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모의 실험주택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한 휘발성 및 반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거동 및 노출평가 Fate and Exposure Assessment of VOCs and SVOCs in Indoor Space Using a Test House Monitoring Results원문보기
제 목 : 모의 실험주택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한 휘발성 및 반휘발 성 유기화합물의 거동 및 노출평가 실내공간 내에 다양한 공산품, 생활화학제품 등에 의도적·비의도적으로 함유 된 화학물질은 제품 사용에 따라 공간으로 방출, 배출, 전이되어 실내공간 내의 사람에게 건강학적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공간에서 사용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화학물질을 방출하 는 제품(방향제, 바닥재, 벽지)을 대상으로 제품 내 함유된 휘발성 및 반휘발성 유기화합물(d-리모넨, 프로필렌글리콜, ...
제 목 : 모의 실험주택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한 휘발성 및 반휘발 성 유기화합물의 거동 및 노출평가 실내공간 내에 다양한 공산품, 생활화학제품 등에 의도적·비의도적으로 함유 된 화학물질은 제품 사용에 따라 공간으로 방출, 배출, 전이되어 실내공간 내의 사람에게 건강학적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공간에서 사용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화학물질을 방출하 는 제품(방향제, 바닥재, 벽지)을 대상으로 제품 내 함유된 휘발성 및 반휘발성 유기화합물(d-리모넨, 프로필렌글리콜, 프탈레이트 중 DEHP)의 거동 확인을 위하여 실험실 수준에서의 함량 및 챔버(소형챔버, 마이크로 챔버)실험을 수행 하였다. 또한 대상 제품이 설치 및 시공 된 모의 실험주택에서 약 5개월 동안 각 물질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결과를 반영한 경로별 노출평 가를 수행하였다. 실내공간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d-리모넨 및 프로필렌글리콜의 경우, 물질의 특성(증기압), 공간의 부피 등이 방출농도의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으며, 이에 따라 실내공간에서 d-리모넨의 경우 초기단계에서 많은 양이 빠르게 노출될 수 있고, 프로필렌글리콜의 경우 적은양이지만 서서히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휘발성 유기화합물인 프탈레이트 중 DEHP의 경우, 낮은 증기압 으로 인한 거동 특성 따라 다양한 경로로 동시에 노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 며 특히, 실내공간의 DEHP 노출량은 흡입보다는 경구경로를 통한 노출량이 최 대 140배 이상 높았으며, 이에 따라 Hand to Mouth의 행동 양식을 갖는 유아 와 같은 특정 인구집단에게, 먼지섭취를 통한 DEHP의 경구 노출은 노출량이 높은 중요한 노출경로였다. 본 연구는 실내공간에서 노출 가능한 휘발성 및 반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하 여 장기간의 모니터링 기반의 물질별 거동특성 및 그 노출량 산출하였으며 특 히, 노출원에 따라 다양한 노출 경로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는 DEHP에 대하여 모니터링 결과를 반영한 경로별 노출비율을 정량적으로 산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실내공간의 휘발성 및 반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거동 및 노출특성 파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제 목 : 모의 실험주택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한 휘발성 및 반휘발 성 유기화합물의 거동 및 노출평가 실내공간 내에 다양한 공산품, 생활화학제품 등에 의도적·비의도적으로 함유 된 화학물질은 제품 사용에 따라 공간으로 방출, 배출, 전이되어 실내공간 내의 사람에게 건강학적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공간에서 사용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화학물질을 방출하 는 제품(방향제, 바닥재, 벽지)을 대상으로 제품 내 함유된 휘발성 및 반휘발성 유기화합물(d-리모넨, 프로필렌글리콜, 프탈레이트 중 DEHP)의 거동 확인을 위하여 실험실 수준에서의 함량 및 챔버(소형챔버, 마이크로 챔버)실험을 수행 하였다. 또한 대상 제품이 설치 및 시공 된 모의 실험주택에서 약 5개월 동안 각 물질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결과를 반영한 경로별 노출평 가를 수행하였다. 실내공간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d-리모넨 및 프로필렌글리콜의 경우, 물질의 특성(증기압), 공간의 부피 등이 방출농도의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으며, 이에 따라 실내공간에서 d-리모넨의 경우 초기단계에서 많은 양이 빠르게 노출될 수 있고, 프로필렌글리콜의 경우 적은양이지만 서서히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휘발성 유기화합물인 프탈레이트 중 DEHP의 경우, 낮은 증기압 으로 인한 거동 특성 따라 다양한 경로로 동시에 노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 며 특히, 실내공간의 DEHP 노출량은 흡입보다는 경구경로를 통한 노출량이 최 대 140배 이상 높았으며, 이에 따라 Hand to Mouth의 행동 양식을 갖는 유아 와 같은 특정 인구집단에게, 먼지섭취를 통한 DEHP의 경구 노출은 노출량이 높은 중요한 노출경로였다. 본 연구는 실내공간에서 노출 가능한 휘발성 및 반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하 여 장기간의 모니터링 기반의 물질별 거동특성 및 그 노출량 산출하였으며 특 히, 노출원에 따라 다양한 노출 경로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는 DEHP에 대하여 모니터링 결과를 반영한 경로별 노출비율을 정량적으로 산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실내공간의 휘발성 및 반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거동 및 노출특성 파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Chemicals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present in different products in the indoor space were released, emitted, and migrated into the space based on the product’s use, causing health problems for those who live in there. The laboratory chamber experi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to confirm the ...
Chemicals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present in different products in the indoor space were released, emitted, and migrated into the space based on the product’s use, causing health problems for those who live in there. The laboratory chamber experi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to confirm the fate of organic pollutants (d-limonene, Propyleneglycol and DEHP) in products(air freshener, flooring, and wallpaper). Furthermore, organic pollutants were monitored for approximately 5 months in a test house where the target product was used in construction, and exposure assessment for exposure route(oral and inhalation) was performed based on monitoring results. In the case of d-limonene and propylene glycol, which are volatile organic pollutants in indoor spaces, the characteristics of vapor pressure, volume of the space, and temperature were factors influencing the emission. In terms of indoor exposure, it was found that a large amount of d-limonene can be quickly exposed in the early stages, whereas propylene glycol is a small amount, but is stably and continuously exposed. Due to the low vapor pressure characteristics of DEHP, a semi-volatile organic pollutant,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be simultaneously exposed to multiple paths. DEHP exposure in indoor spaces was up to 140 times higher by oral exposure than inhal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oral DEHP exposure via dust intake was an important exposure route in terms of overall exposure for certain population groups, such as infants with hand to mouth behavior patterns. This study validated the fate and exposure amount of organic pollutants in indoor spaces based on long-term monitoring results. It is especially significant for DEHP exposed simultaneously through multiple exposure routes because it quantitatively calculated the exposure rate based on the exposure route(oral, Inhalation) using long-term monitoring data.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the fate and exposure characteristics of volatile and semi-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indoor environments.
Chemicals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present in different products in the indoor space were released, emitted, and migrated into the space based on the product’s use, causing health problems for those who live in there. The laboratory chamber experi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to confirm the fate of organic pollutants (d-limonene, Propyleneglycol and DEHP) in products(air freshener, flooring, and wallpaper). Furthermore, organic pollutants were monitored for approximately 5 months in a test house where the target product was used in construction, and exposure assessment for exposure route(oral and inhalation) was performed based on monitoring results. In the case of d-limonene and propylene glycol, which are volatile organic pollutants in indoor spaces, the characteristics of vapor pressure, volume of the space, and temperature were factors influencing the emission. In terms of indoor exposure, it was found that a large amount of d-limonene can be quickly exposed in the early stages, whereas propylene glycol is a small amount, but is stably and continuously exposed. Due to the low vapor pressure characteristics of DEHP, a semi-volatile organic pollutant,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be simultaneously exposed to multiple paths. DEHP exposure in indoor spaces was up to 140 times higher by oral exposure than inhal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oral DEHP exposure via dust intake was an important exposure route in terms of overall exposure for certain population groups, such as infants with hand to mouth behavior patterns. This study validated the fate and exposure amount of organic pollutants in indoor spaces based on long-term monitoring results. It is especially significant for DEHP exposed simultaneously through multiple exposure routes because it quantitatively calculated the exposure rate based on the exposure route(oral, Inhalation) using long-term monitoring data.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the fate and exposure characteristics of volatile and semi-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indoor environmen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