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학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Resilience and Job Stress of Teachers원문보기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회복탄력성이 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국의 초등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87부를 연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회복탄력성, 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활용하였다. 연구 통계과정에서 배경변인별 감성리더십,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인식을 알아보았으며, 2단계 위계적 회귀문석을 통해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에 따르면 경력이 높을수록, 기혼자일수록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음으로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회복탄력성의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에 따르면 기혼자일수록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에 따르면 경력이 낮을수록, 미혼자일수록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초등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회복탄력성은 ...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회복탄력성이 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국의 초등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87부를 연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회복탄력성, 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활용하였다. 연구 통계과정에서 배경변인별 감성리더십,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인식을 알아보았으며, 2단계 위계적 회귀문석을 통해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에 따르면 경력이 높을수록, 기혼자일수록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음으로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회복탄력성의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에 따르면 기혼자일수록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에 따르면 경력이 낮을수록, 미혼자일수록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초등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회복탄력성은 정적 상관관계,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 직무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 회복탄력성과 교사 직무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의 네 가지 하위요인이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높을수록 교사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인과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회복탄력성은 각각 직무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복탄력성을 통제하였을 때,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여전히 강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 때 회복탄력성이 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여전히 강한 영향을 보였다. 즉, 교사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는 외적 요인인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을 높이는 데 보다 더 주목해야함을 뜻한다. 물론 교사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방안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회복탄력성이 개인 내부의 특성임을 감안할 때, 외적 요인인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교사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 데 유의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장이 감성리더십을 원활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학교장을 대상으로 한 리더십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장이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구성원이 만족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셋째, 학교장이 교사들의 의사를 반영하여 근무환경 개선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회복탄력성이 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국의 초등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87부를 연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회복탄력성, 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활용하였다. 연구 통계과정에서 배경변인별 감성리더십,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인식을 알아보았으며, 2단계 위계적 회귀문석을 통해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에 따르면 경력이 높을수록, 기혼자일수록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음으로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회복탄력성의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에 따르면 기혼자일수록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에 따르면 경력이 낮을수록, 미혼자일수록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초등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회복탄력성은 정적 상관관계,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 직무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 회복탄력성과 교사 직무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의 네 가지 하위요인이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높을수록 교사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인과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회복탄력성은 각각 직무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복탄력성을 통제하였을 때,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여전히 강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 때 회복탄력성이 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여전히 강한 영향을 보였다. 즉, 교사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는 외적 요인인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을 높이는 데 보다 더 주목해야함을 뜻한다. 물론 교사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방안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회복탄력성이 개인 내부의 특성임을 감안할 때, 외적 요인인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교사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 데 유의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장이 감성리더십을 원활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학교장을 대상으로 한 리더십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장이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구성원이 만족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셋째, 학교장이 교사들의 의사를 반영하여 근무환경 개선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and resilience of school principal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eacher job stress.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the resi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and resilience of school principal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eacher job stress.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the resilience of the teacher, and the level of job stress perceived by teachers? Second, how does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resilience affect job stres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and 287 copies were used as research and analysis data. As a measurement tool,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resilience, and teacher job stress scale were used. In the research statistics process, emotional leadership, resilience, and job stress perception by background variables were investigated, and the impact of emotional leadership on teacher job stress and resilience were investigated through two-step hierarchical regression sentences. The main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high.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the higher the career and the married, the higher the perception. Nex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resilienc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high.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married people tended to perceive higher.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teacher job stres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normal.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the lower the career, the higher the unmarried, the higher the percep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resili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teacher job str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four sub-factors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on the five sub-factors of teacher job stress, the higher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the lower the teacher's job stres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the teacher's resili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tress, respectively. When resilience was controlled,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still had a strong negative effect on teacher job stress, and at this time, resilience still had a strong effect on teacher job stress. In other words, in order to lower teacher job stress, it means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ncreasing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n external factor. Of course, in order to reduce teacher job stress, both emotional leadership and measures to increase resilience of the principal should be considered. However, considering that resilience is an internal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finding ways to increase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n external factor,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lowering teacher job stress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leadership education for the principal so that the principal can smoothly exercise emotional leadership. Second, a program to improve resilience is required for the principal to reflect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satisfy members. Third, it is necessary for the principal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by reflecting the will of the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and resilience of school principal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eacher job stress.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the resilience of the teacher, and the level of job stress perceived by teachers? Second, how does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resilience affect job stres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and 287 copies were used as research and analysis data. As a measurement tool,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resilience, and teacher job stress scale were used. In the research statistics process, emotional leadership, resilience, and job stress perception by background variables were investigated, and the impact of emotional leadership on teacher job stress and resilience were investigated through two-step hierarchical regression sentences. The main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high.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the higher the career and the married, the higher the perception. Nex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resilienc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high.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married people tended to perceive higher.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teacher job stres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normal.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the lower the career, the higher the unmarried, the higher the percep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resili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teacher job str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four sub-factors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on the five sub-factors of teacher job stress, the higher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the lower the teacher's job stres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the teacher's resili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tress, respectively. When resilience was controlled,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still had a strong negative effect on teacher job stress, and at this time, resilience still had a strong effect on teacher job stress. In other words, in order to lower teacher job stress, it means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ncreasing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n external factor. Of course, in order to reduce teacher job stress, both emotional leadership and measures to increase resilience of the principal should be considered. However, considering that resilience is an internal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finding ways to increase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n external factor,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lowering teacher job stress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leadership education for the principal so that the principal can smoothly exercise emotional leadership. Second, a program to improve resilience is required for the principal to reflect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satisfy members. Third, it is necessary for the principal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by reflecting the will of the teache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