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시 중랑천의 도시하천생태계에서 물새류 군집 특성을 파악하고 물새류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서식환경 요인을 분석하여 물새류 군집과 서식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는 2018년 2월부터 2020년 11월까지의 기간동안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수행되지 않았던 중랑천 전 구간에 서식하는 물새류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그 의의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 물새류는 6개 분류군으로 나누었다. 조사지역에서 관찰된 물새류는 총 28종 7,748개체가 기록되었다. 종수는 대형섭금류(large wading birds)가 8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되었고, 개체수는 수면성오리류(dabbling ducks)가 5,239개체로 가장 많았다. 물새류 군집과 서식환경 요인과의 관계는 다중선형회귀분석(...
본 연구는 서울시 중랑천의 도시하천생태계에서 물새류 군집 특성을 파악하고 물새류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서식환경 요인을 분석하여 물새류 군집과 서식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는 2018년 2월부터 2020년 11월까지의 기간동안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수행되지 않았던 중랑천 전 구간에 서식하는 물새류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그 의의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 물새류는 6개 분류군으로 나누었다. 조사지역에서 관찰된 물새류는 총 28종 7,748개체가 기록되었다. 종수는 대형섭금류(large wading birds)가 8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되었고, 개체수는 수면성오리류(dabbling ducks)가 5,239개체로 가장 많았다. 물새류 군집과 서식환경 요인과의 관계는 다중선형회귀분석(MLR)을 통해 하천 구조 요인과 서식지 특성 요인을 분석하였다. 하천 구조 요인 중 하천의 폭과 투명도, 소(물의 흐름), 모래와 큰돌(하상의 재료), 제방 형태, 굴곡의 수는 물새류 군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투명도와 굴곡의 수는 물새류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하천 구조로 밝혀졌다. 또한 물의 투명도는 물새류의 먹이 찾는 능력과 출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서식지 특성 요인 중 수역 면적과 수면식생 면적, 수변식물 종수, 징검다리, 낙차공 및 어도, 시가화 면적, 녹지 공간 면적, 산림 식생 면적, 자전거도로 면적, 먹이주는 행위가 물새류 군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수역 면적과 수변식물 종수, 낙차공 및 어도는 물새류에게 크게 영향을 주는 서식지 특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중 수변식물은 물새류에게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고, 낙차공 및 어도는 먹이원 공급과 휴식공간 제공의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하였다. 서울시 중랑천의 도시하천생태계에서는 물새류 군집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서식환경 관리 목표를 설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도시하천 관리 및 생태도시 설계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중랑천의 도시하천생태계에서 물새류 군집 특성을 파악하고 물새류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서식환경 요인을 분석하여 물새류 군집과 서식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는 2018년 2월부터 2020년 11월까지의 기간동안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수행되지 않았던 중랑천 전 구간에 서식하는 물새류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그 의의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 물새류는 6개 분류군으로 나누었다. 조사지역에서 관찰된 물새류는 총 28종 7,748개체가 기록되었다. 종수는 대형섭금류(large wading birds)가 8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되었고, 개체수는 수면성오리류(dabbling ducks)가 5,239개체로 가장 많았다. 물새류 군집과 서식환경 요인과의 관계는 다중선형회귀분석(MLR)을 통해 하천 구조 요인과 서식지 특성 요인을 분석하였다. 하천 구조 요인 중 하천의 폭과 투명도, 소(물의 흐름), 모래와 큰돌(하상의 재료), 제방 형태, 굴곡의 수는 물새류 군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투명도와 굴곡의 수는 물새류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하천 구조로 밝혀졌다. 또한 물의 투명도는 물새류의 먹이 찾는 능력과 출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서식지 특성 요인 중 수역 면적과 수면식생 면적, 수변식물 종수, 징검다리, 낙차공 및 어도, 시가화 면적, 녹지 공간 면적, 산림 식생 면적, 자전거도로 면적, 먹이주는 행위가 물새류 군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수역 면적과 수변식물 종수, 낙차공 및 어도는 물새류에게 크게 영향을 주는 서식지 특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중 수변식물은 물새류에게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고, 낙차공 및 어도는 먹이원 공급과 휴식공간 제공의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하였다. 서울시 중랑천의 도시하천생태계에서는 물새류 군집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서식환경 관리 목표를 설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도시하천 관리 및 생태도시 설계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waterbirds community and habitat variables in a urban stream ecosyst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in total area of Jungnangcheon, Seoul, South Korea from February 2018 to November 2020. Waterbirds were classified to six major grou...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waterbirds community and habitat variables in a urban stream ecosyst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in total area of Jungnangcheon, Seoul, South Korea from February 2018 to November 2020. Waterbirds were classified to six major groups such as cormorants, large wading birds, dabbling ducks, diving ducks, gulls, and small wading birds. Total 7,748 individuals of 28 species of waterbirds were recorded in this study. Large wading birds (1,102 individuals of 8 species) and dabbling ducks (5,239 individuals of 7 species) were dominant waterbirds.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analysis was used for relationship between waterbirds community and habitat variables such as stream structure and habitat characteristics. Waterbird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ater width, transparency, water flow-pool, bed material-sand and cobbles, levee form, and number of bends. Especially, transparency and number of bends were major stream structure for waterbirds. Moreover, transparency would be affected to food supply and occurrence of waterbirds. Water cover, vegetation cover, number of plant species, stepping stone, drop-fishway, urbanized cover, green space cover, forest vegetation cover, bicycle road cover, and feeding were significantly affecting habitat characteristics for waterbirds. Especially, water cover, number of plant species, and drop-fishway were major habitat characteristics. Riparian plants might supply various merits for waterbirds. Moreover, drop-fishway could be positive variables for food supply and resting. Different habitat management goals would be prepared in each sector of Jungnangcheon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aterbirds and their habita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basic information in urban stream management and ecological city desig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waterbirds community and habitat variables in a urban stream ecosyst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in total area of Jungnangcheon, Seoul, South Korea from February 2018 to November 2020. Waterbirds were classified to six major groups such as cormorants, large wading birds, dabbling ducks, diving ducks, gulls, and small wading birds. Total 7,748 individuals of 28 species of waterbirds were recorded in this study. Large wading birds (1,102 individuals of 8 species) and dabbling ducks (5,239 individuals of 7 species) were dominant waterbirds.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analysis was used for relationship between waterbirds community and habitat variables such as stream structure and habitat characteristics. Waterbird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ater width, transparency, water flow-pool, bed material-sand and cobbles, levee form, and number of bends. Especially, transparency and number of bends were major stream structure for waterbirds. Moreover, transparency would be affected to food supply and occurrence of waterbirds. Water cover, vegetation cover, number of plant species, stepping stone, drop-fishway, urbanized cover, green space cover, forest vegetation cover, bicycle road cover, and feeding were significantly affecting habitat characteristics for waterbirds. Especially, water cover, number of plant species, and drop-fishway were major habitat characteristics. Riparian plants might supply various merits for waterbirds. Moreover, drop-fishway could be positive variables for food supply and resting. Different habitat management goals would be prepared in each sector of Jungnangcheon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aterbirds and their habita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basic information in urban stream management and ecological city design.
Keyword
#다중선형회귀분석 물새류 서식지 특성 중랑천 하천 구조 habitat characteristics Jungnangche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stream structure waterbirds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규중
학위수여기관
중앙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동물생명공학과 동물영양 및 행동복지학전공
지도교수
임신재
발행연도
2023
총페이지
x, 173 p.
키워드
다중선형회귀분석 물새류 서식지 특성 중랑천 하천 구조 habitat characteristics Jungnangche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stream structure waterbird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