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서울올림픽을 기점으로 건물자동화시스템(BAS)의 본격 도입 이후 경제적 이유와 에너지관리시스템(EMS)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국내 건물 에너지관리시스템(BEMS)의 도입이 늦어졌으나 정부와 기업의 꾸준한 노력과 제도적 지원으로 광범위한 보급 및 세계 최초로 BEMS에 대한 국가표준 체계를 2021년 완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적 상황에서 20여개 이상의 민간 전문 업체 및 공기업도 나름의 BEMS를 개발 시장에 진입, 설치 및 운영하고 있다. 많은 BEMS 제품들이 건물 에너지에 대한 가시화 도구만 제공할 뿐 분석은 관리자가 직접 수행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모니터링”이라는 사회적 이해와 ...
1988년 서울올림픽을 기점으로 건물자동화시스템(BAS)의 본격 도입 이후 경제적 이유와 에너지관리시스템(EMS)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국내 건물 에너지관리시스템(BEMS)의 도입이 늦어졌으나 정부와 기업의 꾸준한 노력과 제도적 지원으로 광범위한 보급 및 세계 최초로 BEMS에 대한 국가표준 체계를 2021년 완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적 상황에서 20여개 이상의 민간 전문 업체 및 공기업도 나름의 BEMS를 개발 시장에 진입, 설치 및 운영하고 있다. 많은 BEMS 제품들이 건물 에너지에 대한 가시화 도구만 제공할 뿐 분석은 관리자가 직접 수행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모니터링”이라는 사회적 이해와 에너지 관리 전문가의 부재로 사용성이 떨어져 가는 악순환에 처해있다. BEMS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기관은 BEMS가 모니터링 위주로 제어 기능이 부족하거나 시스템의 안정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관공서 위주의 의무화 시장에서 최저가 입찰로 인한 발주처와 구축 업체에게 BEMS 설치 확인을 받는 것만이 목표가 되었다. BEMS의 원래 목표는 사라지고 의무화만 남는 BEMS 표준화와 제도가 되었다. 따라서 BEMS에 대한 시장 지향적이고 실질적인 제도적 개선이 필요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EMS의 개념과 우리나라 BEMS 보급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BEMS 인증현황분석과 2021 제정된 국가표준 BEMS가 구축된 2개의 공공기관 사례를 조사하여 BEMS의 도입∙확산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BEMS의 국내 보급현황은 ZEB(Zero-energy building) 인증 현황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고, 이미 구축된 BEMS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국가표준 BEMS의 효용성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사례연구를 위해 현재 BEMS를 구축하여 운영 중인 건물을 선정하였고 구축현황과 기존 분석자료를 활용하여 효과검증을 하였다.
1988년 서울올림픽을 기점으로 건물자동화시스템(BAS)의 본격 도입 이후 경제적 이유와 에너지관리시스템(EMS)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국내 건물 에너지관리시스템(BEMS)의 도입이 늦어졌으나 정부와 기업의 꾸준한 노력과 제도적 지원으로 광범위한 보급 및 세계 최초로 BEMS에 대한 국가표준 체계를 2021년 완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적 상황에서 20여개 이상의 민간 전문 업체 및 공기업도 나름의 BEMS를 개발 시장에 진입, 설치 및 운영하고 있다. 많은 BEMS 제품들이 건물 에너지에 대한 가시화 도구만 제공할 뿐 분석은 관리자가 직접 수행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모니터링”이라는 사회적 이해와 에너지 관리 전문가의 부재로 사용성이 떨어져 가는 악순환에 처해있다. BEMS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기관은 BEMS가 모니터링 위주로 제어 기능이 부족하거나 시스템의 안정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관공서 위주의 의무화 시장에서 최저가 입찰로 인한 발주처와 구축 업체에게 BEMS 설치 확인을 받는 것만이 목표가 되었다. BEMS의 원래 목표는 사라지고 의무화만 남는 BEMS 표준화와 제도가 되었다. 따라서 BEMS에 대한 시장 지향적이고 실질적인 제도적 개선이 필요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EMS의 개념과 우리나라 BEMS 보급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BEMS 인증현황분석과 2021 제정된 국가표준 BEMS가 구축된 2개의 공공기관 사례를 조사하여 BEMS의 도입∙확산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BEMS의 국내 보급현황은 ZEB(Zero-energy building) 인증 현황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고, 이미 구축된 BEMS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국가표준 BEMS의 효용성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사례연구를 위해 현재 BEMS를 구축하여 운영 중인 건물을 선정하였고 구축현황과 기존 분석자료를 활용하여 효과검증을 하였다.
Even though the full-scale introduction of the Building Automation System (BAS) starting from the 1988 Seoul Olympics, the introduction of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was delayed due to economic reasons and/or lacks of understanding of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With steady...
Even though the full-scale introduction of the Building Automation System (BAS) starting from the 1988 Seoul Olympics, the introduction of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was delayed due to economic reasons and/or lacks of understanding of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With steady efforts of private BEMS companies and institution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e national standard system for BEMS was completed in 2021 for the first in the world. The adoption of BEMS in the area of government building, school building including large energy consuming building in private sector are being spreaded as per the government guideline. However, it is being evaluated that BEMS products only provide visualization tools for building energy, unfortunately an analysis of data is to be performed directly by the BEMS user or building owner. Finally, general concept and understanding to BEMS is spreaded as an “energy monitoring” only and, also the absence of energy management experts are in a vicious cycle of declining usability of BEMS in small-sized-buildings and houses. According to organizations that install and operate BEMS, the BEMS not only lacks monitoring-oriented control functions or lacks system stability, but also only aims to receive confirmation of BEMS installation from the ordering party and construction companies due to the lowest bid in the compulsory market centered on government offices. The original goal of BEMS has disappeared and has become a BEMS standardization and system that remains mandator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market-oriented and practical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BEMS.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provide the solution for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BEMS by i) identifying the concept and the current usage status of BEMS in Korea and ii) researching the case studies of two public institutions which have the national standard BEMS amended in 2021. For this, the domestic supply status of BEMS was aralyzed through the ZEB accredited data, and effectiveness and problems of national standard BEM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ly established BEMS studies. Also, through the case study, the effectiveness of was verified using the operated BEMS. Finally, It is intended to raise the role of BEMS, which is essential for efficient energy saving and energy management in the building part, and to suggest improvement points for each stage of BEMS installation that require simplification and generalization of device management.
Even though the full-scale introduction of the Building Automation System (BAS) starting from the 1988 Seoul Olympics, the introduction of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was delayed due to economic reasons and/or lacks of understanding of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With steady efforts of private BEMS companies and institution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e national standard system for BEMS was completed in 2021 for the first in the world. The adoption of BEMS in the area of government building, school building including large energy consuming building in private sector are being spreaded as per the government guideline. However, it is being evaluated that BEMS products only provide visualization tools for building energy, unfortunately an analysis of data is to be performed directly by the BEMS user or building owner. Finally, general concept and understanding to BEMS is spreaded as an “energy monitoring” only and, also the absence of energy management experts are in a vicious cycle of declining usability of BEMS in small-sized-buildings and houses. According to organizations that install and operate BEMS, the BEMS not only lacks monitoring-oriented control functions or lacks system stability, but also only aims to receive confirmation of BEMS installation from the ordering party and construction companies due to the lowest bid in the compulsory market centered on government offices. The original goal of BEMS has disappeared and has become a BEMS standardization and system that remains mandator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market-oriented and practical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BEMS.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provide the solution for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BEMS by i) identifying the concept and the current usage status of BEMS in Korea and ii) researching the case studies of two public institutions which have the national standard BEMS amended in 2021. For this, the domestic supply status of BEMS was aralyzed through the ZEB accredited data, and effectiveness and problems of national standard BEM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ly established BEMS studies. Also, through the case study, the effectiveness of was verified using the operated BEMS. Finally, It is intended to raise the role of BEMS, which is essential for efficient energy saving and energy management in the building part, and to suggest improvement points for each stage of BEMS installation that require simplification and generalization of device managem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