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양다래와 뉴질랜드, 캘리포니아에서 수입되는 양다래(고형분의 함량,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aroma and taste components among three kinds of kiwifruits from Korea, New Zealand and California. The moisture contents, pH, titratable acidity, organic acid, free sugar and volatile aromas were compared. The free sugar and organic acid were measured simultaneously by GC. Volatile aromas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and analyzed by GC and GC/MS. The moisture contents, pH and titratable acidity showed almost no differences among the three samples. Among the organic acids, malic acid contents were different. Citric acid contents were similar level. Quinic acid in Korean kiwifruits was extremely low compared to other samples. The total sugar contents were similar in three kiwifruit groups. The composition of major flavor components such as ethyl butanoate, hexanal, propyl butanoate, ethyl pentanoate, 2-hexenal, hexanol, hexanal, linalool oxide, methyl benzoate were different among Korean, New Zealand and California Kiwifruits.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