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미성 수복재로서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복합레진은 구강내에서 장기간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 물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복합레진의 단점 중 하나로 낮은 마모저항성을 들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하나의 인자로 수복물의 표면하 분해(subsurface degradation)가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카리성 용액(0.1N NaOH)에 현재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는 Clearfil APX (CL, Kuraray). Heliomolar (H,Vivadent), Surefil (S, Dentsply), Tetric Ceram (TC, Vivadent), TPH (Dentsply), Z100 (3M)의 6종의 복합레진을 보관하였을 때 각 제품의 분해저항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각 제품당 3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무게측정을 한 후 0.1N NaOH용액에 저장하여 $60^{\circ}C$에서 보관하였다. 2주후 제거하여 HCl로 중화, 세척 후 $60^{\circ}C$에서 건조하였다. 무게손실, 분해층 깊이, Si 농도등을 기준으로 분해저항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제품의 무게손실량은 $0.45\sim3.64%$ 까지 다양하며 Z100, TC, H, S, CL, TPH 순으로 많았다. 2. 각 제품의 표면하 분해층 깊이는 제품마다 다양하여, $10.85\sim73.38{\mu}m$의 범위였고, H, Z100, S, TC, TPH, CL 순으로 깊었다. 3. 각 제품으로부터 용출된 Si 양은 Z100군 2060ppm으로 가장 많고, H, TPH, CL, TC, S순으로 많았다. 4. 무게손실량과 표면하 분해층 깊이사이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r=0.81, p,0.05) 5. 주사전자현미경하 관찰시 NaOH 용액에 보관한 후 레진기질과 필러사이의 결합의 파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심미성 수복재로서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복합레진은 구강내에서 장기간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 물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복합레진의 단점 중 하나로 낮은 마모저항성을 들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하나의 인자로 수복물의 표면하 분해(subsurface degradation)가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카리성 용액(0.1N NaOH)에 현재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는 Clearfil APX (CL, Kuraray). Heliomolar (H,Vivadent), Surefil (S, Dentsply), Tetric Ceram (TC, Vivadent), TPH (Dentsply), Z100 (3M)의 6종의 복합레진을 보관하였을 때 각 제품의 분해저항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각 제품당 3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무게측정을 한 후 0.1N NaOH용액에 저장하여 $60^{\circ}C$에서 보관하였다. 2주후 제거하여 HCl로 중화, 세척 후 $60^{\circ}C$에서 건조하였다. 무게손실, 분해층 깊이, Si 농도등을 기준으로 분해저항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제품의 무게손실량은 $0.45\sim3.64%$ 까지 다양하며 Z100, TC, H, S, CL, TPH 순으로 많았다. 2. 각 제품의 표면하 분해층 깊이는 제품마다 다양하여, $10.85\sim73.38{\mu}m$의 범위였고, H, Z100, S, TC, TPH, CL 순으로 깊었다. 3. 각 제품으로부터 용출된 Si 양은 Z100군 2060ppm으로 가장 많고, H, TPH, CL, TC, S순으로 많았다. 4. 무게손실량과 표면하 분해층 깊이사이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r=0.81, p,0.05) 5. 주사전자현미경하 관찰시 NaOH 용액에 보관한 후 레진기질과 필러사이의 결합의 파괴를 관찰할 수 있었다.
The composite restorative resins have their insufficient resistance to wear. The subsurface degradation within the restoration is considered to be associated with w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of six commercial composite resins in an alkaline solution. The...
The composite restorative resins have their insufficient resistance to wear. The subsurface degradation within the restoration is considered to be associated with w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of six commercial composite resins in an alkaline solution. The brands studied were Clearfil APX(Kuraray), Heliomolar(Vivadent), Surefil(Dentsply), TPH(Dentsply), Tetric Ceram(Vivadent), and Z100(3M). Preweighed discs of each brand were exposed 0.1N NaOH solution at $60^{\circ}C$. After 14 days they were removed, neutralized with HCL, washed with water and dried to constant mass at $60^{\circ}C$. Resistance to degradation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parameters: (a) mass loss(%) - determined from pre-and post-exposure specimen weights; (b) Si loss (ppm)-obtained from ICP-AE analysis of solution exposed to specimens; and (c) degradation depth$({\mu}m)$ - measured microscopically (SEM) from polished circular sections of exposed specime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ss loss was in descending order by Z100, TC H, S, CL, TPH and in the range of $0.45\sim3.64%$ 2. The degradation layer depth was in descending order by H, Z100, S, TC, TPH, CL and in the range of $10.85\sim73.38{\mu}m$ 3. For the Si concentration, Z100 was the highest of all 4. The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r=0.81, p<0.05) was observed between mass loss and degradation depth. 5. Under scanning electronmicroscopy, the degradation of connection between resin matrix and fillers was observed 2 weeks after soaking in NaOH solution.
The composite restorative resins have their insufficient resistance to wear. The subsurface degradation within the restoration is considered to be associated with w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of six commercial composite resins in an alkaline solution. The brands studied were Clearfil APX(Kuraray), Heliomolar(Vivadent), Surefil(Dentsply), TPH(Dentsply), Tetric Ceram(Vivadent), and Z100(3M). Preweighed discs of each brand were exposed 0.1N NaOH solution at $60^{\circ}C$. After 14 days they were removed, neutralized with HCL, washed with water and dried to constant mass at $60^{\circ}C$. Resistance to degradation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parameters: (a) mass loss(%) - determined from pre-and post-exposure specimen weights; (b) Si loss (ppm)-obtained from ICP-AE analysis of solution exposed to specimens; and (c) degradation depth$({\mu}m)$ - measured microscopically (SEM) from polished circular sections of exposed specime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ss loss was in descending order by Z100, TC H, S, CL, TPH and in the range of $0.45\sim3.64%$ 2. The degradation layer depth was in descending order by H, Z100, S, TC, TPH, CL and in the range of $10.85\sim73.38{\mu}m$ 3. For the Si concentration, Z100 was the highest of all 4. The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r=0.81, p<0.05) was observed between mass loss and degradation depth. 5. Under scanning electronmicroscopy, the degradation of connection between resin matrix and fillers was observed 2 weeks after soaking in NaOH solu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알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구치부 수복에 주로 사용하고 있는 광중합형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무게손실, 표면하분해층 깊이 , 용출된 Si 농도를 기준으로 각 레진의 분해 저항성을 평가하고 이를 비교하여 우수한 복합레진을 선택하는데 하나의 지표가 되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복합레진을 테프론 몰드에 주입하고 기포발생을 줄이기 위해 resin instrument로 응축시킨 후 2장의 Mylar sheet와 유리판으로 압접하여 편평한 표면을 만들었다. 가시광선중합기(Coltolux, Coltene, USA)로 한면당 20초씩 광조사한 후 유리판과 Mylar sheet를 제거한후 각 면에 20초씩 추가 조사하였다.
복합레진을 테프론 몰드에 주입하고 기포발생을 줄이기 위해 resin instrument로 응축시킨 후 2장의 Mylar sheet와 유리판으로 압접하여 편평한 표면을 만들었다. 가시광선중합기(Coltolux, Coltene, USA)로 한면당 20초씩 광조사한 후 유리판과 Mylar sheet를 제거한후 각 면에 20초씩 추가 조사하였다. 중합이 완료된 시편은 600, 1000, 1200, 1500 grit의 사포로 젖은 상태에서 양면을 연마하였다.
가시광선중합기(Coltolux, Coltene, USA)로 한면당 20초씩 광조사한 후 유리판과 Mylar sheet를 제거한후 각 면에 20초씩 추가 조사하였다. 중합이 완료된 시편은 600, 1000, 1200, 1500 grit의 사포로 젖은 상태에서 양면을 연마하였다. 연마 후 증류수 내에서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하여 3분간 세척하여 시편의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각 시편을 60℃ 오븐에서 2시간 건조하였다. 건조후 초기시편 무게를 측정하였다.
23% HC1 용액으로 중화시킨 후 흐르는 물에 세척 후 건조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초기의 무게와 용액에 저장한 후 무게차이를 계산하여 무게 손실비 (%)를 측정하였다.
저장용액 내로 용출된 Si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back-ground의 영향이 적고, 재현성이 뛰어나며 미량원소의 검줄에 적 합한 유도결합플라즈마 원자방출 분광기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scopy, Leeman 010-2106, Leeman Lab, USA)를 이용하여 정량분석하였다.
0.1N NaOH 용액에 저장한 후의 시편을 아크릴릭 레진에 매몰하여 600, 1000, 1200, 1500 grit의 사포로 표면을 연마하여 백금으로 표면처리후 주사전자현미경하(S-4700, Hitachi, Japan)에서 관찰하여 시편의 대조도의 차이로 표면 하 분해층을 구분하여 두께를 측정하였다.
분해층과 분해되지 않은 내부의 필러 성분분석을 위해 EDS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복합레진의 표면하 분해의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해 현재 구치부 수복에 이용되고 있는 Clearfil APX (Kuraray), Heliomolar (Vivadent), Surefil (Dentsply), TPH (Dentsply), Tetric Ceram (Vivadent), Z100 (3M)을 사용하여 무게손실과 필러의 성분중 Si의 손실정도(ppm), 분해층의 깊이 (四)의 정도를 ICP-AE 와 SEM을 통하여 측정,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상 데이터
레진 시편은 두께 3mm, 내경 10mm의 테프론 몰드(teflon mold)을 이용하여 각 제품마다 각각 3개씩 제작하였다. 복합레진을 테프론 몰드에 주입하고 기포발생을 줄이기 위해 resin instrument로 응축시킨 후 2장의 Mylar sheet와 유리판으로 압접하여 편평한 표면을 만들었다.
본 실험에는 현재 구치부 수복에 많이 이용되는 6종의 복합레진을 사용하였다 (Table 1).
데이터처리
무게손실, 분해층 깊이, Si 농도에서 제품간 차이를 보기위해 ANOVA test를 시행하였고, 사후검증을 위해 Duncan s multiple range test를 시행하였으며, 무게손실, 분해층깊이, 용출된 Si 농도간의 상관관계를 보고자 Sperman s rho test를 시행하였다.
성능/효과
1. 각 제품의 무게손실량은 0.45~3.64% 까지 다양하며 Z100, TC, H, S, CL, TPH 순으로 많았다.
5. 주사전자현미경하 관찰시 NaOH용액에 보관한 후 레진 기질과 필러사이의 결합의 파괴를 관찰할 수 있었다.
85网 까지 제품간 많은 깊이 차이를 보였다. NaOH 용액내로 용출된 Si 농도는 Z100이 2060 ppm으로 타제품에 비해 유의성있게 높은 값을 보였다(Table 3) 무게 손실 과 분해 층깊 이간의 상관관계는 높게 나타났으며 (r=0.81, p<0.05), 분해층깊이와 용출된 Si 농도간에는 상관관계가 낮았다r=0.33, p<0.05)
NaOH 용액에 저장전의 관찰시 CL의 경우 다양한 크기의 필러 입자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NaOH 용액에 저장 후 필러와 기질간의 결합은 파괴되었고, 필러 자체의 파괴도 관찰되었다.
EDS 분석결과 Z100을 제외한 5종 복합레진의 필러는 주로 Si, Ba, Al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Z100의 경우 58.1%가 Si로 구성되어 있고 Ba, Al 등의 성분은 미량이었다. 용출된 Si 농도는 Z100。] 2060 ppm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 H, TPH, CL, TC, S순으로 높았다.
본 연구결과 NaOH 용액에 저장후 Z100。] 무게손실, Si 용출, 분해층 깊이 모두 가장 큰 값을 보여, 분해저항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와 임상적 양상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정보는 불충분하다.
2. 각 제품의 표면하 분해층 깊이는 제품마다 다양하여 , 10.85 ~73.38的의 범위였고, H, Z100, S, TC, TPH, CL 순으로 깊었다.
3. 각 제품으로부터 용출된 Si 양은 Z100군에서 2060ppm으로 가장 많았고, H. TPH, CL, TC, S순으로 많았다.
4. 무게손실량과 표면하 분해층 깊이사이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r=0.81, p<0.05).
후속연구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으나 이를 평가할 기준은 아직 설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요인들 모두가 복합레진의 마모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여겨지므로 추후 마모시험을 병행하여 본 연구와 연관성을 시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 복합레진의 평가요소로서 복합레진의 가수분해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약해진 층으로 인해 수복물의 착색과 변색이 쉽게 일어날 수 있고, 저작이나 칫솔질등에 의한 마모가 더 잘 나타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수분해에 대한 레진의 저항성을 결정하는 필러의 성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각 제품들의 필러의 물리적, 화학적성질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각기 다른 회사 복합레진의 NaOH 처치후 필러 성분요소의 변화와 그 양은 모두 다양하였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