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녹지 면적과 기온의 비교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공원계획의 고찰 : 기후변화 대응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of urban parks planning in Seoul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green areas and Temperature원문보기
2022년 현재 전 세계는 기후 위기 시대를 맞아, 지구 온도 1.5℃ 저감을 위한 탄소중립, 지속가능한 발전 등과 같은 세계 공동목표를 세우고 국가별·도시별로 다양한 정책과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 또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계획과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녹지 확보가 ...
2022년 현재 전 세계는 기후 위기 시대를 맞아, 지구 온도 1.5℃ 저감을 위한 탄소중립, 지속가능한 발전 등과 같은 세계 공동목표를 세우고 국가별·도시별로 다양한 정책과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 또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계획과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녹지 확보가 도시열섬 저감에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직관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녹지 취약 자치구를 선정하여 서울시의 도시공원계획을 고찰한 결과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ArcGIS Pro를 이용하여 녹지와 극한 기온의 공간 분포 분석을 바탕으로 녹지 지표와 열섬 관련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녹지 지표가 극한 기온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별히 녹피면적 및 녹피율이 극한 기온과 갖는 상관계수는-0.68(p=0.000)로 나타나 강한 음의 상관성을 가졌다. 이에, 도시 내 녹지와 기온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판단하였고, 총 9개의 녹지 지표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동대문구와 영등포구를 본 연구의 녹지 취약 자치구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실제 자치구별 만족도가 이 결과에 상응하는지 확인하고자 비교분석을 하였고, 두 자치구는 만족도 측면에서도 저조한 값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동대문구와 영등포구는 녹지 확보가 절실히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이후,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과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을 고찰하여 동대문구와 영등포구에 해당하는 공원녹지 확충 계획을 검토하였다.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에서는 동대문구(4.35%), 영등포구(3.87%)로 공원확충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2030년까지 계획대로 공원녹지를 확충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의 공원 소외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하여 추진하고 있는 유휴지를 활용한 공원 조성계획은 위 두 자치구를 대상으로 최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2022년 현재 전 세계는 기후 위기 시대를 맞아, 지구 온도 1.5℃ 저감을 위한 탄소중립, 지속가능한 발전 등과 같은 세계 공동목표를 세우고 국가별·도시별로 다양한 정책과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 또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계획과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녹지 확보가 도시열섬 저감에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직관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녹지 취약 자치구를 선정하여 서울시의 도시공원계획을 고찰한 결과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ArcGIS Pro를 이용하여 녹지와 극한 기온의 공간 분포 분석을 바탕으로 녹지 지표와 열섬 관련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녹지 지표가 극한 기온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별히 녹피면적 및 녹피율이 극한 기온과 갖는 상관계수는-0.68(p=0.000)로 나타나 강한 음의 상관성을 가졌다. 이에, 도시 내 녹지와 기온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판단하였고, 총 9개의 녹지 지표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동대문구와 영등포구를 본 연구의 녹지 취약 자치구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실제 자치구별 만족도가 이 결과에 상응하는지 확인하고자 비교분석을 하였고, 두 자치구는 만족도 측면에서도 저조한 값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동대문구와 영등포구는 녹지 확보가 절실히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이후,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과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을 고찰하여 동대문구와 영등포구에 해당하는 공원녹지 확충 계획을 검토하였다.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에서는 동대문구(4.35%), 영등포구(3.87%)로 공원확충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2030년까지 계획대로 공원녹지를 확충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의 공원 소외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하여 추진하고 있는 유휴지를 활용한 공원 조성계획은 위 두 자치구를 대상으로 최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se days, 2022, In the era of in the face of the climate crisis, the world is setting common global goals such as carbon neutr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o reduce global temperature by 1.5℃ and promoting various policies and plans by country and city. Seoul,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
These days, 2022, In the era of in the face of the climate crisis, the world is setting common global goals such as carbon neutr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o reduce global temperature by 1.5℃ and promoting various policies and plans by country and city. Seoul,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 is also continuing to promote urban planning and policies to deal with climate change. Therefore, in this study, intuitively analyzed how the securing of green spaces for climate changes responses i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urban heat islands. In addition, after selecting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green spaces, implications were drawn throug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urban park plan of Seoul.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een area index and the heat island related index was analyzed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the green area and extreme temperature using ArcGIS Pro.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reen area index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xtreme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green cover area and green cover rate with extreme temperature was -0.68(p=0.000), showing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green space and temperature in the city, and a total of 9 indicators related to green space were comprehensively sorted out to select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as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green spaces in this study.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whether the actual satisfaction level of each autonomous district corresponds to this result, and the two autonomous districts showed low values in terms of satisfaction as well. Accordingly, this thesis suggested that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desperately need to secure green areas. Afterwards, the 「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and the 「Comprehensive Pla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were reviewed to review the park and green area expansion plans for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In the「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there were plans to expand parks in Dongdaemun-gu(4.35%) and Yeongdeungpo-gu(3.87%), So this thesis emphasized that the policy to expand parks and green areas should be pursued as planned by 2030. In addition, Suggest that the park creation plan using idle land, which is being promoted to resolve the imbalance in underprivileged areas in the 「Comprehensive Pla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should be implemented first for the above two autonomous districts.
These days, 2022, In the era of in the face of the climate crisis, the world is setting common global goals such as carbon neutr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o reduce global temperature by 1.5℃ and promoting various policies and plans by country and city. Seoul,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 is also continuing to promote urban planning and policies to deal with climate change. Therefore, in this study, intuitively analyzed how the securing of green spaces for climate changes responses i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urban heat islands. In addition, after selecting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green spaces, implications were drawn throug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urban park plan of Seoul.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een area index and the heat island related index was analyzed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the green area and extreme temperature using ArcGIS Pro.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reen area index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xtreme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green cover area and green cover rate with extreme temperature was -0.68(p=0.000), showing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green space and temperature in the city, and a total of 9 indicators related to green space were comprehensively sorted out to select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as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green spaces in this study.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whether the actual satisfaction level of each autonomous district corresponds to this result, and the two autonomous districts showed low values in terms of satisfaction as well. Accordingly, this thesis suggested that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desperately need to secure green areas. Afterwards, the 「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and the 「Comprehensive Pla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were reviewed to review the park and green area expansion plans for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In the「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there were plans to expand parks in Dongdaemun-gu(4.35%) and Yeongdeungpo-gu(3.87%), So this thesis emphasized that the policy to expand parks and green areas should be pursued as planned by 2030. In addition, Suggest that the park creation plan using idle land, which is being promoted to resolve the imbalance in underprivileged areas in the 「Comprehensive Pla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should be implemented first for the above two autonomous distric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