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3월부터 2000 4월까지 한국 남해안과 서해안에서 채집된 해산어 5종을 대상으로 어류의 위 및 장내에 기생하는 흡충류 종들을 형태학적 특징에 의해 분류 기재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서 사용된 어종은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nus), 도다리(Pleuronichthys cornutus), 수조기(Nibea albiflora)의 5 어종으로, 그 중 4 어종은 금강하구입구 근처 고군산 군도에서 채집하였고, 쥐노래미는 고군산 군도와 완도에서 채집하였다. 흡충류 4종이 해산어류에서 검출되었다: 1)고군산 군도에서 채집된 조피볼락, 도다리, 쥐노래미의 위와 장에서 Opecoelus lobatus Ozaki, 1925가 검출되었고, 2)고군산 군도에서 채집된 문절망둑의 장내에서 Coitocoecum glandulosum Yamaguti, 1934 이 검출되었고, 3)고군산 군도에서 채집된 수조기의 장 내에서 Phyllodistomun sp. Braun, 1899 가 발견되었으며, 4)완도에서 어획된 쥐노래미의 위와 장에서 Pharyngora sp. Lebour, 1908 가 검출되었다. 해산 어류에서 검출된 4 종의 흡충류 중 3종(Opecoelus lobatus Ozaki, 1925, Phyllodistomun sp., Pharyngora sp.)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종들이였다.
1998년 3월부터 2000 4월까지 한국 남해안과 서해안에서 채집된 해산어 5종을 대상으로 어류의 위 및 장내에 기생하는 흡충류 종들을 형태학적 특징에 의해 분류 기재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서 사용된 어종은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nus), 도다리(Pleuronichthys cornutus), 수조기(Nibea albiflora)의 5 어종으로, 그 중 4 어종은 금강하구입구 근처 고군산 군도에서 채집하였고, 쥐노래미는 고군산 군도와 완도에서 채집하였다. 흡충류 4종이 해산어류에서 검출되었다: 1)고군산 군도에서 채집된 조피볼락, 도다리, 쥐노래미의 위와 장에서 Opecoelus lobatus Ozaki, 1925가 검출되었고, 2)고군산 군도에서 채집된 문절망둑의 장내에서 Coitocoecum glandulosum Yamaguti, 1934 이 검출되었고, 3)고군산 군도에서 채집된 수조기의 장 내에서 Phyllodistomun sp. Braun, 1899 가 발견되었으며, 4)완도에서 어획된 쥐노래미의 위와 장에서 Pharyngora sp. Lebour, 1908 가 검출되었다. 해산 어류에서 검출된 4 종의 흡충류 중 3종(Opecoelus lobatus Ozaki, 1925, Phyllodistomun sp., Pharyngora sp.)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종들이였다.
From March 1998 to April 2000, 4 species of marine fishes including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goby (Acanthogobius flavimannus), fine-spooted flounder (Pleuronichthys cornutus), and croaker (Nibea albiflora) were captured from the coastal area of the Gogunsan island located in the mouth of...
From March 1998 to April 2000, 4 species of marine fishes including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goby (Acanthogobius flavimannus), fine-spooted flounder (Pleuronichthys cornutus), and croaker (Nibea albiflora) were captured from the coastal area of the Gogunsan island located in the mouth of the Kum River, and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was sampled from the coastal areas of the Gogunsan island and the Wan-do. Trematodes from the stomach and the intestine of the fishes were detected and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ur species of trematodes were detected in the stomach and the intestine of the examined fishes ; Opecoelus lobatus Ozaki, 1925 from black rockfish, fine-spotted flounder and greenling, Coitoecum glandulosum Yamaguti, 1934 from goby, Phyllodistomum sp. Braun, 1899 from croaker, and Pharyngora sp. Lebour, 1908 from greenling captured from Wan-do. This report gave morphological descriptions of O. lobatus, Pharyngora sp. and Phyllodistomum sp. from coastal marine fishes in Korea.
From March 1998 to April 2000, 4 species of marine fishes including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goby (Acanthogobius flavimannus), fine-spooted flounder (Pleuronichthys cornutus), and croaker (Nibea albiflora) were captured from the coastal area of the Gogunsan island located in the mouth of the Kum River, and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was sampled from the coastal areas of the Gogunsan island and the Wan-do. Trematodes from the stomach and the intestine of the fishes were detected and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ur species of trematodes were detected in the stomach and the intestine of the examined fishes ; Opecoelus lobatus Ozaki, 1925 from black rockfish, fine-spotted flounder and greenling, Coitoecum glandulosum Yamaguti, 1934 from goby, Phyllodistomum sp. Braun, 1899 from croaker, and Pharyngora sp. Lebour, 1908 from greenling captured from Wan-do. This report gave morphological descriptions of O. lobatus, Pharyngora sp. and Phyllodistomum sp. from coastal marine fishes in Kore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1998년 3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서해안 금강하구에 위치한 고군산 열도에서 채집한 조피볼락, 쥐노래미, 문절망둑, 도다리 (comutus) 및 수조가(Nibea albjjlord)와 서남해의완도에서 채집한 쥐노래미의 장내에 기생하는 흡충류의 종분류를 조사한 바, 4종의 흡충류가 검출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parasilluri 에서는정소와 난소, 저난황낭의 위치와 모양, 구흡반의 비율은 비슷하나 정소와 난소의 크기에서 큰 차이를나타낸다 본 종은 이들 종과는 다른 종으로 보이나, 미성숙하여 알(egg)이 전혀 보이지 않고, 저난황난과 Laurer'scanal 등의 생식기관의 경계가 불분명하여 종명을 확정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종은 금후 계속해서 조사해서 성충이 분리되면 내부구조를 상세히 관찰하여 종명을 동정 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이들 채집된 어류는 현장에서 즉시 30cm자로 전장을 측정한 후, 가위로 각각 복부를 절개하고 내장을 꺼내어 100 m/들이 플라스틱 표본병에 넣고 얼음이 채워진 ice-box에 넣어 5시간 이내에 실험실로 옮겨 조사하였다.
분리된 기생중 중 홉충류를 제외한 다른 기생충들은 高尾(1981)의 방법과 같이 모두 10% 포르말린으로 고정시켜 보존하였으며, 검출된 흡충류는 0.7% 생리식염수를 떨어트린 2매의 슬라이드글라스에 올려놓고 40〜800배의 광학현미경으로 생체관찰하여 내부 각부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생체 관찰이 끝난 표본은 10% 포르말린으로 고정하였고 acetocarmin 및 eosin으로 염색하였으며, 염색된 표본의 각부 크기를 micrometer로 측정하였다. 한편으로는 현미경에 장치된 모니터(Disitalsignal processor colom video camera, VK-C370,Hitachi, Japan)# 통하여 더욱 세부를 관찰 하였다.
한편으로는 현미경에 장치된 모니터(Disitalsignal processor colom video camera, VK-C370,Hitachi, Japan)# 통하여 더욱 세부를 관찰 하였다.
대상 데이터
실험에 사용한 어류는 1998년 3월부터 2000년 4 월까지 매분기별로 방축도와 말도(Fig. 1)해역에서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실습선(해림 5호 38톤) 을 사용하여 낚시와 주낙으로 채집한 조피볼락, 쥐노래미, 도다리, 수조기 및 문절망둑과 한편으로는서해산 어류와 비교하기 위하여 서남해안의 완도에서 쥐노래미를 채집하였다.
1998년 3월부터 20004월까지 한국 남해안과 서해안에서 채집된 해산어 5종을 대상으로 어류의위 및 장내에 기생하는 흡충류 종들을 형태학적 특징에 의해 분류 기재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서 사용된 어종은 조피볼락(sebastes schlegeil),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 (Acanthogobius flavimannus), (Pleuronichthys comutus), 수조기(NibeaalblRu)의 5 어종으로 그 중 4 어종은 금강하구입구 근처 고군산 군도에서 채집하였고, 쥐노래미는 고군산 군도와 완도에서 채집하였다. 흡충류 4종이 해산어류에서 검출되었다: 1) 고군산군도에서 채집된 조피볼락, 도다리, 쥐노래미의 위와 장에서 Opecoelus lobatus Ozaki, 1925 가 검출되었고2) 고군산 군도에서 채집된 문절망둑의 장내에서 Coitocoecum glandulosum Yamaguti, 1934이 검출되었고, 3) 고군산 군도에서 채집된 수조기의 장 내에서 Phyllodistomun sp.
성능/효과
전정소와 후정소에서 각각 시작되는 수정관(ves dei0is) 은 자궁(liters) 부분에서 하나로 합쳐져 외저정낭(vesicarseminalis externa) 이른다. 외저정낭(vesicular seminalis externa)의 크기는 평균 0.17 xO.06 mm(0.14~0.24 x0.05—0.06 mm)이며, 내저정낭(vesicular seminalis imema)은 평균 0.15x0.07 (0.13~0.18><0.06~ 0.08 mm)이다. 전립소(pars piostatica)는 넓고 잘 발달되어 있다.
본 종은 인두와 음경낭(cirrus pouch) 이 없는 점,몸이 가느다란 앞부분과 잎모양의 밑부분인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점, 창자가 몸의 후단부에서 맹관으로 끝나는 점, 저난황닝^vitelline reservioi)이 두개인 점으로 미루어 Phyllodistom sp로 동정하였다. Table 4에 표시 한 P.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