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옥수수 플레이크의 전분 호화도가 육성기 한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Feeding Effects of Flaked Corn According to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on Performance of Growing Hanwoo Steers원문보기
본 연구는 옥수수 플레이크 두께의 변화에 따른 전분 호화도 차이가 육성기 거세 한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통옥수수와 옥수수 플레이크의 일반성분, 두께 및 전분 호화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in situ 건물소화율 및 유효 건물분해율을 측정 비교하였다. 옥수수 플레이크 전분 호화도를 달리하여 육성기 거세우에게 급여하는 사양실험을 통해 체중, 건물섭취량, 일당증체량 및 사료요구율을 구하였다. 통옥수수(UC) 및 옥수수 플레이크(FC-30 및 FC-70)의 ...
본 연구는 옥수수 플레이크 두께의 변화에 따른 전분 호화도 차이가 육성기 거세 한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통옥수수와 옥수수 플레이크의 일반성분, 두께 및 전분 호화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in situ 건물소화율 및 유효 건물분해율을 측정 비교하였다. 옥수수 플레이크 전분 호화도를 달리하여 육성기 거세우에게 급여하는 사양실험을 통해 체중, 건물섭취량, 일당증체량 및 사료요구율을 구하였다. 통옥수수(UC) 및 옥수수 플레이크(FC-30 및 FC-70)의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조섬유, NDF 및 NFC 함량은 UC에서 각각 8.63, 3.83, 1.35, 2.25, 12.14 및 73.91%이며, FC-30는 각각 8.63, 4.13, 1.29, 1.97, 11.41 및 75.03%이고, FC-70는 각각 8.03, 2.86, 0.98, 1.77, 10.43 및 77.71%로 나타났다. 통옥수수는 플레이크 가공을 통해 두께가 얇아지면서 종실 내 배아 및 외피가 탈락하면서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조섬유 및 NDF 함량이 감소하며 NFC 함량은 증가하였다(P<0.05). 처리구별 두께(mm) 및 전분 호화도(%)는 UC에서 각각 4.49 및 21.38이며, FC-30은 각각 3.07 및 32.71이고, FC-70은 각각 1.71 및 67.97로 두께가 얇을수록 전분 호화도는 증가했다(P<0.05). 플레이크 가공 처리는 옥수수의 반추위 in situ 건물소화율을 개선시켰다. 배양시간 48시간까지를 기준으로 UC는 77.84%이고, FC-30 및 FC-70은 각각 85.27 및 89.20%로 나타났고, 특히 플레이크는 두께가 얇고 전분 호화도가 높을수록 건물소화율도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반추위 in situ 유효 건물분해율(ED)도 전분 호화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P<0.05). 반추위 outflow rate가 2% 일 때 UC, FC-30 및 FC-70은 각각 57.24, 59.93 및 76.00%이며, 4% 일 때 각각 45.20, 46.82 및 67.50%이고, 6%일 때 각각 37.29, 38.78 및 61.57%로 나타났다. 한우 육성기 거세 한우 72두를 대상으로 20주(142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고, 2처리구, 9반복으로 우방 당 4두씩을 개월령(평균 10.2 ± 0.9 개월) 및 체중(316 ± 35.4 kg)을 고려하여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대조구(FC-30)는 옥수수 플레이크의 전분 호화도가 30%인 배합사료를 사용하였고 처리구(FC-70)는 전분 호화도가 70%인 옥수수 플레이크를 사용하였다. 옥수수 플레이크의 전분 호화도 차이는 체중 및 건물섭취량에서 유의차는 없었다. 그러나 일당증체량(kg)은 전체 실험기간에서는 0.96 vs. 0.96으로 유의차는 없었으나, 실험 56∼84일에서 0.59 vs. 0.71로 FC-70에서 높게 나타났고, 112∼142일에서 1.07 vs. 0.90으로 FC-70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사료요구율도 전체 실험시간에서는 9.65 vs. 9.66으로 유의차는 없었으나, 실험 56∼84일에서 15.15 vs. 12.81로 FC-70에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P=0.095), 112∼142일에서 10.02 vs. 11.79로 FC-70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P=0.066). 본 실험에서 옥수수 플레이크의 높은 전분 호화도는 육성기 거세 한우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육성기 사양관리에 따라 배합사료는 제한 급여하며 조사료는 무제한으로 충분히 급여하면서 옥수수 플레이크가 미치는 영향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옥수수 플레이크 비율이 높고 배합사료 급여량이 많은 비육기에서는 높은 전분 호화도를 지닌 옥수수 플레이크 급여가 한우 생산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옥수수 플레이크 두께의 변화에 따른 전분 호화도 차이가 육성기 거세 한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통옥수수와 옥수수 플레이크의 일반성분, 두께 및 전분 호화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in situ 건물소화율 및 유효 건물분해율을 측정 비교하였다. 옥수수 플레이크 전분 호화도를 달리하여 육성기 거세우에게 급여하는 사양실험을 통해 체중, 건물섭취량, 일당증체량 및 사료요구율을 구하였다. 통옥수수(UC) 및 옥수수 플레이크(FC-30 및 FC-70)의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조섬유, NDF 및 NFC 함량은 UC에서 각각 8.63, 3.83, 1.35, 2.25, 12.14 및 73.91%이며, FC-30는 각각 8.63, 4.13, 1.29, 1.97, 11.41 및 75.03%이고, FC-70는 각각 8.03, 2.86, 0.98, 1.77, 10.43 및 77.71%로 나타났다. 통옥수수는 플레이크 가공을 통해 두께가 얇아지면서 종실 내 배아 및 외피가 탈락하면서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조섬유 및 NDF 함량이 감소하며 NFC 함량은 증가하였다(P<0.05). 처리구별 두께(mm) 및 전분 호화도(%)는 UC에서 각각 4.49 및 21.38이며, FC-30은 각각 3.07 및 32.71이고, FC-70은 각각 1.71 및 67.97로 두께가 얇을수록 전분 호화도는 증가했다(P<0.05). 플레이크 가공 처리는 옥수수의 반추위 in situ 건물소화율을 개선시켰다. 배양시간 48시간까지를 기준으로 UC는 77.84%이고, FC-30 및 FC-70은 각각 85.27 및 89.20%로 나타났고, 특히 플레이크는 두께가 얇고 전분 호화도가 높을수록 건물소화율도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반추위 in situ 유효 건물분해율(ED)도 전분 호화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P<0.05). 반추위 outflow rate가 2% 일 때 UC, FC-30 및 FC-70은 각각 57.24, 59.93 및 76.00%이며, 4% 일 때 각각 45.20, 46.82 및 67.50%이고, 6%일 때 각각 37.29, 38.78 및 61.57%로 나타났다. 한우 육성기 거세 한우 72두를 대상으로 20주(142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고, 2처리구, 9반복으로 우방 당 4두씩을 개월령(평균 10.2 ± 0.9 개월) 및 체중(316 ± 35.4 kg)을 고려하여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대조구(FC-30)는 옥수수 플레이크의 전분 호화도가 30%인 배합사료를 사용하였고 처리구(FC-70)는 전분 호화도가 70%인 옥수수 플레이크를 사용하였다. 옥수수 플레이크의 전분 호화도 차이는 체중 및 건물섭취량에서 유의차는 없었다. 그러나 일당증체량(kg)은 전체 실험기간에서는 0.96 vs. 0.96으로 유의차는 없었으나, 실험 56∼84일에서 0.59 vs. 0.71로 FC-70에서 높게 나타났고, 112∼142일에서 1.07 vs. 0.90으로 FC-70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사료요구율도 전체 실험시간에서는 9.65 vs. 9.66으로 유의차는 없었으나, 실험 56∼84일에서 15.15 vs. 12.81로 FC-70에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P=0.095), 112∼142일에서 10.02 vs. 11.79로 FC-70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P=0.066). 본 실험에서 옥수수 플레이크의 높은 전분 호화도는 육성기 거세 한우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육성기 사양관리에 따라 배합사료는 제한 급여하며 조사료는 무제한으로 충분히 급여하면서 옥수수 플레이크가 미치는 영향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옥수수 플레이크 비율이 높고 배합사료 급여량이 많은 비육기에서는 높은 전분 호화도를 지닌 옥수수 플레이크 급여가 한우 생산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flaked corn by different degree of gelatinization and their effects on performance in growing Hanwoo steers. Treatments consist of prior- and post-process for steam flaking of corn : Untreated corn (UC), Steam flaked corn with 30% of starch gelatinization degre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flaked corn by different degree of gelatinization and their effects on performance in growing Hanwoo steers. Treatments consist of prior- and post-process for steam flaking of corn : Untreated corn (UC), Steam flaked corn with 30% of starch gelatinization degree (FC-30), and Steam flaked corn with 70% of starch gelatinization degree (FC-70). Nutritional value and ruminal in situ degradability of the treatments were assessed. In vivo feeding trial was performed for 20 weeks. Seventy-two growing steers (initial BW, 316.0 ± 35.4 kg; age, 10.2 ± 0.9 month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wo treatments (FC-30 and FC-70) according to BW and age in 18 pens (4 animals/pen). In the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for UC, FC-30, and FC-70, CP, EE, ash, CF, NDF, and NFC were 8.63, 3.83, 1.35, 2.25, 12.14 and 73.91%, and 8.63, 4.13, 1.29, 1.97, 11.41 and 75.03%, and 8.03, 2.86, 0.98, 1.77, 10.43 and 77.71%, respectively. Ruminal in situ DM degradability of FC-70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UC and FC-30 during the whole incubation period. The DM degradability was 77.84, 85.27, and 89.20% at 48 hours, respectively. The effective degradability was 57.24, 59.93, and 76.00% at outflow rate 2%, and 45.20, 46.82, and 67.50% at outflow rate 4%, and 37.29, 38.78, and 61.57% at outflow rate 6%, respectively. In vivo feeding tria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W and feed intake. ADG of day 56 to 84 FC-70 (0.71 kg) was higher than FC-30 (0.59 kg), and day 112 to 142 FC-70 (0.90 kg) was lower than FC-30 (1.07 kg; P<0.05). FCR of day 56 to 84 FC-70 (12.81) was lower than FC-30 (15.15; P=0.095), and day 112 to 142 FC-70 (11.79) was higher than FC-30 (10.02; P=0.066). The high starch gelatinization degree of flaked corn did not affect on the performance in growing Hanwoo steers. However, because of breeding management at growing period estimated to reduce the effect of flaked corn. Therefore, feeding flaked corn with high starch gelatinization degree need to additional study in fattening Hanwoo ste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flaked corn by different degree of gelatinization and their effects on performance in growing Hanwoo steers. Treatments consist of prior- and post-process for steam flaking of corn : Untreated corn (UC), Steam flaked corn with 30% of starch gelatinization degree (FC-30), and Steam flaked corn with 70% of starch gelatinization degree (FC-70). Nutritional value and ruminal in situ degradability of the treatments were assessed. In vivo feeding trial was performed for 20 weeks. Seventy-two growing steers (initial BW, 316.0 ± 35.4 kg; age, 10.2 ± 0.9 month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wo treatments (FC-30 and FC-70) according to BW and age in 18 pens (4 animals/pen). In the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for UC, FC-30, and FC-70, CP, EE, ash, CF, NDF, and NFC were 8.63, 3.83, 1.35, 2.25, 12.14 and 73.91%, and 8.63, 4.13, 1.29, 1.97, 11.41 and 75.03%, and 8.03, 2.86, 0.98, 1.77, 10.43 and 77.71%, respectively. Ruminal in situ DM degradability of FC-70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UC and FC-30 during the whole incubation period. The DM degradability was 77.84, 85.27, and 89.20% at 48 hours, respectively. The effective degradability was 57.24, 59.93, and 76.00% at outflow rate 2%, and 45.20, 46.82, and 67.50% at outflow rate 4%, and 37.29, 38.78, and 61.57% at outflow rate 6%, respectively. In vivo feeding tria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W and feed intake. ADG of day 56 to 84 FC-70 (0.71 kg) was higher than FC-30 (0.59 kg), and day 112 to 142 FC-70 (0.90 kg) was lower than FC-30 (1.07 kg; P<0.05). FCR of day 56 to 84 FC-70 (12.81) was lower than FC-30 (15.15; P=0.095), and day 112 to 142 FC-70 (11.79) was higher than FC-30 (10.02; P=0.066). The high starch gelatinization degree of flaked corn did not affect on the performance in growing Hanwoo steers. However, because of breeding management at growing period estimated to reduce the effect of flaked corn. Therefore, feeding flaked corn with high starch gelatinization degree need to additional study in fattening Hanwoo stee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