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무역의 형태는 국제 정세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상황에 맞게 변화되고 발전되어 왔다. 현대 무역의 큰 흐름 중 하나는 자유무역이라는 기본적인 틀 안에서 특정 지역에 속한 국가들에게 교역에 따른 이익이 균형 있게 분포될 수 있도록 지역 경제공동체를 형성하고 세계 무역의 무대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이다. 대표적인 지역 공동체로 아세안을 예를 들 수 있다. 아세안은 동남아시아 국가 10개국으로 이루어진 지역 경제공동체로서 전체 인구 6억 명이 넘는 거대 경제권을 이루고 있다. 아세안은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의미가 있는 무역 파트너로 볼 수 있다. 2007년 한-아세안 FTA를 발효함으로써 우리나라 최초의 다자간 FTA를 맺게 되었으며 오랜 기간 교역을 하면서 우리나라 수출입의 5대 무역 경제권에 속하고 있다. 이러한 한-아세안 FTA와 국제 경기를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인 해상 운임지수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추후에 맺어질 많은 ...
세계 무역의 형태는 국제 정세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상황에 맞게 변화되고 발전되어 왔다. 현대 무역의 큰 흐름 중 하나는 자유무역이라는 기본적인 틀 안에서 특정 지역에 속한 국가들에게 교역에 따른 이익이 균형 있게 분포될 수 있도록 지역 경제공동체를 형성하고 세계 무역의 무대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이다. 대표적인 지역 공동체로 아세안을 예를 들 수 있다. 아세안은 동남아시아 국가 10개국으로 이루어진 지역 경제공동체로서 전체 인구 6억 명이 넘는 거대 경제권을 이루고 있다. 아세안은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의미가 있는 무역 파트너로 볼 수 있다. 2007년 한-아세안 FTA를 발효함으로써 우리나라 최초의 다자간 FTA를 맺게 되었으며 오랜 기간 교역을 하면서 우리나라 수출입의 5대 무역 경제권에 속하고 있다. 이러한 한-아세안 FTA와 국제 경기를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인 해상 운임지수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추후에 맺어질 많은 MEGA FTA 교역에 있어 그 내용을 활용하고자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의 방법은 중력 모형을 활용한 패널 회귀 분석 모형을 구축하여 회귀 분석을 진행하였고 패널 분석을 위한 외생변수들과 벌크화물에 대한 대표적인 운임지수인 BDI, 그리고 컨테이너화물 운임지수인 SCFI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운임 이외 변수로 설정한 GDP, 원산지증명서 발급 건수, 물류성과지수 LPI 등은 한-아세안 FTA 수출입에 정(+)의 영향 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교역 국가의 경제 규모가 클수록, FTA 관세 혜택을 위한 원산지증명서 발급이 많을수록 그리고 종합적인 무역 물류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교역액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물리적 거리의 경우 수출입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거리가 먼 국가일수록 교역액이 감소하는 것이다. 이는 거리에 따른 물류, 운송비 증가가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해상 운임이 갖는 영향관계에 있어서는 BDI, SCFI 운임지수 모두 한-아세안 FTA 수출입에 부(-)의 영항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운임이 상승하게 되면 수출입에 따른 물류, 운송비 및 부대비용 등의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교역량 감소의 영향을 주는 것이다. 하지만 다른 변수들의 영향력과 비교해보았을 때 영향력의 정도가 더 높지는 않았다. 즉 운임 상승으로 교역량은 줄어들 수 있으나, 교역 국가의 경제 규모나 물류 인프라가 교역에 주는 영향력 정도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해상 운임과 한-아세안 FTA 수출입 영향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새롭게 발효될 MEGA FTA 진행에 있어 운임수준 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해 나가고, MEGA FTA 회원국 중 어떤 국가들과의 교역이 가장 유리할 것인지 등을 판단하여 교섭을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세계 무역의 형태는 국제 정세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상황에 맞게 변화되고 발전되어 왔다. 현대 무역의 큰 흐름 중 하나는 자유무역이라는 기본적인 틀 안에서 특정 지역에 속한 국가들에게 교역에 따른 이익이 균형 있게 분포될 수 있도록 지역 경제공동체를 형성하고 세계 무역의 무대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이다. 대표적인 지역 공동체로 아세안을 예를 들 수 있다. 아세안은 동남아시아 국가 10개국으로 이루어진 지역 경제공동체로서 전체 인구 6억 명이 넘는 거대 경제권을 이루고 있다. 아세안은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의미가 있는 무역 파트너로 볼 수 있다. 2007년 한-아세안 FTA를 발효함으로써 우리나라 최초의 다자간 FTA를 맺게 되었으며 오랜 기간 교역을 하면서 우리나라 수출입의 5대 무역 경제권에 속하고 있다. 이러한 한-아세안 FTA와 국제 경기를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인 해상 운임지수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추후에 맺어질 많은 MEGA FTA 교역에 있어 그 내용을 활용하고자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의 방법은 중력 모형을 활용한 패널 회귀 분석 모형을 구축하여 회귀 분석을 진행하였고 패널 분석을 위한 외생변수들과 벌크화물에 대한 대표적인 운임지수인 BDI, 그리고 컨테이너화물 운임지수인 SCFI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운임 이외 변수로 설정한 GDP, 원산지증명서 발급 건수, 물류성과지수 LPI 등은 한-아세안 FTA 수출입에 정(+)의 영향 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교역 국가의 경제 규모가 클수록, FTA 관세 혜택을 위한 원산지증명서 발급이 많을수록 그리고 종합적인 무역 물류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교역액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물리적 거리의 경우 수출입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거리가 먼 국가일수록 교역액이 감소하는 것이다. 이는 거리에 따른 물류, 운송비 증가가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해상 운임이 갖는 영향관계에 있어서는 BDI, SCFI 운임지수 모두 한-아세안 FTA 수출입에 부(-)의 영항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운임이 상승하게 되면 수출입에 따른 물류, 운송비 및 부대비용 등의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교역량 감소의 영향을 주는 것이다. 하지만 다른 변수들의 영향력과 비교해보았을 때 영향력의 정도가 더 높지는 않았다. 즉 운임 상승으로 교역량은 줄어들 수 있으나, 교역 국가의 경제 규모나 물류 인프라가 교역에 주는 영향력 정도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해상 운임과 한-아세안 FTA 수출입 영향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새롭게 발효될 MEGA FTA 진행에 있어 운임수준 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해 나가고, MEGA FTA 회원국 중 어떤 국가들과의 교역이 가장 유리할 것인지 등을 판단하여 교섭을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The international situation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rganization of world trade thus, it has modified and evolved in response to such circumstances. One of the primary developments in contemporary trade is the creation of regional economic communities, which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
The international situation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rganization of world trade thus, it has modified and evolved in response to such circumstances. One of the primary developments in contemporary trade is the creation of regional economic communities, which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global commerce and allow for the equitable distribution of trade advantages to nations inside a given region within the framework of free trade. A good illustration of a regional economic community is ASEAN. A massive economic bloc with a combined population of over 600 million people, ASEAN is a regional economic community made up of 10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may also be considered as having a substantial commercial relationship with Korea. The ASEAN-Korea Free Trade Agreement (ASEAN-Korea FTA), the country's first multilateral FTA which was enacted in 2007, is one of the five main trade and economic blocs of Korea's import and export while being active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SEAN-Korea FTA and the ocean freight rate index, one of the indicators of the global economy, and consequently to utilize its results in various forthcoming MEGA FTA agreements. Regarding the method of analysis,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implementing a panel regression model which was constructed using a gravity model. Furthermore, a representative freight index for bulk cargo, BDI, and a containerized freight index, SCFI were utilized as exogenous variables for panel analysis and were regard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study. The empirical research proved that set variables other than freight rates, such as GDP, the number of issued certificates of origin, and the logistics performance index LPI, had a positive (+) impact on the export and import of the ASEAN-Korea FTA. This corresponds that the larger the trading nation's economic scale, the more certificates of origin issued for FTA tariff benefits, higher the level of overall trade and logistics fundamentally result in a greater volume of trade. Moreover, physical distance was proven to have a detrimental (-) impact on imports and exports. The amount of trade decreases with increasing distance from the nation. This might be viewed as a result of the rise i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costs in regard to distanc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f ocean freight, both the BDI and SCFI freight indices had proven negative (-) effects on the export and import of the ASEAN-Korea FTA. When the freight rate increases, expenses associated with logistics, transportation, and incidentals may rise as a result of import and export, causing a decline in trade volume. Though comparatively, the significance of the effect was not greater than that of other factors. In this respect, while trade volume may decline as a consequence of an upsurge in freight rates, it does not have the identical effect on trade as the size of the trading country's economy or its logistics infrastructure. By referring to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of how ocean freight rates would affect imports and exports under the ASEAN-Korea FTA, respond adequately to fluctuations in the freight rate as the forthcoming MEGA FTA sets to come into force henceforth,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negotiations by identifying and determining which MEGA FTA member nation will generate the most advantage via engaging in trade with.
The international situation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rganization of world trade thus, it has modified and evolved in response to such circumstances. One of the primary developments in contemporary trade is the creation of regional economic communities, which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global commerce and allow for the equitable distribution of trade advantages to nations inside a given region within the framework of free trade. A good illustration of a regional economic community is ASEAN. A massive economic bloc with a combined population of over 600 million people, ASEAN is a regional economic community made up of 10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may also be considered as having a substantial commercial relationship with Korea. The ASEAN-Korea Free Trade Agreement (ASEAN-Korea FTA), the country's first multilateral FTA which was enacted in 2007, is one of the five main trade and economic blocs of Korea's import and export while being active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SEAN-Korea FTA and the ocean freight rate index, one of the indicators of the global economy, and consequently to utilize its results in various forthcoming MEGA FTA agreements. Regarding the method of analysis,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implementing a panel regression model which was constructed using a gravity model. Furthermore, a representative freight index for bulk cargo, BDI, and a containerized freight index, SCFI were utilized as exogenous variables for panel analysis and were regard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study. The empirical research proved that set variables other than freight rates, such as GDP, the number of issued certificates of origin, and the logistics performance index LPI, had a positive (+) impact on the export and import of the ASEAN-Korea FTA. This corresponds that the larger the trading nation's economic scale, the more certificates of origin issued for FTA tariff benefits, higher the level of overall trade and logistics fundamentally result in a greater volume of trade. Moreover, physical distance was proven to have a detrimental (-) impact on imports and exports. The amount of trade decreases with increasing distance from the nation. This might be viewed as a result of the rise i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costs in regard to distanc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f ocean freight, both the BDI and SCFI freight indices had proven negative (-) effects on the export and import of the ASEAN-Korea FTA. When the freight rate increases, expenses associated with logistics, transportation, and incidentals may rise as a result of import and export, causing a decline in trade volume. Though comparatively, the significance of the effect was not greater than that of other factors. In this respect, while trade volume may decline as a consequence of an upsurge in freight rates, it does not have the identical effect on trade as the size of the trading country's economy or its logistics infrastructure. By referring to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of how ocean freight rates would affect imports and exports under the ASEAN-Korea FTA, respond adequately to fluctuations in the freight rate as the forthcoming MEGA FTA sets to come into force henceforth,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negotiations by identifying and determining which MEGA FTA member nation will generate the most advantage via engaging in trade with.
Keyword
#한-아세안 FTA 해상 운임 중력 모형 ASEAN-Korea FTA MEGA FTA Ocean freight Gravity model
학위논문 정보
저자
최원재
학위수여기관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글로벌물류학과
지도교수
박근식
발행연도
2023
총페이지
v, 68장
키워드
한-아세안 FTA 해상 운임 중력 모형 ASEAN-Korea FTA MEGA FTA Ocean freight Gravity mode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