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하천생태계의 환경 훼손과 담수 절지동물의 생물다양성 피해 및 보전
Human Impacts on Stream Ecosystems and Freshwater Arthropod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tomology = 한국곤충학회지, v.31 no.2, 2001년, pp.63 - 76  

배연재 (서울여자대학교 생물학과) ,  이병훈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는 동북아시아의 온대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대부분이 산악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하천생태계가 잘 발달한 반면 천연호수나 저습지의 발달은 미약하다.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는 비교적 높은 생물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알려진 담수 절지동물은 3강 18목 112과 536종으로 집계되어 아직 분류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중 수서곤충이 96과 494종으로 대부분 (92%)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수서곤충 중에서도 파리목의 분류가 거의 되어있지 않았다. 한국은 1960년대에 국토개발사업이 시작된 이래 하천생태계의 자연상태가 크게 변모되었다. 주요한 인위적 환경변화를 물리환경 (서식처)과 화학환경(수질)변화로 구분하였는데, 대표적 서식처 변화에는 댐 건설로 인한 정수화, 농업, 산업 및 생활 용수의 과도한 개발로 인한 하천의 수량 감소와 건천화, 그리고 도시화에 따른 하천의 인공화(채널화)를 포함하였고, 수질 변화에는 부영양화 및 독성 화학물질의 증가를 포함하였다. 그 외에 근래에 급격히 증가한 유흥행위에 따른 하천생태계의 전반적 환경 교란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인위적 환경훼손 유형별 담수 절지동물의 피해실태를 논하였으며, 특히 근래에 한국 하천생태계의 훼손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도시화에 따른 피해를 자세히 설명하였다. 즉, 한국의 하천 중에서 중부지역의 북한강 수계 및 남부지역의 만경강 수계를 모델로 하여 장기간 모니터링한 결과 그 하천에서는 하천유역의 인구가 약 2만명이 증가할 때마다 수서곤충이 1종씩 감소하였고, 하천이 도시화의 중심(서울)으로 약 2km가까워질수록 수서곤충이 1종씩 감소하였다. 서울 근교에 위치하여 1960년대이래 지속적인 환경변화를 겪은 왕숙천에서는 수서곤충이 약 2년마다 1종씩 소멸하였다. 하천의 채널화로 인하여 훼손된 저서생물 군집이 이전의 상태로 회복되는 데에는 도시하천이 자연하천에 비하여 약 4배의 기간이 더 소요되었으며, 왕숙천에서는 약 4년, 한강 본류에서는 약 10년이 소요되었으나, 그 회복된 생물군집의 종류는 달랐다. 한국 하천에서는 수질에 따라 빈부수성에서는 뿔하루살이속(Drunella), 강도래목(Plecoptera), 그리고 물날도래속 (Rhyacophila)이, 베타중부수성 에서는 줄날도래 (Hydropsyche kozhantschikovi), 등줄하루살이(Uracanthella rufa), 그리고 부채하루살이 (Epeorus latifolium)가, 알파중부수성에서는 노랑털깔따구 (Chironomus flaviplumus)가, 그리고 강부수성에서는 실지렁이 (Tubificidae)가 대표적 인 생물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생태계의 담수 절지동물 다양성을 보전하는 방안으로는 서식처와 수질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장치의 설치, GIS와 같은 새로운 기법을 도입하여 하천생태계의 환경과 생물군집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의 개발, 훼손된 하천생태계의 복원기법 개발, 그리고 국내외의 관련 기관 및 학자들간의 학술교류 네트웍 구축과 교육 및 홍보 노력이 요망된다. 끝으로 한국의 담수 절지동물 중에서 멸종위기종, 희귀종 또는 생태환경학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종을 선정하여 3등급으로 구분하여 수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peninsula is located in temperate Northeast Asia. Since most of the peninsula is mountainous, stream systems are well developed, but there are few large freshwater natural lakes and wetlands. Northeast Asia,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has a relatively high degree of biodiversity. Up ...

주제어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