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H_2^{15}O$ 양전자단층촬영술을 이용한 뇌기능 지도 작성(II): 작업 기억의 지도 작성 Functional Brain Mapping Using $H_2^{15}O$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II ): Mapping of Human Working Memory원문보기
목적: PET을 이용하여 특정한 자극에 대한 국소 뇌혈류 변화를 영상화함으로써 비침습적으로 뇌의기능적 구조를 밝혀 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조과제와 언어성 및 시각적 작업기억중추에 대한 활성화과제를 수행하면서 뇌혈류 PET을 시행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여 작업기억에 관한 뇌기능지도를 구성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인 6명에 대해서 각각 대조과제, 단어기억 언어성 작업기억 활성화과제, 그림기억 언어성 작업기억 활성화과제, 시각적 작업기억 활성화과제를 수행시키면서 뇌혈류 PET을 촬영하였다. 언어성 작업기억과제로서 단어 기억과제에서는 4개의 단어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고 1초 후 1개의 단어를 보여주어 동일한 단어가 4개의 단어 중에 있었으면 버튼을 누르게 하며 $H_2^{15}O$ PET을 촬영하였다. 두 번 째 언어성 작업기억과제인 그림 기억과제에서는 단어 대신에 특정 단어가 연상되는 사물의 그림을 보여 주었다. 시각적 작업기억과제로는 사람의 얼굴 사진을 보여 주고 같은 실험을 하였다. 의미 없는 기호를 보여 주면서 특정한 기호가 나오면 버튼을 누르게 함으로써 시각적 자극과 손가락운동으로 인한 뇌혈류 분포를 포함하게 하여 대조과제로 삼았다. SPM96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 영상을 표준 지도 위에 공간적으로 정규화하고 활성화상태에서 뇌혈류가 의미 있게 증가된 영역을 찾아내기 위하여 각 화소의 방사능 계수에 대한 공분산분석을 하여 전체 계수 차이를 제거한 후 국소 계수 차이에 대한 귀무가설을 검증하여 각 화소의 Z 값에 대한 통계적 파라메터 영상(statistical parametric image)으로 뇌기능지도를 작성하였다. 결과: 단어를 이용한 언어성 작업기억에 대한 뇌기능지도에서는 왼쪽 브로카 영역와 전-운동영역, 왼쪽 소뇌, 오른쪽 대상회에서 뇌혈류가 증가하였다. 그림 기억과제 때에는 단어 기억과제에서 활성화된 각 부위에 더하여 왼쪽 위쪽 측두엽, 왼쪽 기저핵과 시상, 왼쪽 전-전두엽 등에서 뇌혈류가 증가하였다. 얼굴기억과제는 오른쪽 아래쪽 전두엽, 브로카 영역, 대상회, 위쪽 두정엽 등 주로 오른쪽 대뇌반구의 뇌혈류가 증가하였다. 세 가지 실험에 공통적으로 활성화된 영역을 찾기 위한 결합분석에는 왼쪽 전-운동영역, 소뇌와 기저핵, 오른쪽 대상회, 브로카 영역, 기저핵에서 뇌혈류가 증가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언어성 작업기억은 주로 왼쪽 대뇌반구의, 시각적 작업기억은 주로 오른쪽 대뇌반구의 활동에 의해서 주도되며 작업기억에 공통적인 활성화지역이 있다는 가설을 지지하였다. 전두엽이 작업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목적: PET을 이용하여 특정한 자극에 대한 국소 뇌혈류 변화를 영상화함으로써 비침습적으로 뇌의기능적 구조를 밝혀 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조과제와 언어성 및 시각적 작업기억중추에 대한 활성화과제를 수행하면서 뇌혈류 PET을 시행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여 작업기억에 관한 뇌기능지도를 구성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인 6명에 대해서 각각 대조과제, 단어기억 언어성 작업기억 활성화과제, 그림기억 언어성 작업기억 활성화과제, 시각적 작업기억 활성화과제를 수행시키면서 뇌혈류 PET을 촬영하였다. 언어성 작업기억과제로서 단어 기억과제에서는 4개의 단어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고 1초 후 1개의 단어를 보여주어 동일한 단어가 4개의 단어 중에 있었으면 버튼을 누르게 하며 $H_2^{15}O$ PET을 촬영하였다. 두 번 째 언어성 작업기억과제인 그림 기억과제에서는 단어 대신에 특정 단어가 연상되는 사물의 그림을 보여 주었다. 시각적 작업기억과제로는 사람의 얼굴 사진을 보여 주고 같은 실험을 하였다. 의미 없는 기호를 보여 주면서 특정한 기호가 나오면 버튼을 누르게 함으로써 시각적 자극과 손가락운동으로 인한 뇌혈류 분포를 포함하게 하여 대조과제로 삼았다. SPM96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 영상을 표준 지도 위에 공간적으로 정규화하고 활성화상태에서 뇌혈류가 의미 있게 증가된 영역을 찾아내기 위하여 각 화소의 방사능 계수에 대한 공분산분석을 하여 전체 계수 차이를 제거한 후 국소 계수 차이에 대한 귀무가설을 검증하여 각 화소의 Z 값에 대한 통계적 파라메터 영상(statistical parametric image)으로 뇌기능지도를 작성하였다. 결과: 단어를 이용한 언어성 작업기억에 대한 뇌기능지도에서는 왼쪽 브로카 영역와 전-운동영역, 왼쪽 소뇌, 오른쪽 대상회에서 뇌혈류가 증가하였다. 그림 기억과제 때에는 단어 기억과제에서 활성화된 각 부위에 더하여 왼쪽 위쪽 측두엽, 왼쪽 기저핵과 시상, 왼쪽 전-전두엽 등에서 뇌혈류가 증가하였다. 얼굴기억과제는 오른쪽 아래쪽 전두엽, 브로카 영역, 대상회, 위쪽 두정엽 등 주로 오른쪽 대뇌반구의 뇌혈류가 증가하였다. 세 가지 실험에 공통적으로 활성화된 영역을 찾기 위한 결합분석에는 왼쪽 전-운동영역, 소뇌와 기저핵, 오른쪽 대상회, 브로카 영역, 기저핵에서 뇌혈류가 증가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언어성 작업기억은 주로 왼쪽 대뇌반구의, 시각적 작업기억은 주로 오른쪽 대뇌반구의 활동에 의해서 주도되며 작업기억에 공통적인 활성화지역이 있다는 가설을 지지하였다. 전두엽이 작업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Purpose: To localize and compare the neural basis of verbal and visual human working memory, we performed functional activation study using $H_2^{15}O$ PET. Materials and Methods: Repeated $H_2^{15}O$ PET scans with one control and three different activation tasks were performe...
Purpose: To localize and compare the neural basis of verbal and visual human working memory, we performed functional activation study using $H_2^{15}O$ PET. Materials and Methods: Repeated $H_2^{15}O$ PET scans with one control and three different activation tasks were performed on six right-handed normal volunteers. Each activation task was composed of 13 match-ing trials. On each trial, four targets, a fixation dot and a probe were presented sequentially and subject's task was to press a response button to indicate whether or not the probe was one of the previous targets. Short meaningful Korean words, simple drawings and monochromic pictures of human faces were used as matching objects for verbal or visual memory. All the images were spatially normaliz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activation stat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M96. Results: Statistical analysis of verbal memory activation with short words showed activation in the left Broca's area, promoter cortex, cerebellum and right cingulate gyrus. In verbal memory with simple drawings, activation was shown in the larger regions including where activated with short words and left superior temporal cortex, basal ganglia, thalamus, prefrontal cortex, anterior portion of right superior temporal gyrus and right infero-lateral frontal cortex. On the other hand, the visual memory task activated predominantly right-sided structures, especially inferior frontal cortex, supplementary motor cortex and superior parietal cortex. Conclusion: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of the laterality and dissociation of the verbal and visual working memory from the invasive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and emphasize the pivotal role of frontal cortex and cingulate gyrus in working memory system.
Purpose: To localize and compare the neural basis of verbal and visual human working memory, we performed functional activation study using $H_2^{15}O$ PET. Materials and Methods: Repeated $H_2^{15}O$ PET scans with one control and three different activation tasks were performed on six right-handed normal volunteers. Each activation task was composed of 13 match-ing trials. On each trial, four targets, a fixation dot and a probe were presented sequentially and subject's task was to press a response button to indicate whether or not the probe was one of the previous targets. Short meaningful Korean words, simple drawings and monochromic pictures of human faces were used as matching objects for verbal or visual memory. All the images were spatially normaliz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activation stat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M96. Results: Statistical analysis of verbal memory activation with short words showed activation in the left Broca's area, promoter cortex, cerebellum and right cingulate gyrus. In verbal memory with simple drawings, activation was shown in the larger regions including where activated with short words and left superior temporal cortex, basal ganglia, thalamus, prefrontal cortex, anterior portion of right superior temporal gyrus and right infero-lateral frontal cortex. On the other hand, the visual memory task activated predominantly right-sided structures, especially inferior frontal cortex, supplementary motor cortex and superior parietal cortex. Conclusion: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of the laterality and dissociation of the verbal and visual working memory from the invasive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and emphasize the pivotal role of frontal cortex and cingulate gyrus in working memory syste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