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지속가능한 주민공동체의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인천광역시 도시재생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a Resident Community : With a focus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 sit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원문보기
우리나라는 1970~80년대 정부 주도의 도시개발을 통해 단기간에 도시발전을 이루어냈다. 이러한 도시개발은 공공이 주도하고 민간이 도시개발을 시행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어 왔으며, 획기적인 도시성장을 이루어내는 성과를 만들 수 있었다. 그러나 정부의 이러한 밀어붙이기식 도시개발은 도시의 인구 집중과 교통 및 생활 환경의 악화 등 많은 도시문제를 초래하였 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2012년「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제정을 통해 공공주도 및 민간사업자 주도의 도시개발에서 주민이 직접 참여하여 진행하는 도시재생으로 도시의 질적 성장과 주민이 도시개 발에 참여하는 발판을 만들게 되었다. 따라서 주민공동체의 역할도 확대되 었다. 그러나 도시재생에 대한 주민참여의 명확한 제도화 및 교육 없이 사업대상지 주민들에게 참여만을 유도하여, 사업 진행의 결과가 미흡하고 주민간의 갈등만을 초래하여 주민공동체가 해체되고 도시재생사업을 유지하지 못하여 정책추진에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주민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운영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를 통해 주민공동체가 원하는 목표와 가치를 지속적으로 실현하여 도시재생사업의 발전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주민공동체의 지속적 운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주민참여가 높아지고 주민공동체가 지속가능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더불어사업을 진행 중인 도시재생사업지를 중심으로 각 구청 도시재생과, 시민공동체과, 정비계획용역사, 지원단체, 도시재생 교육단체, 도시재생현장지 원센터, 총괄코디네이터, 코디네이터, 활동가 및 참여 주민공동체 임원 및회원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및 문헌조사를 통해 주민공동체의 ...
우리나라는 1970~80년대 정부 주도의 도시개발을 통해 단기간에 도시발전을 이루어냈다. 이러한 도시개발은 공공이 주도하고 민간이 도시개발을 시행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어 왔으며, 획기적인 도시성장을 이루어내는 성과를 만들 수 있었다. 그러나 정부의 이러한 밀어붙이기식 도시개발은 도시의 인구 집중과 교통 및 생활 환경의 악화 등 많은 도시문제를 초래하였 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2012년「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제정을 통해 공공주도 및 민간사업자 주도의 도시개발에서 주민이 직접 참여하여 진행하는 도시재생으로 도시의 질적 성장과 주민이 도시개 발에 참여하는 발판을 만들게 되었다. 따라서 주민공동체의 역할도 확대되 었다. 그러나 도시재생에 대한 주민참여의 명확한 제도화 및 교육 없이 사업대상지 주민들에게 참여만을 유도하여, 사업 진행의 결과가 미흡하고 주민간의 갈등만을 초래하여 주민공동체가 해체되고 도시재생사업을 유지하지 못하여 정책추진에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주민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운영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를 통해 주민공동체가 원하는 목표와 가치를 지속적으로 실현하여 도시재생사업의 발전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주민공동체의 지속적 운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주민참여가 높아지고 주민공동체가 지속가능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더불어사업을 진행 중인 도시재생사업지를 중심으로 각 구청 도시재생과, 시민공동체과, 정비계획용역사, 지원단체, 도시재생 교육단체, 도시재생현장지 원센터, 총괄코디네이터, 코디네이터, 활동가 및 참여 주민공동체 임원 및회원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및 문헌조사를 통해 주민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도시재생 지속가능성에 대해 수집,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주민공동체 지속가능성과 주민공동체의 지속가능에 미치는 영향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분석변수로는 마을리더, 담당공무원, 중간지원조직, 마을거점공간, 공동체수익사업시 설, 문화 및 복지시설, 주민협동조합, 공공예산지원, 일자리제공, 공동체활 동지원프로그램, 주민소모임을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로 도시재생 참여자의 성취도와 주민참여 만족도를 설정하여 독립변수 및 종속변수 간의 인과관 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의 성취도 측면에서는 마을 리더 및 마을 거점공간이 중요요 인으로 분석되었다. 마을 리더자는 공동체를 이끌어가는 책임자로서 마을 리더자의 역량 및 의식은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면서 참여자들이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만족감을 이끌어 가는데 중요한 역활을 한다. 또한, 지역 주민과 행정기관과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며 주민화합을 유도 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마을거점공간은 주민들이 모이고소통을 하는 공간이며 교감을 하는 공간이다. 이 공간을 통해 주민공동체는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역할을 한다. 마을 거점공간은 주민들이 모여 회의를 하고 사업진행에 관한 계획도 수립하는 공간이며 주민 화합을위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공간이다. 마을거점공간은 사랑방의 역할을하며 주민들의 화합을 이끌어내는 공간이다. 이로써 마을 거점공간 역시 주민공동체의 지속성을 위한 중요 요소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주민참여 만족도 측면에서는 마을 거점공간과 주민협동조합이 중요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주민참여를 위한 공간으로 마을 거점공간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마을 거점공간을 유지하기 방법으로 주민협동조합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민협동조합의 운영을 통해 생긴 수익금은 마을 거점공간의 유지 비용으로 사용되며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로 연결된다. 주민협동조합을통해 다양한 공모사업과 수익사업 모델의 계획을 세워 장기적인 주민공동 체의 운영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이처럼 주민협동조합을 통행 발생한 이익은 선환의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주민공동체의 지속적 운영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마을리더, 마을거점공간, 주민협동조합이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마을 거점공간은 참여자의 성취도및 주민참여 만족도에 모두 중요 요소로 분석되었다. 도시재생사업의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공간인 마을 거점공간은 주민공동체가 소집되는장소이고 주민간의 소통 역할을 하는 공간이며 사업의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중요한 장소임에는 틀림이 없다. 또한, 마을 거점공간이 유지 되기 위한 주민협동조합의 역할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하면서 마을에 제공된 거점공간이 제대로 역할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한편으로는 방치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마을거점공간의 효율적인 운영과 사용에 대한 체계적인 메뉴얼이 필요한 시점이다. 향후 좀 더 다양한 측면에서 주민공동체의 지속적 운영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도시재생사업이 주민주도를 목표로 정부는 다양한 시도와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앞으로 추진되어야 할 도시재생사업의 지속적 운영을 위한 연구는 매우 시의 적절 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본 연구는 도시재생의 지속적 운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주민공동체의 역할과 기능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부문별로 각각의 주요 영향요인들이 통계적 유의성을 바탕으로 도출되었고 이러한 분석결과들이 단순히 인식조 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앞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도출된 영향요인과 그맥락을 같이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좀 더 다양한 측면에서의 영향요인들을 대상으로 주민공동체가 지속될 수 있는 계획요소가 고려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다소 부정적 평가를 받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에 활력을 주고, 올바른 방향의 사업추진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우리나라는 1970~80년대 정부 주도의 도시개발을 통해 단기간에 도시발전을 이루어냈다. 이러한 도시개발은 공공이 주도하고 민간이 도시개발을 시행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어 왔으며, 획기적인 도시성장을 이루어내는 성과를 만들 수 있었다. 그러나 정부의 이러한 밀어붙이기식 도시개발은 도시의 인구 집중과 교통 및 생활 환경의 악화 등 많은 도시문제를 초래하였 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2012년「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제정을 통해 공공주도 및 민간사업자 주도의 도시개발에서 주민이 직접 참여하여 진행하는 도시재생으로 도시의 질적 성장과 주민이 도시개 발에 참여하는 발판을 만들게 되었다. 따라서 주민공동체의 역할도 확대되 었다. 그러나 도시재생에 대한 주민참여의 명확한 제도화 및 교육 없이 사업대상지 주민들에게 참여만을 유도하여, 사업 진행의 결과가 미흡하고 주민간의 갈등만을 초래하여 주민공동체가 해체되고 도시재생사업을 유지하지 못하여 정책추진에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주민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운영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를 통해 주민공동체가 원하는 목표와 가치를 지속적으로 실현하여 도시재생사업의 발전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주민공동체의 지속적 운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주민참여가 높아지고 주민공동체가 지속가능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더불어사업을 진행 중인 도시재생사업지를 중심으로 각 구청 도시재생과, 시민공동체과, 정비계획용역사, 지원단체, 도시재생 교육단체, 도시재생현장지 원센터, 총괄코디네이터, 코디네이터, 활동가 및 참여 주민공동체 임원 및회원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및 문헌조사를 통해 주민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도시재생 지속가능성에 대해 수집,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주민공동체 지속가능성과 주민공동체의 지속가능에 미치는 영향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분석변수로는 마을리더, 담당공무원, 중간지원조직, 마을거점공간, 공동체수익사업시 설, 문화 및 복지시설, 주민협동조합, 공공예산지원, 일자리제공, 공동체활 동지원프로그램, 주민소모임을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로 도시재생 참여자의 성취도와 주민참여 만족도를 설정하여 독립변수 및 종속변수 간의 인과관 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의 성취도 측면에서는 마을 리더 및 마을 거점공간이 중요요 인으로 분석되었다. 마을 리더자는 공동체를 이끌어가는 책임자로서 마을 리더자의 역량 및 의식은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면서 참여자들이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만족감을 이끌어 가는데 중요한 역활을 한다. 또한, 지역 주민과 행정기관과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며 주민화합을 유도 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마을거점공간은 주민들이 모이고소통을 하는 공간이며 교감을 하는 공간이다. 이 공간을 통해 주민공동체는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역할을 한다. 마을 거점공간은 주민들이 모여 회의를 하고 사업진행에 관한 계획도 수립하는 공간이며 주민 화합을위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공간이다. 마을거점공간은 사랑방의 역할을하며 주민들의 화합을 이끌어내는 공간이다. 이로써 마을 거점공간 역시 주민공동체의 지속성을 위한 중요 요소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주민참여 만족도 측면에서는 마을 거점공간과 주민협동조합이 중요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주민참여를 위한 공간으로 마을 거점공간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마을 거점공간을 유지하기 방법으로 주민협동조합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민협동조합의 운영을 통해 생긴 수익금은 마을 거점공간의 유지 비용으로 사용되며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로 연결된다. 주민협동조합을통해 다양한 공모사업과 수익사업 모델의 계획을 세워 장기적인 주민공동 체의 운영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이처럼 주민협동조합을 통행 발생한 이익은 선환의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주민공동체의 지속적 운영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마을리더, 마을거점공간, 주민협동조합이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마을 거점공간은 참여자의 성취도및 주민참여 만족도에 모두 중요 요소로 분석되었다. 도시재생사업의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공간인 마을 거점공간은 주민공동체가 소집되는장소이고 주민간의 소통 역할을 하는 공간이며 사업의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중요한 장소임에는 틀림이 없다. 또한, 마을 거점공간이 유지 되기 위한 주민협동조합의 역할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하면서 마을에 제공된 거점공간이 제대로 역할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한편으로는 방치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마을거점공간의 효율적인 운영과 사용에 대한 체계적인 메뉴얼이 필요한 시점이다. 향후 좀 더 다양한 측면에서 주민공동체의 지속적 운영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도시재생사업이 주민주도를 목표로 정부는 다양한 시도와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앞으로 추진되어야 할 도시재생사업의 지속적 운영을 위한 연구는 매우 시의 적절 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본 연구는 도시재생의 지속적 운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주민공동체의 역할과 기능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부문별로 각각의 주요 영향요인들이 통계적 유의성을 바탕으로 도출되었고 이러한 분석결과들이 단순히 인식조 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앞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도출된 영향요인과 그맥락을 같이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좀 더 다양한 측면에서의 영향요인들을 대상으로 주민공동체가 지속될 수 있는 계획요소가 고려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다소 부정적 평가를 받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에 활력을 주고, 올바른 방향의 사업추진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South Korea made urban development happen in a short period through government-led urban development projects in the 1970s and 1980s. This type of urban development was led by the public sector and implemented by the private sector, resulting in ground-breaking urban growth. This type of urban d...
South Korea made urban development happen in a short period through government-led urban development projects in the 1970s and 1980s. This type of urban development was led by the public sector and implemented by the private sector, resulting in ground-breaking urban growth. This type of urban development pushed by the government, however, caused a lot of urban issues including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the deterioration of traffic and living environments. In 2012, the Special Act on the Promotion of and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was enacted to solve these issues, marking a shift from urban development led by the public sector and private enterprises to urban regeneration with the 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establishing a foothold for quality urban growth and residents' participation in urban development. As a consequence, the roles of a resident community expanded. There are, however, no clear institutionalization and education regarding residents'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This has induced residents of a project site only to participate, bringing poor results to the progress of a project, causing a resident community to disband due to conflicts, and generating no effects of policy implementation due to the discontinuance of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is study thus aim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a resident community and search for developmental plan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ased on the sustainable realization of the goals and values that the resident community wishes. The study would also apply efficientl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a resident community and propose measures to increas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a resident community. The subjects include the Urban Regeneration Department, Civil Community Department, maintenance plan service providers, supportive organizations, urban regeneration education groups, on-site support centers for urban regeneration, total coordinators, coordinators, activists, and the executives and members of a participating resident community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sites currently under progress along with the New Deal Project for Urban Regeneration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s for methodology, a survey was conducted along with a literature study to collect and analyze data about the sustainability of a resident community and urban regeneration. A research model was built to analyze causal relations between the sustainability of a residential community and its influential factors. The study analyzed a good number of variables including town leaders, civil servants in charge of urban regeneration,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base spaces of a town, profit-making business facilities of the community, cultural and welfare facilities, resident cooperatives, public budget supports, provision of jobs, community activity support programs, and small resident groups.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the achievement level of urban regeneration participants and residents'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Causal 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achievement level of participants and found that town leaders and base spaces of a town were important factors. Town leaders are responsible for leading the community and play central roles in making and carrying out a project plan and important roles in inducing consistent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from participants based on their capabilities and consciousness. They also serve as a bridge between local residents and administrative agencies, promoting harmony among residents. Base spaces of a town are where residents gather together and have communication and communion with one another. In these spaces, the resident community makes and pushes forward a project plan. Residents gather in a base space of their town to hold a meeting, make a plan to promote the progress of their project and implement a program for their harmony. A base space of a town is like the reception room in a house, promoting harmony among reside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base spaces of a town also serve as important elements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a resident community. And secondly, the study analyzed residents'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and found that base spaces of a town and resident cooperatives were important factors. Base spaces of a town play important roles as venues for residents' participation, and resident cooperatives play important roles as a means of keeping a base space of a town. When residents run a cooperative, it generates profit to be used to maintain base spaces in the town and creates jobs for local residents. Resident cooperatives help to make a plan for various competition projects and profit-making models and devise long-term management plans for the resident community. This means a structure of a profit cycle via a resident cooperative. Thes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own leaders, base spaces of a town, and resident cooperatives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a resident community. Base spaces of a town were, in particular, an important element both in the achievement level of participants and residents'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base spaces of a town offer an important venue for the resident community to gather, communicate, and make and implement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plan. Resident cooperatives also play critical roles in the maintenance of base spaces in a town. Base spaces created in a town for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however, fail to play their roles right and also are neglected. It is time to create a systematic manual about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use of a base space in a town. Future studies will nee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a residential community in more diverse aspects. The government has made various attempts and poured budgets under the goal of making urban regeneration a resident-led project, but their effects remain at a trivial level. In this situation, it is a very timely attempt to investigate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the future. The present study found huge importance in the roles and functions of a resident community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urban regenerat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each of the major influential factors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ach area. These analysis results share the same context of the influential factors identified in the survey beyond a simple perception survey, thus holding huge significance and offering great implications. A follow-up study will be needed to consider elements to plan a sustainable resident community by investigating influential factors in various aspec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inject some vitality into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have received somewhat negative evaluations and serve as basic data to push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the right direction.
South Korea made urban development happen in a short period through government-led urban development projects in the 1970s and 1980s. This type of urban development was led by the public sector and implemented by the private sector, resulting in ground-breaking urban growth. This type of urban development pushed by the government, however, caused a lot of urban issues including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the deterioration of traffic and living environments. In 2012, the Special Act on the Promotion of and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was enacted to solve these issues, marking a shift from urban development led by the public sector and private enterprises to urban regeneration with the 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establishing a foothold for quality urban growth and residents' participation in urban development. As a consequence, the roles of a resident community expanded. There are, however, no clear institutionalization and education regarding residents'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This has induced residents of a project site only to participate, bringing poor results to the progress of a project, causing a resident community to disband due to conflicts, and generating no effects of policy implementation due to the discontinuance of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is study thus aim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a resident community and search for developmental plan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ased on the sustainable realization of the goals and values that the resident community wishes. The study would also apply efficientl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a resident community and propose measures to increas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a resident community. The subjects include the Urban Regeneration Department, Civil Community Department, maintenance plan service providers, supportive organizations, urban regeneration education groups, on-site support centers for urban regeneration, total coordinators, coordinators, activists, and the executives and members of a participating resident community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sites currently under progress along with the New Deal Project for Urban Regeneration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s for methodology, a survey was conducted along with a literature study to collect and analyze data about the sustainability of a resident community and urban regeneration. A research model was built to analyze causal relations between the sustainability of a residential community and its influential factors. The study analyzed a good number of variables including town leaders, civil servants in charge of urban regeneration,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base spaces of a town, profit-making business facilities of the community, cultural and welfare facilities, resident cooperatives, public budget supports, provision of jobs, community activity support programs, and small resident groups.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the achievement level of urban regeneration participants and residents'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Causal 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achievement level of participants and found that town leaders and base spaces of a town were important factors. Town leaders are responsible for leading the community and play central roles in making and carrying out a project plan and important roles in inducing consistent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from participants based on their capabilities and consciousness. They also serve as a bridge between local residents and administrative agencies, promoting harmony among residents. Base spaces of a town are where residents gather together and have communication and communion with one another. In these spaces, the resident community makes and pushes forward a project plan. Residents gather in a base space of their town to hold a meeting, make a plan to promote the progress of their project and implement a program for their harmony. A base space of a town is like the reception room in a house, promoting harmony among reside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base spaces of a town also serve as important elements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a resident community. And secondly, the study analyzed residents'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and found that base spaces of a town and resident cooperatives were important factors. Base spaces of a town play important roles as venues for residents' participation, and resident cooperatives play important roles as a means of keeping a base space of a town. When residents run a cooperative, it generates profit to be used to maintain base spaces in the town and creates jobs for local residents. Resident cooperatives help to make a plan for various competition projects and profit-making models and devise long-term management plans for the resident community. This means a structure of a profit cycle via a resident cooperative. Thes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own leaders, base spaces of a town, and resident cooperatives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a resident community. Base spaces of a town were, in particular, an important element both in the achievement level of participants and residents'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base spaces of a town offer an important venue for the resident community to gather, communicate, and make and implement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plan. Resident cooperatives also play critical roles in the maintenance of base spaces in a town. Base spaces created in a town for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however, fail to play their roles right and also are neglected. It is time to create a systematic manual about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use of a base space in a town. Future studies will nee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a residential community in more diverse aspects. The government has made various attempts and poured budgets under the goal of making urban regeneration a resident-led project, but their effects remain at a trivial level. In this situation, it is a very timely attempt to investigate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the future. The present study found huge importance in the roles and functions of a resident community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urban regenerat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each of the major influential factors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ach area. These analysis results share the same context of the influential factors identified in the survey beyond a simple perception survey, thus holding huge significance and offering great implications. A follow-up study will be needed to consider elements to plan a sustainable resident community by investigating influential factors in various aspec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inject some vitality into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have received somewhat negative evaluations and serve as basic data to push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the right direc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