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리방법에 따른 쇠고기 안심스테이크의 이화학적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eef Tenderloin Steak by Cooking Method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21 no.4, 2001년, pp.314 - 322  

김천제 (건국대학교 동물자원연구센터) ,  채영철 (울산과학대학 호텔조리과) ,  이의수 (건국대학교 동물자원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조리방법(Grilling, Pan-frying, Oven-roasting, Microwaving)에 따른 쇠고기 안심 스테이크의 이·화학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pH, 근원섬유 소편화지수, 색도, 가열감량, 물성(Rheology) 및 관능검사(Panel test)를 실시하였다. 조리방법에 따른 일반 성분은 microwaving 방법에서 다른 조리방법에 비하여 낮은 수분함량과 높은 지방함량을 나타냈다. pH는 조리후 다소 상승하였으나 조리방법에 따른 pH 차이는 없었으며, 육색의 변화에 있어서 L*과 b* -값은 microwaving과 pan-frying방법에서 grilling이나 oven-roasting 방법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리방법에 따른 근원섬유 소편화도는 oven-roasting 방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조리방법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가열감량은 microwaving 방법에 의한 조리육에서 가장 많았다. 조리육이 물성에 있어서 경도와 부서짐성은 다른 조리방법에 비하여 microwave oven을 이용한 조리방법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응집성은 microwaving 방법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탄력성은 모든 조리방법들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 있어서 grilling, pan-frying과 oven-roasting 방법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microwaving은 전 항목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mported beef and Hanwo beef tenderloin steak in proximate composition, pH, myofibril Fragmentation Index (MFI), meat color, cooking loss, rheology and panel test by various cooking methods (grilling, pan-frying, oven-roa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육에 서의 가열처리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원료육의 pH, 조성성분 및 가열온도와 시간, 가열방법 등이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조리 과 학적인 측면에서도 몇몇 연구들이 수행되기는 하였으나⑸, 육류의 최종 소비의 주체 인 소비자들이나 Hotel 또는 Restaurant에서 직접사용하고 있는 조리방법에 의한 쇠고기의 품질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리방법 (Grilling. Pan-frying, Oven^roasting, Mi-crowaving) 에 따른 한우육과 미국산 수입우육 한심 스테이크의 이화학적인 변화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1) Values are mean±S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