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산철쭉과 왜철쭉의 Dehardening과정에서의 피해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Injury during Dehardening of Rhododendron obtusum and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원문보기
상록성인 히노데 기리시마 철쭉(Rhododendron obtusum cv. Hinodegiri)과 반상록성인 산철쭉(Rhododendron yeooense var. poukhanense)의 늦겨울부터 초봄까지의 생장상태를 비교하여 이 시기에 발생하는 피해 원인을 규명하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ehardening후 개화기의 관상가치는 산철쭉의 경우 관수처리 및 차광처리에 따른 관상가치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상록성 왜철쭉의 경우에는 특히 차광처리구에서 대조구나 관수처리구에 비해 높은 관상가치를 나타내었다. Dehardening과정의 동사점의 변화는 두 종류 모두에서 2월부터 3월까지의 기간에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져 이 시기가 dehardening의 중요한 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 시기에 상록성 왜철쭉은 차광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3^{\circ}C$ 정도 낮은 동사점을 기록하였으며, 관수처리구에서는 $1^{\circ}C$ 높은 동사점을 나타내었다. 같은 시기의 가지의 수분포텐셜과 수분함량의 변화를 측정 한 결과, 두 종류 공히 모든 처리구에서 2월부터 5월까지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다. 이때 산철쭉의 경우는 5월에 대조구에 비해 차광처리구가 수분포텐셜 0.3MPa, 수분함량 3% 정도 높아 거의 비슷한 체내수분상태를 유지하였지만, 상록성 왜철쭉의 경우는 대조구에 비해 차광처리구에서 수분포텐셜이 0.9MPa, 수분함량은 11%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관수처리구에서는 토양으로부터의 수분공급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더라도 광션에 의한 수분손실량의 증가가 크기 때문에 체내수분의 완전한 회복이 어려웠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체내수분의 회복정도의 차이는 TTC법을 이용한 가지활력의 측정결과에서도 나타나 특히 상록성 왜철쭉의 대조구에 비해 차광처리구에서 훨씬 높은 가지활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상록성 왜철쭉의 피해는 겨울철 동안 지속되었던 수분손실의 상태에서 봄철의 dehardening 시기에 체내수분을 원래의 상태대로 회복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때 체내수분의 회복을 위해서는 외부로부터의 수분공급보다는 수분손실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그를 위해 차광처리가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상록성인 히노데 기리시마 철쭉(Rhododendron obtusum cv. Hinodegiri)과 반상록성인 산철쭉(Rhododendron yeooense var. poukhanense)의 늦겨울부터 초봄까지의 생장상태를 비교하여 이 시기에 발생하는 피해 원인을 규명하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ehardening후 개화기의 관상가치는 산철쭉의 경우 관수처리 및 차광처리에 따른 관상가치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상록성 왜철쭉의 경우에는 특히 차광처리구에서 대조구나 관수처리구에 비해 높은 관상가치를 나타내었다. Dehardening과정의 동사점의 변화는 두 종류 모두에서 2월부터 3월까지의 기간에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져 이 시기가 dehardening의 중요한 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 시기에 상록성 왜철쭉은 차광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3^{\circ}C$ 정도 낮은 동사점을 기록하였으며, 관수처리구에서는 $1^{\circ}C$ 높은 동사점을 나타내었다. 같은 시기의 가지의 수분포텐셜과 수분함량의 변화를 측정 한 결과, 두 종류 공히 모든 처리구에서 2월부터 5월까지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다. 이때 산철쭉의 경우는 5월에 대조구에 비해 차광처리구가 수분포텐셜 0.3MPa, 수분함량 3% 정도 높아 거의 비슷한 체내수분상태를 유지하였지만, 상록성 왜철쭉의 경우는 대조구에 비해 차광처리구에서 수분포텐셜이 0.9MPa, 수분함량은 11%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관수처리구에서는 토양으로부터의 수분공급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더라도 광션에 의한 수분손실량의 증가가 크기 때문에 체내수분의 완전한 회복이 어려웠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체내수분의 회복정도의 차이는 TTC법을 이용한 가지활력의 측정결과에서도 나타나 특히 상록성 왜철쭉의 대조구에 비해 차광처리구에서 훨씬 높은 가지활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상록성 왜철쭉의 피해는 겨울철 동안 지속되었던 수분손실의 상태에서 봄철의 dehardening 시기에 체내수분을 원래의 상태대로 회복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때 체내수분의 회복을 위해서는 외부로부터의 수분공급보다는 수분손실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그를 위해 차광처리가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elucidate physiological factors involved in causing the winter injuries of evergreen Japanese rhododendron (Rhododendron obtusum cv. Hinodegiri) and semi-evergreen rhododendron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from late winter to early spring. The re...
In order to elucidate physiological factors involved in causing the winter injuries of evergreen Japanese rhododendron (Rhododendron obtusum cv. Hinodegiri) and semi-evergreen rhododendron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from late winter to early spring.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water potential, water content in stem, water potential and content have continuously increased in both species between February and May. In R. yedoense, shading treatment had 0.3MPa upper water potential and 3% upper water content than the control. Rhododendron obtusum, the treatments with shading had 0.9MPa upper water potential and 11% upper water content that the control. The difference of water balance by treatments could be found in vitality of stem measured by TTC test. Especially R. obtusum in the treatments with shading in has higher vitality than the control. we find that winter damage of evergreen R. obtusum was determined by whether water balance could be recovered from water deficient state during the dehardening period, or not. In order to recover of the water balance, decreasing water loss more important than increasing water supply, and that was effectively acrueved by the treatment with shading.
In order to elucidate physiological factors involved in causing the winter injuries of evergreen Japanese rhododendron (Rhododendron obtusum cv. Hinodegiri) and semi-evergreen rhododendron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from late winter to early spring.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water potential, water content in stem, water potential and content have continuously increased in both species between February and May. In R. yedoense, shading treatment had 0.3MPa upper water potential and 3% upper water content than the control. Rhododendron obtusum, the treatments with shading had 0.9MPa upper water potential and 11% upper water content that the control. The difference of water balance by treatments could be found in vitality of stem measured by TTC test. Especially R. obtusum in the treatments with shading in has higher vitality than the control. we find that winter damage of evergreen R. obtusum was determined by whether water balance could be recovered from water deficient state during the dehardening period, or not. In order to recover of the water balance, decreasing water loss more important than increasing water supply, and that was effectively acrueved by the treatment with shadi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