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4년 4월까지 최근 6년간의 유아의 문제행동 관련 국내 학위논문들의 시기별, 연구 방법별, 연구 대상별, 유아의 문제 행동 유형별,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방법별, 문제행동 관련 교사 요인별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유아 문제행동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집된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기초자료 분석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문제행동 관련 시기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2.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3. 유아 문제행동 관련 대상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4. 유아 문제행동 유형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5.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방법에 따른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6. 문제행동 지도 관련 교사 요인의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분석에 사용된 연구자료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4년 4월까지 최근 6년간의 유아의 문제행동 관련 국내 학위논문들의 시기별, 연구 방법별, 연구 대상별, 유아의 문제 행동 유형별,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방법별, 문제행동 관련 교사 요인별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유아 문제행동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집된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기초자료 분석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문제행동 관련 시기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2.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3. 유아 문제행동 관련 대상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4. 유아 문제행동 유형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5.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방법에 따른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6. 문제행동 지도 관련 교사 요인의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분석에 사용된 연구자료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유아 문제 행동’, ‘문제행동’, ‘유아 문제’,‘행동 문제’, ‘문제행동 지도’ 의 주제어를 포함한 논문을 검색하고 수집하였다. 장애 유아, 장애 위험 유아와 장애 통합으로 인한 유아 문제행동은 제하였으며 우리나라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만 분석 대상에 포함하였다. 선정된 139편의 학위논문은 Microsoft office Excel 2021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문제행동에 관련된 연구 동향은 2019년에서 2023년까지 평균 26편의 학위논문들이 해마다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둘째, 연구에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중 조사연구이다. 셋째, 대상별 분류를 살펴보면 유아의 문제행동에서 유아보다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유아의 문제행동을 분석하는 연구가 각 세 배 이상 많았다. 넷째, 가장 많이 연구된 유아의 문제행동은 외현화 문제행동인 공격행동과 주의집중 문제이다. 다섯째, 교사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 한 8편의 논문이 있다. 여섯째, 문제행동 지도와 관련된 교사 요인의 논 문 중 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가 가장 많으며, 그중 자신의 가르침이 유아 의 문제행동 해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는 믿음과 신념을 다룬 ‘교사의 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다. B.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최근 6년간 연구된 학위논문 들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아 문제행동 관련 시기별 연구 동향 유아 문제행동에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2024년(4월까지)은 1년 의 연구가 아니므로 연도별 평균에서 제하고, 2019년에서 2023년까지 연 구의 평균을 내어보면 26편의 유아 문제행동 관련 학위논문이 해마다 꾸 준히 연구되고 있으며, 분석된 최근 6년의 유아 문제행동과 관련된 학위 논문이 총 139편이다. 이순자, 유수옥(2012)의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10 년간 조사한 유아의 문제행동 관련 학위논문은 총 53편이며, 김영아 (2019)의 2007년부터 2019년까지 문제행동 지도 관련 국내 연구 분석에서 는 학술지 43편, 최윤영(2023)의 2014년에서 2022년까지 연구된 유아의 정서 및 행동 문제 중재 동향 분석은 학술지 40편 학위논문 14편이다. 선 행연구에서도 볼 수 있듯이 유아 문제행동과 관련된 연구들이 꾸준히 증 가하고 있다는 것은, 문제행동 유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구체적인 문제해결 및 문제행동 지도 방법의 제시 가 필요하다. 2.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 연구 방법별 동향을 살펴보면 조사연구 119편(85.6%), 혼합연구 8편 (5.7%), 실험연구 6편(4.3%), 질적 연구 3편(2.2%), 문헌 연구 3편 (2.2%) 순이다. 연구에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중 조사 연구이며 이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도 같다. 조사연구 중에서도 특히나 검사척도를 활용한 연구가 많았다. 이는 연구의 내용이 유아의 문제행동 이기에 유아들의 문제행동을 평가하는 평가척도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 하고, 문제행동 지도와 관련된 평가척도를 교사들도 사용하기 때문에 조 사연구가 많은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양적 연구 중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원인 규명에 중점 을 두고 있는 연구들이 대부분임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토대로 하여 유아 문제행동의 원인 규명을 바탕으로 한 유아 문제행동 개선 프로그램 과 예방 및 문제행동 지도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순자, 유수옥(2012)의 2003~2012년까지의 유아 문제행동 관련 변인을 알아본 연구와 김영아(2019)의 2007년부터 2019년까지 문제행동 지도 관 련 연구에서 유아 문제행동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피는 문헌 연구가 한편도 없었기에 문헌 연구의 필요성이 제언 되었고, 최근 6년간의 연구 에서는 부모의 양육 태도가 유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메타 분석한 연구 2편과 유아 정서 및 행동 문제 중재의 연구 동향 분석 1편으로 문헌 연구가 총 3편 연구되었다. 본 연구도 유아 문제행동의 최근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되길 바란다. 3. 유아 문제행동 관련 대상별 연구 동향 분석 대상 139편 중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 대상 분석에서 유아 20 편, 부모 63편, 교사 59편이 연구되었다. 유아 문제행동에서 유아보다 교 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유아의 문제행동을 분석하는 연구가 각 세 배 이상 많았음을 볼 수 있다. 과거 이순자, 유수옥(2012)의 연구자료에서 유아의 내적 변인이 41% 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유아 개인의 기질이나 요인들이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변인 관련 연구가 12편으로 8.1% 이다. 이는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교사와 부모가 유아 문제행동 해결에 더 큰 영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문제행동으로 가장 어려움을 겪는 대상이 부모나 교사라고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부모와 교사들의 문제행동 지도에 좀 더 관심을 가지고 효과적인 전략을 찾아야 하는 상황 임을 알 수 있다. 김영아(2020)의 연구에서는 유아 문제행동 지도 교사 연수 시 교사들이 문제행동 지도와 관련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쉽게 배우고 받아 들였지만, 가족 협력의 적용과 기관 차원의 문제행동 대응에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양상을 조금 더 면밀하게 분석하여 부모- 교사 협력과 교육기관 역할도 앞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연구 대상 중 모(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44편(69.8%)이며, 부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4편(6.3%),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15편(23.8%)이다. 문제행동에 대해 여전히 모(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 구가 가장 많았다. 부정적 정서를 가진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엄격한 태도를 취하며, 모와 부가 양육에 대한 정서와 지식을 공유할 경우, 통 제적 양육의 긍정적 효과가 외현화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문영경(2022)의 선행연구 결과에 따라 부모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4. 유아 문제행동 유형별 연구 동향 문제행동 유형별 분석에서 외현화 문제행동인 공격행동과 주의집중 문 제가 36.2%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는데 이는 선행연구(손가화, 이병인 2014; 이원령 외, 2014; 최윤영, 2023)에서 외현화 문제행동 유형이 가장 높았다는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이런 결과는 송진숙과 권희경(2003)의 연구처럼 유아의 발달 시기가 사회적 기술의 부족과 의사소통 능력이 아 직 부족하기에 유아가 문제상황에서 대처할 때 공격행동을 많이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배구택과 노진형(2019)의 연구에서 전자미디어 사용 시간은 유아 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 미디어의 이 용이 많을수록 공격적 행동, 주의집중 문제 등 외현화 문제행동에서 높은 빈도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전영희(2021)의 연구에서도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인터넷 중독 경향성은 문제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다고 밝혔으며, 서희(2023)의 4세에서 6세 유아의 문제행동과 유튜브콘텐츠의 상관을 확인함으로써 유아의 문제행동과 미디어 과의존의 영향 이 확인되었다. 유아뿐 아니라 부모와 교사 또한 미디어 과의존에서 예외 일 수 없기에 앞으로 유아와 부모 그리고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필 요함을 알 수 있다. 5.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방법에 따른 연구 동향 최근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프로그램으로는 홍지행(2019)의 만다라 미 술 활동, 윤지희(2020)의 명상 활동 육감 놀이와 지상희(2020)의 텃밭 활 동 그리고 박은정(2020)의 미술 놀이프로그램 개발과 치료가 있다. 그리 고 이승희(2021)의 인형극을 통한 토의 활동과 정선미(2022)와 신그린 (2023)의 놀이치료가 있고 마지막으로 김가연(2023)의 숲 활동이 있다. Essa(2000)는 교사가 교실 내에서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하기에 앞서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대책 마련 및 실천이 문제행동 지도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을 강조한다. 소개한 논문의 프로그램 중 놀이치료 를 제외한 6편의 논문이 문제행동의 유아만이 아닌 다른 유아들에게도 제 공되었다. 이는 문제행동 지도의 예방적 지도 방법이며 문제행동 지도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교사들이 효과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다양한 예방적 교육방안의 개발이 필요하다. 6. 문제행동 관련 교사 요인 연구 동향 교사의 전문성 관련 변인에서 효능감, 전문성인식, 직무스트레스, 공감 능력이 많았다. 김영아(2019)의 연구에서 전문성과 정서 관련 변인들은 문제행동 지도전략 사용과 서로 관련 있는 변인으로 본다. 교사가 문제행 동 지도 효능감을 기르는 것이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 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효능감이 높으면 유아의 문 제행동 중 행동 과다, 사회적 위축과 같은 문제행동에 대해 빨리 파악하 게 되고 이에 맞는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염수진, 2022). 여러 논문에서 같은 변인을 주제로 정하고 연구하였다는 것은 그 변인 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 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문제행동 지도에 있어 효능감 및 전문 성 인식, 직무스트레스, 공감 능력은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와 관련하여 교사 교육의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고려 되어야 한다. 본 연구가 학술지 연구를 제외한 학위논문만을 대상으로 한 제한점으로 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가 더 적을 수 있으나, 교사들을 위 한 문제행동 지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부족하며 연구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C. 제언 위와 같이 연구 결과를 요약하며 논의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문제행동과 관련된 다양한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지금까 지는 양적 연구인 조사연구를 통하여 유아 문제행동의 원인이나 예측되는 변인을 규명하는 연구들에 편중되었음을 볼 수 있다. 평가척도 개발연구 는 한편도 없었고 유아 문제행동의 해결을 위한 직접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련된 연구도 적었다. 따라서 앞으로 문제행동 유아의 직접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예방적 문제행동 지도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미디어 과의존’이라는 용어가 생겨난 시대에, 변화하는 유아 들의 발달 및 문제에 따른 평가척도개발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사례를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들이 연구되고, 유아 문제행동과 관 련된 문헌을 고찰한 기초연구, 유아 문제행동 변화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주는 질적 연구 또한 필요하다. 셋째, 유아 문제행동에서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부모와 교사가 유아보다 문제행동 해결에 더 큰 영향이 있기에 유아 문제행동으로 괴로워하는 부 모나 교사를 위한 효과적인 지도 방안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유아가 문제행동을 보이면 우선 문제행동의 배경과 원인을 찾는 다. 채널A 방송 프로그램인‘금쪽같은 내 새끼’에서도 문제를 일으키는 아이와 양육환경, 부모의 양육 태도를 먼저 보여주고 문제행동의 원인을 찾으려 한다. 이것은 유아 문제행동과 관련된 연구들에서 ‘변인’에 관 한 연구가 가장 많다는 것은 같은 의미를 가진다. 앞서 언급한 방송 프로 그램에서는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마지막에 문제해결을 위해 아이마다 다 른 솔루션 제공하고, 솔루션 적용 후 변화된 유아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처럼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변인 연구도 연구를 바탕으로 한 유아들 의 문제행동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최근 6년간의 국내 학위논문만을 분석하였으나, 학술지 논문 및 유아 문제행동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들의 활용 동향도 함께 분석해본다면 더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4년 4월까지 최근 6년간의 유아의 문제행동 관련 국내 학위논문들의 시기별, 연구 방법별, 연구 대상별, 유아의 문제 행동 유형별,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방법별, 문제행동 관련 교사 요인별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유아 문제행동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집된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기초자료 분석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문제행동 관련 시기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2.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3. 유아 문제행동 관련 대상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4. 유아 문제행동 유형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5.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방법에 따른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6. 문제행동 지도 관련 교사 요인의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분석에 사용된 연구자료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유아 문제 행동’, ‘문제행동’, ‘유아 문제’,‘행동 문제’, ‘문제행동 지도’ 의 주제어를 포함한 논문을 검색하고 수집하였다. 장애 유아, 장애 위험 유아와 장애 통합으로 인한 유아 문제행동은 제하였으며 우리나라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만 분석 대상에 포함하였다. 선정된 139편의 학위논문은 Microsoft office Excel 2021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문제행동에 관련된 연구 동향은 2019년에서 2023년까지 평균 26편의 학위논문들이 해마다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둘째, 연구에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중 조사연구이다. 셋째, 대상별 분류를 살펴보면 유아의 문제행동에서 유아보다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유아의 문제행동을 분석하는 연구가 각 세 배 이상 많았다. 넷째, 가장 많이 연구된 유아의 문제행동은 외현화 문제행동인 공격행동과 주의집중 문제이다. 다섯째, 교사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 한 8편의 논문이 있다. 여섯째, 문제행동 지도와 관련된 교사 요인의 논 문 중 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가 가장 많으며, 그중 자신의 가르침이 유아 의 문제행동 해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는 믿음과 신념을 다룬 ‘교사의 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다. B.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최근 6년간 연구된 학위논문 들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아 문제행동 관련 시기별 연구 동향 유아 문제행동에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2024년(4월까지)은 1년 의 연구가 아니므로 연도별 평균에서 제하고, 2019년에서 2023년까지 연 구의 평균을 내어보면 26편의 유아 문제행동 관련 학위논문이 해마다 꾸 준히 연구되고 있으며, 분석된 최근 6년의 유아 문제행동과 관련된 학위 논문이 총 139편이다. 이순자, 유수옥(2012)의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10 년간 조사한 유아의 문제행동 관련 학위논문은 총 53편이며, 김영아 (2019)의 2007년부터 2019년까지 문제행동 지도 관련 국내 연구 분석에서 는 학술지 43편, 최윤영(2023)의 2014년에서 2022년까지 연구된 유아의 정서 및 행동 문제 중재 동향 분석은 학술지 40편 학위논문 14편이다. 선 행연구에서도 볼 수 있듯이 유아 문제행동과 관련된 연구들이 꾸준히 증 가하고 있다는 것은, 문제행동 유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구체적인 문제해결 및 문제행동 지도 방법의 제시 가 필요하다. 2.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 연구 방법별 동향을 살펴보면 조사연구 119편(85.6%), 혼합연구 8편 (5.7%), 실험연구 6편(4.3%), 질적 연구 3편(2.2%), 문헌 연구 3편 (2.2%) 순이다. 연구에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중 조사 연구이며 이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도 같다. 조사연구 중에서도 특히나 검사척도를 활용한 연구가 많았다. 이는 연구의 내용이 유아의 문제행동 이기에 유아들의 문제행동을 평가하는 평가척도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 하고, 문제행동 지도와 관련된 평가척도를 교사들도 사용하기 때문에 조 사연구가 많은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양적 연구 중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원인 규명에 중점 을 두고 있는 연구들이 대부분임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토대로 하여 유아 문제행동의 원인 규명을 바탕으로 한 유아 문제행동 개선 프로그램 과 예방 및 문제행동 지도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순자, 유수옥(2012)의 2003~2012년까지의 유아 문제행동 관련 변인을 알아본 연구와 김영아(2019)의 2007년부터 2019년까지 문제행동 지도 관 련 연구에서 유아 문제행동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피는 문헌 연구가 한편도 없었기에 문헌 연구의 필요성이 제언 되었고, 최근 6년간의 연구 에서는 부모의 양육 태도가 유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메타 분석한 연구 2편과 유아 정서 및 행동 문제 중재의 연구 동향 분석 1편으로 문헌 연구가 총 3편 연구되었다. 본 연구도 유아 문제행동의 최근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되길 바란다. 3. 유아 문제행동 관련 대상별 연구 동향 분석 대상 139편 중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 대상 분석에서 유아 20 편, 부모 63편, 교사 59편이 연구되었다. 유아 문제행동에서 유아보다 교 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유아의 문제행동을 분석하는 연구가 각 세 배 이상 많았음을 볼 수 있다. 과거 이순자, 유수옥(2012)의 연구자료에서 유아의 내적 변인이 41% 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유아 개인의 기질이나 요인들이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변인 관련 연구가 12편으로 8.1% 이다. 이는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교사와 부모가 유아 문제행동 해결에 더 큰 영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문제행동으로 가장 어려움을 겪는 대상이 부모나 교사라고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부모와 교사들의 문제행동 지도에 좀 더 관심을 가지고 효과적인 전략을 찾아야 하는 상황 임을 알 수 있다. 김영아(2020)의 연구에서는 유아 문제행동 지도 교사 연수 시 교사들이 문제행동 지도와 관련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쉽게 배우고 받아 들였지만, 가족 협력의 적용과 기관 차원의 문제행동 대응에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양상을 조금 더 면밀하게 분석하여 부모- 교사 협력과 교육기관 역할도 앞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연구 대상 중 모(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44편(69.8%)이며, 부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4편(6.3%),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15편(23.8%)이다. 문제행동에 대해 여전히 모(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 구가 가장 많았다. 부정적 정서를 가진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엄격한 태도를 취하며, 모와 부가 양육에 대한 정서와 지식을 공유할 경우, 통 제적 양육의 긍정적 효과가 외현화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문영경(2022)의 선행연구 결과에 따라 부모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4. 유아 문제행동 유형별 연구 동향 문제행동 유형별 분석에서 외현화 문제행동인 공격행동과 주의집중 문 제가 36.2%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는데 이는 선행연구(손가화, 이병인 2014; 이원령 외, 2014; 최윤영, 2023)에서 외현화 문제행동 유형이 가장 높았다는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이런 결과는 송진숙과 권희경(2003)의 연구처럼 유아의 발달 시기가 사회적 기술의 부족과 의사소통 능력이 아 직 부족하기에 유아가 문제상황에서 대처할 때 공격행동을 많이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배구택과 노진형(2019)의 연구에서 전자미디어 사용 시간은 유아 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 미디어의 이 용이 많을수록 공격적 행동, 주의집중 문제 등 외현화 문제행동에서 높은 빈도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전영희(2021)의 연구에서도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인터넷 중독 경향성은 문제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다고 밝혔으며, 서희(2023)의 4세에서 6세 유아의 문제행동과 유튜브 콘텐츠의 상관을 확인함으로써 유아의 문제행동과 미디어 과의존의 영향 이 확인되었다. 유아뿐 아니라 부모와 교사 또한 미디어 과의존에서 예외 일 수 없기에 앞으로 유아와 부모 그리고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필 요함을 알 수 있다. 5.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방법에 따른 연구 동향 최근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프로그램으로는 홍지행(2019)의 만다라 미 술 활동, 윤지희(2020)의 명상 활동 육감 놀이와 지상희(2020)의 텃밭 활 동 그리고 박은정(2020)의 미술 놀이프로그램 개발과 치료가 있다. 그리 고 이승희(2021)의 인형극을 통한 토의 활동과 정선미(2022)와 신그린 (2023)의 놀이치료가 있고 마지막으로 김가연(2023)의 숲 활동이 있다. Essa(2000)는 교사가 교실 내에서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하기에 앞서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대책 마련 및 실천이 문제행동 지도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을 강조한다. 소개한 논문의 프로그램 중 놀이치료 를 제외한 6편의 논문이 문제행동의 유아만이 아닌 다른 유아들에게도 제 공되었다. 이는 문제행동 지도의 예방적 지도 방법이며 문제행동 지도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교사들이 효과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다양한 예방적 교육방안의 개발이 필요하다. 6. 문제행동 관련 교사 요인 연구 동향 교사의 전문성 관련 변인에서 효능감, 전문성인식, 직무스트레스, 공감 능력이 많았다. 김영아(2019)의 연구에서 전문성과 정서 관련 변인들은 문제행동 지도전략 사용과 서로 관련 있는 변인으로 본다. 교사가 문제행 동 지도 효능감을 기르는 것이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 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효능감이 높으면 유아의 문 제행동 중 행동 과다, 사회적 위축과 같은 문제행동에 대해 빨리 파악하 게 되고 이에 맞는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염수진, 2022). 여러 논문에서 같은 변인을 주제로 정하고 연구하였다는 것은 그 변인 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 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문제행동 지도에 있어 효능감 및 전문 성 인식, 직무스트레스, 공감 능력은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와 관련하여 교사 교육의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고려 되어야 한다. 본 연구가 학술지 연구를 제외한 학위논문만을 대상으로 한 제한점으로 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가 더 적을 수 있으나, 교사들을 위 한 문제행동 지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부족하며 연구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C. 제언 위와 같이 연구 결과를 요약하며 논의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문제행동과 관련된 다양한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지금까 지는 양적 연구인 조사연구를 통하여 유아 문제행동의 원인이나 예측되는 변인을 규명하는 연구들에 편중되었음을 볼 수 있다. 평가척도 개발연구 는 한편도 없었고 유아 문제행동의 해결을 위한 직접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련된 연구도 적었다. 따라서 앞으로 문제행동 유아의 직접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예방적 문제행동 지도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미디어 과의존’이라는 용어가 생겨난 시대에, 변화하는 유아 들의 발달 및 문제에 따른 평가척도개발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사례를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들이 연구되고, 유아 문제행동과 관 련된 문헌을 고찰한 기초연구, 유아 문제행동 변화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주는 질적 연구 또한 필요하다. 셋째, 유아 문제행동에서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부모와 교사가 유아보다 문제행동 해결에 더 큰 영향이 있기에 유아 문제행동으로 괴로워하는 부 모나 교사를 위한 효과적인 지도 방안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유아가 문제행동을 보이면 우선 문제행동의 배경과 원인을 찾는 다. 채널A 방송 프로그램인‘금쪽같은 내 새끼’에서도 문제를 일으키는 아이와 양육환경, 부모의 양육 태도를 먼저 보여주고 문제행동의 원인을 찾으려 한다. 이것은 유아 문제행동과 관련된 연구들에서 ‘변인’에 관 한 연구가 가장 많다는 것은 같은 의미를 가진다. 앞서 언급한 방송 프로 그램에서는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마지막에 문제해결을 위해 아이마다 다 른 솔루션 제공하고, 솔루션 적용 후 변화된 유아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처럼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변인 연구도 연구를 바탕으로 한 유아들 의 문제행동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최근 6년간의 국내 학위논문만을 분석하였으나, 학술지 논문 및 유아 문제행동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들의 활용 동향도 함께 분석해본다면 더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research trends related to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n domestic these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139 related theses from the past six years, from 2019 to April 2024.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r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research trends related to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n domestic these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139 related theses from the past six years, from 2019 to April 2024.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research trends i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by period? 2. What are the research trends in research methods related to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3. What are the research trends in subjects related to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4. What are the research trends in types of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5. What are the research trends on teacher guidance methods for problem behaviors? 6.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on teacher factors related to problem behavioral guidance?
The research data used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by searching for theses related to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n th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for Academic Research (RISS). The 139 selected theses were analyzed using Microsoft Office Excel 2021 to calculat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 average of 26 theses are being studied steadily each year. Second, The most commonly used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is quantitative research among survey research. Third, looking at the classification by subject, there were more than three times as many studies analyzing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by targeting teachers and parents than by targeting 'young children' i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urth, the most studied types of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r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namely aggressive behavior and attention problems. Fifth, there are seven theses that have guided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using programs. Sixth, among the theses on teacher factors related to problem behaviors, there are many studies on professionalism, and among them, the most research is on "teacher efficac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und in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hat can be of practical help in guiding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research trends related to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n domestic these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139 related theses from the past six years, from 2019 to April 2024.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research trends i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by period? 2. What are the research trends in research methods related to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3. What are the research trends in subjects related to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4. What are the research trends in types of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5. What are the research trends on teacher guidance methods for problem behaviors? 6.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on teacher factors related to problem behavioral guidance?
The research data used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by searching for theses related to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n th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for Academic Research (RISS). The 139 selected theses were analyzed using Microsoft Office Excel 2021 to calculat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 average of 26 theses are being studied steadily each year. Second, The most commonly used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is quantitative research among survey research. Third, looking at the classification by subject, there were more than three times as many studies analyzing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by targeting teachers and parents than by targeting 'young children' i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urth, the most studied types of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r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namely aggressive behavior and attention problems. Fifth, there are seven theses that have guided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using programs. Sixth, among the theses on teacher factors related to problem behaviors, there are many studies on professionalism, and among them, the most research is on "teacher efficac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und in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hat can be of practical help in guiding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