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해외 수의법의학 동향을 통하여 본 우리나라 수의법의학의 필요성 The necessity of veterinary forensic science in Korea through the trend of veterinary forensic science abroad원문보기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 수가 증가함과 동시에 동물보호법 위반 건수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동물 학대 및 수의료분쟁 사건뿐 아니라 인수공통감염병과 같은 공공보건 영역에서도 수의법의학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의법의학의 현황을 알아보고, 미국, 유럽, 일본의 수의법의학 동향을 비교해 봄으로써 국내에서의 발전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통계청, 경찰청, 기사신문, 관련 기관의 보고서, 관련 기관들의 홈페이지, 관련 문헌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의법의학이 가장 발달한 미국은 ASPCA 수의법의학 센터와 동물 DNA 분석을 전담하는 VGL-Forensics가 동물 관련 범죄 수사를 지원한다. IVFSA에서는 수의법의학적 검사 표준을 개발하여 체계적인 진단 절차와 방법을 구축하였다. 또한 다양한 기관들과 대학교들이 협력하여, 인턴십, 워크숍, 학위 수여 프로그램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한 수의법의학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럽의 경우 높은 수의법의학적 전문성을 위하여 수의법의병리학 자격증인 CFVP를 개발하였다. 유럽 중 수의법의학이 가장 발달한 영국은 RSPCA뿐만 아니라 ...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 수가 증가함과 동시에 동물보호법 위반 건수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동물 학대 및 수의료분쟁 사건뿐 아니라 인수공통감염병과 같은 공공보건 영역에서도 수의법의학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의법의학의 현황을 알아보고, 미국, 유럽, 일본의 수의법의학 동향을 비교해 봄으로써 국내에서의 발전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통계청, 경찰청, 기사신문, 관련 기관의 보고서, 관련 기관들의 홈페이지, 관련 문헌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의법의학이 가장 발달한 미국은 ASPCA 수의법의학 센터와 동물 DNA 분석을 전담하는 VGL-Forensics가 동물 관련 범죄 수사를 지원한다. IVFSA에서는 수의법의학적 검사 표준을 개발하여 체계적인 진단 절차와 방법을 구축하였다. 또한 다양한 기관들과 대학교들이 협력하여, 인턴십, 워크숍, 학위 수여 프로그램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한 수의법의학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럽의 경우 높은 수의법의학적 전문성을 위하여 수의법의병리학 자격증인 CFVP를 개발하였다. 유럽 중 수의법의학이 가장 발달한 영국은 RSPCA뿐만 아니라 법의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과 수의대학교들도 수의법의학적 부검과 보고서 작성 등에 대한 절차를 갖추어 신속하고 정확한 증거들을 제공하여 수사를 지원한다. 일본의 경우에도 동물에 대한 다양한 범죄의 증가에 따라 일본수의법의학협회가 설립되어 생사와 관계없이 동물의 수상한 상황에 대해 원인을 분석하고 규명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수의법의학의 발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 번째, 학문적 정립을 통하여 심화한 연구와 다른 나라들과의 학문적 교류가 이루어져야 한다. 두 번째로 동물 관련 사건 현장 초기대응이나 현장감식과 관련한 수의법의학적 매뉴얼의 정립과 수의법의학자의 현장 참여 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는 수의법의학적 교육이 수의대학교 교과 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수의사뿐만 아니라 현재 동물 부검과 검사를 담당하는 국립과학수사연구소와 농림축산검역본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 수가 증가함과 동시에 동물보호법 위반 건수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동물 학대 및 수의료분쟁 사건뿐 아니라 인수공통감염병과 같은 공공보건 영역에서도 수의법의학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의법의학의 현황을 알아보고, 미국, 유럽, 일본의 수의법의학 동향을 비교해 봄으로써 국내에서의 발전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통계청, 경찰청, 기사신문, 관련 기관의 보고서, 관련 기관들의 홈페이지, 관련 문헌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의법의학이 가장 발달한 미국은 ASPCA 수의법의학 센터와 동물 DNA 분석을 전담하는 VGL-Forensics가 동물 관련 범죄 수사를 지원한다. IVFSA에서는 수의법의학적 검사 표준을 개발하여 체계적인 진단 절차와 방법을 구축하였다. 또한 다양한 기관들과 대학교들이 협력하여, 인턴십, 워크숍, 학위 수여 프로그램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한 수의법의학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럽의 경우 높은 수의법의학적 전문성을 위하여 수의법의병리학 자격증인 CFVP를 개발하였다. 유럽 중 수의법의학이 가장 발달한 영국은 RSPCA뿐만 아니라 법의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과 수의대학교들도 수의법의학적 부검과 보고서 작성 등에 대한 절차를 갖추어 신속하고 정확한 증거들을 제공하여 수사를 지원한다. 일본의 경우에도 동물에 대한 다양한 범죄의 증가에 따라 일본수의법의학협회가 설립되어 생사와 관계없이 동물의 수상한 상황에 대해 원인을 분석하고 규명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수의법의학의 발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 번째, 학문적 정립을 통하여 심화한 연구와 다른 나라들과의 학문적 교류가 이루어져야 한다. 두 번째로 동물 관련 사건 현장 초기대응이나 현장감식과 관련한 수의법의학적 매뉴얼의 정립과 수의법의학자의 현장 참여 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는 수의법의학적 교육이 수의대학교 교과 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수의사뿐만 아니라 현재 동물 부검과 검사를 담당하는 국립과학수사연구소와 농림축산검역본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Recently, as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pets increases, the number of violations of the Animal Protection Act increases every year, and necessity of veterinary forensic medicine is increasing in public health areas such as zoonosis not only animal abuse and veterinary medical disputes. Accordi...
Recently, as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pets increases, the number of violations of the Animal Protection Act increases every year, and necessity of veterinary forensic medicine is increasing in public health areas such as zoonosis not only animal abuse and veterinary medical disputes.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propose a development plan in Korea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veterinary forensic medicine in Korea and comparing veterinary forensic trends i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National Police Agency, national news, reports from related institutions, the websites of related institutions, and related literature surveys. In the United States, where veterinary forensic medicine is the most developed, the ASPCA Veterinary Forensic Center and VGL-Forensics, which is dedicated to animal DNA analysis, support animal-related criminal investigations. IVFSA developed standards for veterinary forensic clinical and postmortem examinations. In addition, various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cooperate to provide veterinary forensic education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internships, workshops, and degree programs. In the case of Europe, CFVP, a certificate of veterinary forensic pathology, was developed for increasing the specialty of veterinary forensic medicine. In the UK, where veterinary forensic medicine is the most developed in Europe, not only RSPCA but also companies and veterinary universities that provide forensic services have procedures for veterinary forensic autopsy and writing report to quickly provide accurate evidence to support investigations. In the case of Japan, the Japanese Association of Veterinary Forensics was established to analyze and identify the cause of suspicious situations in animals regardless of dead or alive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various crimes against animals.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veterinary forensic medicine. First, advanced research and academic exchanges with other countrie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formulating academic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stablishment of veterinary forensic manuals related to the initial response or crime scene investigation to animal-related crimes, and the participation of veterinary forensic scientists in the crime scene. Finally, veterinary forensic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the veterinary university curriculum, and systematic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not only for veterinarians but also for experts from the National Forensic Service and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who are currently in charge of animal autopsy and inspection.
Recently, as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pets increases, the number of violations of the Animal Protection Act increases every year, and necessity of veterinary forensic medicine is increasing in public health areas such as zoonosis not only animal abuse and veterinary medical disputes.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propose a development plan in Korea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veterinary forensic medicine in Korea and comparing veterinary forensic trends i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National Police Agency, national news, reports from related institutions, the websites of related institutions, and related literature surveys. In the United States, where veterinary forensic medicine is the most developed, the ASPCA Veterinary Forensic Center and VGL-Forensics, which is dedicated to animal DNA analysis, support animal-related criminal investigations. IVFSA developed standards for veterinary forensic clinical and postmortem examinations. In addition, various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cooperate to provide veterinary forensic education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internships, workshops, and degree programs. In the case of Europe, CFVP, a certificate of veterinary forensic pathology, was developed for increasing the specialty of veterinary forensic medicine. In the UK, where veterinary forensic medicine is the most developed in Europe, not only RSPCA but also companies and veterinary universities that provide forensic services have procedures for veterinary forensic autopsy and writing report to quickly provide accurate evidence to support investigations. In the case of Japan, the Japanese Association of Veterinary Forensics was established to analyze and identify the cause of suspicious situations in animals regardless of dead or alive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various crimes against animals.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veterinary forensic medicine. First, advanced research and academic exchanges with other countrie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formulating academic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stablishment of veterinary forensic manuals related to the initial response or crime scene investigation to animal-related crimes, and the participation of veterinary forensic scientists in the crime scene. Finally, veterinary forensic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the veterinary university curriculum, and systematic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not only for veterinarians but also for experts from the National Forensic Service and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who are currently in charge of animal autopsy and inspec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