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가로막 스트레칭 기법에 의한 허리통증 환자의 가로막 수축률, 최대들숨압력과 최대날숨압력, 몸통 근육 활성도 및 허리 가동성 변화 Changes of Diaphragm Thickness Fraction,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aximum Expiratory Pressure, Trunk Muscle Activity and Back Mobility by Diaphragm Stretching Technique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원문보기
목적: 본 연구는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 시 허리통증 환자의 가로막 수축률, 최대들숨압력과 최대날숨압력, 몸통 근육 활성도와 허리 가동성 변화를 확인하여 허리통증 치료방법으로서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허리통증 환자 34명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군에는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에는 위약 중재를 적용하였다.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은 1회 실시하고 7분 동안 장력을 유지하였고, 위약중재는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과 같은 자세로 실시하되 압력 없이 가벼운 접촉만 유지하였다. 가로막 수축률, 최대들숨압력, 최대날숨압력, ...
목적: 본 연구는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 시 허리통증 환자의 가로막 수축률, 최대들숨압력과 최대날숨압력, 몸통 근육 활성도와 허리 가동성 변화를 확인하여 허리통증 치료방법으로서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허리통증 환자 34명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군에는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에는 위약 중재를 적용하였다.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은 1회 실시하고 7분 동안 장력을 유지하였고, 위약중재는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과 같은 자세로 실시하되 압력 없이 가벼운 접촉만 유지하였다. 가로막 수축률, 최대들숨압력, 최대날숨압력, 자세 유지 시의 몸통 근육 활성도와 허리 가동성을 중재 전과 후에 측정하여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군 내 중재 전과 후의 비교는 대응표본 t 검정을,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는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α)은 0.05로 설정하였다. 결과: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을 실시한 실험군은 중재 후 가로막 수축률, 최대들숨압력, 최대날숨압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자세 유지 시의 몸통 근육 활성도는 유의하게 줄어들었으며, 허리 가동성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위약 중재를 실시한 대조군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중재 전‧후 군 간 변화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실험군에서만 가로막 수축률, 최대들숨압력, 최대날숨압력, 몸통 근육 활성도, 허리 가동성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은 위약 중재에 비해 가로막 수축률, 최대들숨압력, 최대날숨압력, 허리 가동성을 개선시켰다. 가로막의 몸통 안정화 기능의 개선으로 자세 유지 시 몸통 근육 활성도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은 허리통증 환자에게 통증 개선을 위해 권고될 수 있는 물리치료 중재로 사료된다.
목적: 본 연구는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 시 허리통증 환자의 가로막 수축률, 최대들숨압력과 최대날숨압력, 몸통 근육 활성도와 허리 가동성 변화를 확인하여 허리통증 치료방법으로서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허리통증 환자 34명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군에는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에는 위약 중재를 적용하였다.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은 1회 실시하고 7분 동안 장력을 유지하였고, 위약중재는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과 같은 자세로 실시하되 압력 없이 가벼운 접촉만 유지하였다. 가로막 수축률, 최대들숨압력, 최대날숨압력, 자세 유지 시의 몸통 근육 활성도와 허리 가동성을 중재 전과 후에 측정하여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군 내 중재 전과 후의 비교는 대응표본 t 검정을,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는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α)은 0.05로 설정하였다. 결과: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을 실시한 실험군은 중재 후 가로막 수축률, 최대들숨압력, 최대날숨압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자세 유지 시의 몸통 근육 활성도는 유의하게 줄어들었으며, 허리 가동성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위약 중재를 실시한 대조군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중재 전‧후 군 간 변화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실험군에서만 가로막 수축률, 최대들숨압력, 최대날숨압력, 몸통 근육 활성도, 허리 가동성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은 위약 중재에 비해 가로막 수축률, 최대들숨압력, 최대날숨압력, 허리 가동성을 개선시켰다. 가로막의 몸통 안정화 기능의 개선으로 자세 유지 시 몸통 근육 활성도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로막 스트레칭 기법은 허리통증 환자에게 통증 개선을 위해 권고될 수 있는 물리치료 중재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diaphragm stretching technique as a treatment method for low back pain by evaluating the diaphragm contraction rate,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aximum expiratory pressure, trunk muscle activity, and changes in back mobility in patients wi...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diaphragm stretching technique as a treatment method for low back pain by evaluating the diaphragm contraction rate,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aximum expiratory pressure, trunk muscle activity, and changes in back mobility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Methods: Thirty-four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diaphragm stretching technique was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placebo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the control group. The diaphragm stretching technique was conducted once, maintaining the tension for 7 min. The placebo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diaphragm stretching technique but with only light contact maintained without pressure. The diaphragm thickness fraction,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aximum expiratory pressure, trunk muscle activity, and back mobility during posture maintenanc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chang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 paired sample t-test was used to compare measuremen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ithin the group.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tatistical significance (α) was set at 0.05.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iaphragm contraction rate,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and maximum expiratory pressu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intervention.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posture maintenance decreased significantly, and back mobility improved significantly (p0.05). Nonethless, comparative analysis of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between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aphragm thickness fraction,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aximum expiratory pressure, trunk muscle activity, and back mo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p<0.05). Conclusion: The diaphragm stretching technique improved the diaphragm thickness fraction,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aximum expiratory pressure, and back mobility compared to the placebo intervention, and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posture maintenance was lower due to the improved trunk stabilization function of the diaphragm. Therefore, the diaphragm stretching technique can be recommended as a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to improve pain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diaphragm stretching technique as a treatment method for low back pain by evaluating the diaphragm contraction rate,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aximum expiratory pressure, trunk muscle activity, and changes in back mobility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Methods: Thirty-four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diaphragm stretching technique was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placebo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the control group. The diaphragm stretching technique was conducted once, maintaining the tension for 7 min. The placebo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diaphragm stretching technique but with only light contact maintained without pressure. The diaphragm thickness fraction,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aximum expiratory pressure, trunk muscle activity, and back mobility during posture maintenanc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chang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 paired sample t-test was used to compare measuremen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ithin the group.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tatistical significance (α) was set at 0.05.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iaphragm contraction rate,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and maximum expiratory pressu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intervention.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posture maintenance decreased significantly, and back mobility improved significantly (p0.05). Nonethless, comparative analysis of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between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aphragm thickness fraction,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aximum expiratory pressure, trunk muscle activity, and back mo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p<0.05). Conclusion: The diaphragm stretching technique improved the diaphragm thickness fraction,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aximum expiratory pressure, and back mobility compared to the placebo intervention, and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posture maintenance was lower due to the improved trunk stabilization function of the diaphragm. Therefore, the diaphragm stretching technique can be recommended as a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to improve pain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