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국내에서 채집하여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진균표본보관소(SMK)에 보존하고 있는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의 두 번째 보고이다. 이번에는 Cercospora 3종, Distocercospora 1종, Mycovellosiella 2종, Passalora 1종, Phaeoisariopsis 1종 및 Pseudocercospora 2종에 대한 균학적 특징을 기재, 묘사하였다. 근대에서 Cercospora beticola,상추에서 C. lactucae-sativae, 구기자나무에서 C. lycii, 도꼬로마에서 Distocercospora pachyderma, 족제비싸리에서 Mycovellosiella passaloroides, 좀명아주에서 Passalora dubia, 돌콩에서 P. sojina, 강낭콩에서 Phaeoisariopsis griseola, 까마중에서 Pseudocercospora atromarginalis, 그리고 붉나무에서 P. rhoina를 각각 동정하였다.
This paper is a contribution towards taxonomic studies on Cercospora and allied genera, and contains ten species of Korean cercosporoid fungi; viz. Cercospora beticola, C. lactucae-sativae, C. lycii, Distocercospora pachyderma, Mycovellosiella passaloroides, Passalora dubia, P. sojina, Phaeoisariopsis griseola, Pseudocercospora atromarginalis, and P. rhoina.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axonomic value are described and drawn for these species to contribute towards a mycological monograph of Korean cercosporoid fungi.
#Cercospora #Distocercospora #Mycovellosiella #Passalora #Phaeoisariopsis #Pseudocercospora #Monograph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