아닌 실질적인 훈련안을 세부적으로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조사 및 분석, 도출한 개선방안을 종합하여 초고층 건축물 피난훈련 모형 3가지를 제시하여 현업 관계인들이 피난 계획과 피난 훈련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최종 결론으로 법규적인 지침의 필요성과 관련 법률 통합 및 개선, 전문인력 양성 등을 제시하였다.
초고층 건축물은 일반 건축물보다 안전하게 운영되고 있지만 화재나 재난시 대형피해가 우려되므로 피난 계획이나 훈련에 있어서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고 전문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개선방안과 훈련모델이 초고층 건축물의 안전과 현업 관계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Although the number of skyscrapers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e evacuation plans or evacuation drills after the approval for building use is not treated as important compared to the interest or attention during construction and research, data, and examples are very scarce. In addition, laws and r...
Although the number of skyscrapers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e evacuation plans or evacuation drills after the approval for building use is not treated as important compared to the interest or attention during construction and research, data, and examples are very scarce. In addition, laws and regulations made in the state of lack of understanding or actual operation experience for skyscrapers. A false perception is formed due to overemphasis on risks, and excessive conditions for permits and additional facilities are being added.
Therefore, unlike the existing research on skyscrapers which were necessary for the design stage before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or the research on the system of skyscrapers, Case studies and interviews related to evacuation planning and evacuation drills were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a fire safety manager who is actually managing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And by analyzing thi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were derived, an evacuation drill models was presented and the study conclusions were made.
To this end, I investigated the fire characteristics, the current status of fires and fire cases of skyscraper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evacuation plans for skyscrapers that require long-term evacuation due to the vertical height, use of area of refuge and evacuation elevators that are not found in general buildings, and have limitations in firefighters' extinguishing activities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domestic regulations and their applicability that are the standards related to evacuation, I confirmed the need for legal supplementation for area of refuge and elevators for evacuation, and detailed guidelines for evacuation plans and evacuation drill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evacuation drills for skyscrapers, I suggested that evacuation drills in a realistic and progressive direc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study the current status of evacuation planning and evacuation drills for skyscrapers, case studies and analysis were conducted by designating 3 skyscrapers. Contrary to the evacuation plan, the area of refuge and elevator for evacuation are not being effectively operated during fire & evacuation drill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many of the area of refuge are arbitrary facilities, not legal facilities, and the elevators for evacuation are installed only at a minimum according to the legal standards, and although it is a skyscrap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evacuation drills using only the evacuation stairs is implemented in the same way as in general buildings.
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the NFPA regulation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Japanese fire regulation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how the standards for evacuation planning and evacuation training differ from those of Korea. It was confirmed that Japanese fire regulations were similar to those of Korea, and the NFPA regulations of the United States provided much more specific and detailed guidelines.
The most important part is to visit 10 buildings (including 4 skyscrapers) and interview 37 questions in order to finally verify and analyze the above investigation and to derive improvement plans. Through this, conclusions such as evacuation safety of skyscrapers, which are better managed compared to general buildings, strengthening management of evacuation for the vulnerable, and establishment of practical plans for evacuation facilities (area of refuge and elevators for evacuation) and reinforcement of utilization were drawn.
As an improvement plan in the evacuation plan for skyscrapers, practical use of area of refuge and elevators for evacuation were presented, and if these were insufficient, an evacuation plan centered on evacuation stairs was presented. In addition, in the evacuation drills, the vulnerable must be considered and practical training plans, not performance-oriented, were presented in detail.
Finally, three types of evacuation drill models for skyscrapers were presented by synthesizing the investigation, analysis, and improvement measures derived so that fire safety managers and other related persons could use them in evacuation plans and evacuation drills. As a final conclusion, the necessity of uniform and detailed guidelines for skyscrapers related laws & regul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management personnel for skyscrapers were presented.
Although skyscrapers are operated more safely than general buildings, large-scale damage can occur in case of fire or disaster, so special attention and professional management are required in evacuation planning or evacuation drills. It is hoped that the improvement plans and evacuation drill models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he safety of skyscrapers and to those involved in the field.
Although the number of skyscrapers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e evacuation plans or evacuation drills after the approval for building use is not treated as important compared to the interest or attention during construction and research, data, and examples are very scarce. In addition, laws and regulations made in the state of lack of understanding or actual operation experience for skyscrapers. A false perception is formed due to overemphasis on risks, and excessive conditions for permits and additional facilities are being added.
Therefore, unlike the existing research on skyscrapers which were necessary for the design stage before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or the research on the system of skyscrapers, Case studies and interviews related to evacuation planning and evacuation drills were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a fire safety manager who is actually managing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And by analyzing thi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were derived, an evacuation drill models was presented and the study conclusions were made.
To this end, I investigated the fire characteristics, the current status of fires and fire cases of skyscraper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evacuation plans for skyscrapers that require long-term evacuation due to the vertical height, use of area of refuge and evacuation elevators that are not found in general buildings, and have limitations in firefighters' extinguishing activities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domestic regulations and their applicability that are the standards related to evacuation, I confirmed the need for legal supplementation for area of refuge and elevators for evacuation, and detailed guidelines for evacuation plans and evacuation drill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evacuation drills for skyscrapers, I suggested that evacuation drills in a realistic and progressive direc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study the current status of evacuation planning and evacuation drills for skyscrapers, case studies and analysis were conducted by designating 3 skyscrapers. Contrary to the evacuation plan, the area of refuge and elevator for evacuation are not being effectively operated during fire & evacuation drill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many of the area of refuge are arbitrary facilities, not legal facilities, and the elevators for evacuation are installed only at a minimum according to the legal standards, and although it is a skyscrap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evacuation drills using only the evacuation stairs is implemented in the same way as in general buildings.
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the NFPA regulation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Japanese fire regulation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how the standards for evacuation planning and evacuation training differ from those of Korea. It was confirmed that Japanese fire regulations were similar to those of Korea, and the NFPA regulations of the United States provided much more specific and detailed guidelines.
The most important part is to visit 10 buildings (including 4 skyscrapers) and interview 37 questions in order to finally verify and analyze the above investigation and to derive improvement plans. Through this, conclusions such as evacuation safety of skyscrapers, which are better managed compared to general buildings, strengthening management of evacuation for the vulnerable, and establishment of practical plans for evacuation facilities (area of refuge and elevators for evacuation) and reinforcement of utilization were drawn.
As an improvement plan in the evacuation plan for skyscrapers, practical use of area of refuge and elevators for evacuation were presented, and if these were insufficient, an evacuation plan centered on evacuation stairs was presented. In addition, in the evacuation drills, the vulnerable must be considered and practical training plans, not performance-oriented, were presented in detail.
Finally, three types of evacuation drill models for skyscrapers were presented by synthesizing the investigation, analysis, and improvement measures derived so that fire safety managers and other related persons could use them in evacuation plans and evacuation drills. As a final conclusion, the necessity of uniform and detailed guidelines for skyscrapers related laws & regul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management personnel for skyscrapers were presented.
Although skyscrapers are operated more safely than general buildings, large-scale damage can occur in case of fire or disaster, so special attention and professional management are required in evacuation planning or evacuation drills. It is hoped that the improvement plans and evacuation drill models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he safety of skyscrapers and to those involved in the field.
Keyword
#초고층 건축물 피난 훈련 피난 계획 피난 훈련 모델 초고층 건축물 사례조사 피난안전구역 피난용 승강기
학위논문 정보
저자
고영섭
학위수여기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방재공학과
지도교수
윤명오
발행연도
2022
총페이지
vi, 128 p.
키워드
초고층 건축물 피난 훈련 피난 계획 피난 훈련 모델 초고층 건축물 사례조사 피난안전구역 피난용 승강기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