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의 고독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디지털 리터러시를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기술적 이용 능력, 정보 활용 능력, 비판적 이해 능력,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각각의 조절효과를 세부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만 65세 이상의 참가자 303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UCLA 고독감 척도, 단축형 노인 우울 척도(...
본 연구는 노인의 고독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디지털 리터러시를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기술적 이용 능력, 정보 활용 능력, 비판적 이해 능력,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각각의 조절효과를 세부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만 65세 이상의 참가자 303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UCLA 고독감 척도, 단축형 노인 우울 척도(SGDS-K), 디지털 리터러시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코로나 19 상황을 고려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이 중 연령에 부합하지 않은 참가자와 필수문항에 응답하지 않은 혹은 설문을 끝마치지 못한 36명의 자료를 제외하여 총 267명(남자 113명, 여자 154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6.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 for SPSS version 3.6을 사용하여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독감이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고독감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둘째, 고독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독감의 수준이 높더라도 디지털 리터러시의 수준이 높으면 우울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고독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각 하위요인의 조절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기술적 이용 능력, 정보 활용 능력, 비판적 이해 능력, 의사소통 능력 각각은 노인의 고독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의 고독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하위요인별로 나누어 세부적인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노년기 정서적 문제 개입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노인의 고독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디지털 리터러시를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기술적 이용 능력, 정보 활용 능력, 비판적 이해 능력,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각각의 조절효과를 세부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만 65세 이상의 참가자 303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UCLA 고독감 척도, 단축형 노인 우울 척도(SGDS-K), 디지털 리터러시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코로나 19 상황을 고려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이 중 연령에 부합하지 않은 참가자와 필수문항에 응답하지 않은 혹은 설문을 끝마치지 못한 36명의 자료를 제외하여 총 267명(남자 113명, 여자 154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6.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 for SPSS version 3.6을 사용하여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독감이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고독감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둘째, 고독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독감의 수준이 높더라도 디지털 리터러시의 수준이 높으면 우울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고독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각 하위요인의 조절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기술적 이용 능력, 정보 활용 능력, 비판적 이해 능력, 의사소통 능력 각각은 노인의 고독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의 고독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하위요인별로 나누어 세부적인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노년기 정서적 문제 개입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