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중·고령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와 장애수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 The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in the Disabled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원문보기
본 연구목적은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와 장애수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특히, 중·고령 장애인은 장애와 노화 등으로 건강과 삶의 질에 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이에 대한 정책 방향과 대안의 목적으로 이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 제6차(2021년) 자료에서 45세 이상 중·고령자 2,208명을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
본 연구목적은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와 장애수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특히, 중·고령 장애인은 장애와 노화 등으로 건강과 삶의 질에 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이에 대한 정책 방향과 대안의 목적으로 이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 제6차(2021년) 자료에서 45세 이상 중·고령자 2,208명을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위계적 회귀분석, 다중 회귀분석, 매개 효과검증 등을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는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에서 여가 활동, 문화 활동, 체육활동의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참여 활동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중·고령 장애인의 장애수용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고령 장애인 장애수용의 하위변인에서 장애인식과 장애 극복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는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활동에서 여가 활동과 문화 활동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체육활동과 사회참여 활동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중·고령 장애인의 장애수용은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애수용의 하위변인에서 장애인식과 장애극복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중·고령 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와 장애수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장애인의 생활만족도의 이론에서 활동자원으로 사회활동 참여, 심리적 자원으로 장애수용이 심리자원인 자아존중감의 매개로 하여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모형으로 설정하여 활동이론을 검증한 것은 이론적 의의가 있다. 둘째, 사회활동 참여에서 여가 활동, 문화 활동, 체육활동의 순으로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연구의 기반을 제공한 것은 이론적 의의가 있다. 셋째, 장애수용의 장애인식과 장애 극복의 순으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분석한 점에서 이론적으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고령 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에 필요한 바로 전 단계인 장애인의 50%인 중·고령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여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장애인의 복지의 방향과 정책 결정 등 사회적 함의를 이끌어 내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은 본 연구가 타 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
본 연구목적은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와 장애수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특히, 중·고령 장애인은 장애와 노화 등으로 건강과 삶의 질에 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이에 대한 정책 방향과 대안의 목적으로 이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 제6차(2021년) 자료에서 45세 이상 중·고령자 2,208명을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위계적 회귀분석, 다중 회귀분석, 매개 효과검증 등을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는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에서 여가 활동, 문화 활동, 체육활동의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참여 활동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중·고령 장애인의 장애수용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고령 장애인 장애수용의 하위변인에서 장애인식과 장애 극복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는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활동에서 여가 활동과 문화 활동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체육활동과 사회참여 활동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중·고령 장애인의 장애수용은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애수용의 하위변인에서 장애인식과 장애극복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중·고령 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와 장애수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장애인의 생활만족도의 이론에서 활동자원으로 사회활동 참여, 심리적 자원으로 장애수용이 심리자원인 자아존중감의 매개로 하여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모형으로 설정하여 활동이론을 검증한 것은 이론적 의의가 있다. 둘째, 사회활동 참여에서 여가 활동, 문화 활동, 체육활동의 순으로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연구의 기반을 제공한 것은 이론적 의의가 있다. 셋째, 장애수용의 장애인식과 장애 극복의 순으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분석한 점에서 이론적으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고령 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에 필요한 바로 전 단계인 장애인의 50%인 중·고령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여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장애인의 복지의 방향과 정책 결정 등 사회적 함의를 이끌어 내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은 본 연구가 타 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acceptance of disabilities of middle-aged and elderly disabled people on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middle-aged and elderly disabled peopl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acceptance of disabilities of middle-aged and elderly disabled people on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middle-aged and elderly disabled people indirectly negatively affect their health and quality of life due to disability and aging. Therefore, in order to prepare policy directions and alternatives to this, research on their life satisfaction is needed In the 6th (2021) data of the Employment Panel for the Disabled, 2,208 middle and elderly people aged 45 or older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ee-step mediated effect verification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f the middle and elderly with dis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leisure activities, cultural activities, and sports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disabled in social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had no significant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acceptance of disabilities of middle-aged and elderly disabled peop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n the sub-variables of acceptance of disabilities for the middle and elderly, wareness of disabilities and overcoming disabilit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f middle-aged and elderly disabled people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It was confirmed that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sports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had no significant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acceptance of disabilities of middle-aged and elderly disabled peop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In the sub-variables of disability acceptance, it was confirmed that disability awareness and overcoming dis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lf-esteem of the middle and elderly disable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degree, and acceptance of disabilities i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f the middle and elderly disabled o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meaningful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s an activity resource and disability acceptance as a psychological resource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an integrated model in the theory of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disabled people. Second, it is meaningful to provide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leisure activities, cultural activities, and sports activities. Third, it is judged to be meaningful to identify th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disability overcoming. Fourth, this study differs from other studies in that it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social implications such as the direction and policy decisions of the welfare of the disabled based on research results on the impact of 50% of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acceptance of disabilities of middle-aged and elderly disabled people on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middle-aged and elderly disabled people indirectly negatively affect their health and quality of life due to disability and aging. Therefore, in order to prepare policy directions and alternatives to this, research on their life satisfaction is needed In the 6th (2021) data of the Employment Panel for the Disabled, 2,208 middle and elderly people aged 45 or older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ee-step mediated effect verification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f the middle and elderly with dis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leisure activities, cultural activities, and sports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disabled in social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had no significant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acceptance of disabilities of middle-aged and elderly disabled peop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n the sub-variables of acceptance of disabilities for the middle and elderly, wareness of disabilities and overcoming disabilit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f middle-aged and elderly disabled people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It was confirmed that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sports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had no significant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acceptance of disabilities of middle-aged and elderly disabled peop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In the sub-variables of disability acceptance, it was confirmed that disability awareness and overcoming dis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lf-esteem of the middle and elderly disable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degree, and acceptance of disabilities i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f the middle and elderly disabled o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meaningful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s an activity resource and disability acceptance as a psychological resource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an integrated model in the theory of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disabled people. Second, it is meaningful to provide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leisure activities, cultural activities, and sports activities. Third, it is judged to be meaningful to identify th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disability overcoming. Fourth, this study differs from other studies in that it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social implications such as the direction and policy decisions of the welfare of the disabled based on research results on the impact of 50% of the disabled.
Keyword
#사회활동 참여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장애인고용패널 중고령 장애인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cceptance of Disabilities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학위논문 정보
저자
송정숙
학위수여기관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문화예술콘텐츠학과 교육학전공
지도교수
고정훈
발행연도
2023
총페이지
xvi, 120 p.
키워드
사회활동 참여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장애인고용패널 중고령 장애인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cceptance of Disabilities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