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공간 열환경 특성에 관한 수직순환기류의 영향
Effect of the Vertical Air Circulation on the Thermal "Environment in a Large Space 원문보기

설비공학논문집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12 no.6, 2000년, pp.581 - 588  

김경환 (한양대학원 기계공학과) ,  강석윤 (한양대학원 기계공학과) ,  최충현 (한양대학원 기계공학과) ,  조영진 (한양대학원 기계공학과) ,  이재헌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  오명도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정밀기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f vertical air circulation on the thermal environment in an airport passenger terminal with induced flow by jet fans. In comparing the level of thermal comfort at the breathing line of 1.5 m in height, the results from the two models with or without the vertical air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설계된 공항 여객터미널의 대공간에서 제트팬과 오픈 에어덕트를 이용하여 수직 순환기류를 발생시키는 경우에, 하계 냉방기류 및 온도분포를 논의하고 이 방법이 열 환경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이에 따라 실내 발생 열량으로 인한 고온공기는 상승하여 천장의 온도 상승이 예상된다. 천장의 온도상 승은 재실자에게 복사열에 의한 열적 불쾌감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천장부에 고온 공기가 정체되지 않도록 제트팬과 오픈 에어 덕트를 추가한 수직 순환기류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실내에는 재실자가 26, 013 W(1 층 ; 0.3인/m2) 및 27, 359 W(2층 ; 0.5인/nj)의 열량을, 기기와 장비가 각각 23, 169 W(1 층) 및 12, 719 W(2층)의 열량을 발생시킨다고 간주하고 이 열량들은 각 층별로 바닥면으로부터 L5 m 떨어진 재실자 활 동영역(activity zone)에서 균일하게 발생된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실내의 조명으로부터 57, 372 W 의 열량이 발생된다고 간주하고 이 열량은 지붕과 지붕으로부터 2 m 떨어진 공간의 천장 상부에서 균일하게 발생된다고 가정하였다.
  • 5인/nj)의 열량을, 기기와 장비가 각각 23, 169 W(1 층) 및 12, 719 W(2층)의 열량을 발생시킨다고 간주하고 이 열량들은 각 층별로 바닥면으로부터 L5 m 떨어진 재실자 활 동영역(activity zone)에서 균일하게 발생된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실내의 조명으로부터 57, 372 W 의 열량이 발생된다고 간주하고 이 열량은 지붕과 지붕으로부터 2 m 떨어진 공간의 천장 상부에서 균일하게 발생된다고 가정하였다.
  • 부하 계산 결과에 의하면 로비 영역에 대한 최대 냉방 부하는 281, 673 W이며 이중 벽을 통한 냉방 부하는 135, 041 W이며 나머지는 실내 발생 냉방부하이다. 또한 지붕, 동쪽, 서쪽 및 남쪽의 유리로부터 유입되는 일사량 중 70% 정도는 유리를 투과하여 바닥에 흡수된 후 실내로 방출되고 나머지 30% 정도는 유리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된다고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상세한 경계조건을 Table 3에나열하였고 마지막 항목의 '*'로 표시된 조건은 수직 순환기류 설계안에만 적용된다.
  • 초기 설계안에서 PPD를 산정하기 위하여 재실자의 활동에 따른 발열량은 1.2 met[69.78 W/m2], 착의량은 0.5 clo[0.078 m2KAV] 그리고 상대 습도는 50%로 가정하였으며 평균 복사온도는 형태계 수를 이용한 산정방법⑻에 의하여 3L9℃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영역에서는 P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