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 노인 대상 ICT 기반 인지행동치료 애플리케이션의 적용 및 효과 연구 무작위 대조군 사전 사후 실험설계 배경 : 수면은 인간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기 본적인 요구이다. 그러나 노인 인구의 약 50%는 불면증을 앓고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불면증의 첫 번째 치료법으로 인지행동치료가 권장되지만, 노인들은 경제적인 이유, 거동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치료에 접근하기가 어 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면증 노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목적 : 본 연구는 불면증 노인을 위해 개발된 비대면 기반 불면증 인지 행동 치료인 "스마트 ...
불면증 노인 대상 ICT 기반 인지행동치료 애플리케이션의 적용 및 효과 연구 무작위 대조군 사전 사후 실험설계 배경 : 수면은 인간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기 본적인 요구이다. 그러나 노인 인구의 약 50%는 불면증을 앓고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불면증의 첫 번째 치료법으로 인지행동치료가 권장되지만, 노인들은 경제적인 이유, 거동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치료에 접근하기가 어 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면증 노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목적 : 본 연구는 불면증 노인을 위해 개발된 비대면 기반 불면증 인지 행동 치료인 "스마트 슬립" 애플리케이션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방법: 무작위대조군 사전 사후 실험설계로 불면증이(ISI-K 8점 이상) 있 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험군(n=30), 대조군(n=29)을 배정하여 진행하였다. 실험군은 불면증 인지행동치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스마트 슬립을 8주 동안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중재 프로그램을 제외한 기본적인 프로그램, 수 면 밴드를 제공해주었다. 중재 전, 4 주차, 8 주차에 결과를 측정하였다. 두 집단 간에 1) 수면의 질, 2) 불면증, 3) 우울, 4) 삶의 질, 5) 수면에 대한 역 기능적 신념 및 태도, 6) 수면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면의 질은 스마트 슬립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 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8주 차(t=8.70, p= .000). 수면의 질 점 수는 집단 간(F=15.957, p= .000), 측정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 (F=97.806, p= .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시기 간 (F=42.766, p= .000)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불면증 심각성 점수는 스마트 슬립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8.44, p= .000). 불면증 심각성 점수는 집단 간 (F=31.579, p= .000), 측정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F=18.923, p= .000)으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시기 간(F=51.790, p= .000)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 3)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과 태도는 스마트 슬립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t=10.64, p= .000).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 및 태도 점수는 집단 간(F=44.707, p= .000), 측정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F=77.233, p= .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시기 간(F=80.678, p= .00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4) 삶의 질은 스마트 슬립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지남 에 따라 삶의 질 점수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t=-2.85, p= .006). 삶의 질 점수는 집단 간(F=9.779, p= .003), 측정 시 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F=0.998, p= .372)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없었고, 시기 간(F=5.423, p =.006)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 5) 우울은 스마트 슬립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 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t=4.44, p= .000). 우울 점수는 집단 간 (F=10.762, p= .002), 측정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F=25.715, p= .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시기 간(F=11.362, p = .00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수면 효율성은 스마트 슬립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 으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t=-7.341, p =.000). 수면 효율 점수는 집단 간(F=22.03, p =.000), 측정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F=22.394, p= .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시기 간(F=61.227, p =.000)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비대면 불면증 인지행동치료 스마트 슬립을 검증한 결과, 불면증이 있는 지역사회 노인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는 향후 지역사회에 서 불면증 노인을 위한 비대면 서비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어 : 불면증, 인지행동치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정보통신기술
불면증 노인 대상 ICT 기반 인지행동치료 애플리케이션의 적용 및 효과 연구 무작위 대조군 사전 사후 실험설계 배경 : 수면은 인간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기 본적인 요구이다. 그러나 노인 인구의 약 50%는 불면증을 앓고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불면증의 첫 번째 치료법으로 인지행동치료가 권장되지만, 노인들은 경제적인 이유, 거동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치료에 접근하기가 어 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면증 노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목적 : 본 연구는 불면증 노인을 위해 개발된 비대면 기반 불면증 인지 행동 치료인 "스마트 슬립" 애플리케이션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방법: 무작위대조군 사전 사후 실험설계로 불면증이(ISI-K 8점 이상) 있 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험군(n=30), 대조군(n=29)을 배정하여 진행하였다. 실험군은 불면증 인지행동치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스마트 슬립을 8주 동안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중재 프로그램을 제외한 기본적인 프로그램, 수 면 밴드를 제공해주었다. 중재 전, 4 주차, 8 주차에 결과를 측정하였다. 두 집단 간에 1) 수면의 질, 2) 불면증, 3) 우울, 4) 삶의 질, 5) 수면에 대한 역 기능적 신념 및 태도, 6) 수면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면의 질은 스마트 슬립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 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8주 차(t=8.70, p= .000). 수면의 질 점 수는 집단 간(F=15.957, p= .000), 측정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 (F=97.806, p= .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시기 간 (F=42.766, p= .000)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불면증 심각성 점수는 스마트 슬립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8.44, p= .000). 불면증 심각성 점수는 집단 간 (F=31.579, p= .000), 측정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F=18.923, p= .000)으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시기 간(F=51.790, p= .000)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 3)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과 태도는 스마트 슬립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t=10.64, p= .000).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 및 태도 점수는 집단 간(F=44.707, p= .000), 측정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F=77.233, p= .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시기 간(F=80.678, p= .00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4) 삶의 질은 스마트 슬립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지남 에 따라 삶의 질 점수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t=-2.85, p= .006). 삶의 질 점수는 집단 간(F=9.779, p= .003), 측정 시 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F=0.998, p= .372)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없었고, 시기 간(F=5.423, p =.006)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 5) 우울은 스마트 슬립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 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t=4.44, p= .000). 우울 점수는 집단 간 (F=10.762, p= .002), 측정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F=25.715, p= .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시기 간(F=11.362, p = .00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수면 효율성은 스마트 슬립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 으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t=-7.341, p =.000). 수면 효율 점수는 집단 간(F=22.03, p =.000), 측정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F=22.394, p= .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시기 간(F=61.227, p =.000)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비대면 불면증 인지행동치료 스마트 슬립을 검증한 결과, 불면증이 있는 지역사회 노인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는 향후 지역사회에 서 불면증 노인을 위한 비대면 서비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어 : 불면증, 인지행동치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정보통신기술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