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0 no.5, 2002년, pp.333 - 339
윤종선 (충북농업기술원) , 손석용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김익환 (충북농업기술원) , 홍의연 (충북농업기술원) , 윤태 (충북농업기술원) , (충북농업기술원) , 정승근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박상일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practical use of the Polygonatum genetic resources. The 20 collections were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8 characters and cluster analysis. In the principal analysis,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components contributed 54.10...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Ahn SN, Chae YA (1984) Varietal classification on the basis of multivariate analysis in sesame(.S'a1Xlmum indiCum L.). Korean J. Breed 16(3) : 340-348
Choi HC, Lee JI (1979) Classification of rapeseed cultivars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Korean J. Breedingll(3): 179-195
Chung HG, Seong NS, Kim KS, Lee ST, Chae JC (1994) Classification of plant type in Bupleumm falcatum L. by multivariate analysi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2) : 140-145
Jang CG (1998) A systematic study of the genus Polygonatum (Liliaceae)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Korean species. Ph. D. dissertation. Korea Univ.. Seoul. pp. 1-458
Jang CG, Kim YS (1998a) Cluster and cladistic analysis of the Korean Poly- gonatum (Liliaceae). Korean J. Plant Taxa. 28(4) : 357-370
Jang eG, Kim YS (1998b) Taxonomic relationships of the Korean Polygonatum (Liliaceae) using the RAPDs analysis. Korean J. Plant Taxa. 28(4) : 371-384
Kim HS, Park SI, Kim SD, Son SY, Jung SK, Lee YH (1999)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wild adzuki bean(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Ohwi) Ohwi & Ohashi). Korean J. Breed. 31 (3) : 293-300
Kim JK, Lee YJ (1980)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rhizome of Polygonatum robustum Nakai. Korea J. Pharmacog. 11(2) : 69-74
Kwon BS, Lim JT (1997) Multivariate analysis of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in Alisma plantago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5(4) : 260-265
Lee IS, Choe BH (1982) Assessement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local com lines by application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Korean J. Breeding 14(3) : 294-303
Rho CW (2001) Agronomic characters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adzukibean (Vigna angularis (Wild.) Ohwi & Ohashi) Ph. D.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 , Cheongju. pp. 1-77
Seong NS, Lee JI (1984) Varietal classification by multivariate analysis in sesame. Korea J. Breed 16(2) : 180-188
許浚. 1613. 東醫寶鍵. 場浪篇 卷二 草郭: 719-720. (1994, 南山堂. 서울)
김창민, 신민교, 안덕균, 이경순. 1998. 완역 중약대사전 제 10권. 도서출판 정담. 서울. PP. 6550-6556
박정일. 1999 황정의 품질 표준화에 관한 연구. 1999년도 생약·한약재 품질 표준화 연구보고서 (식품의약품안정청) . 서울 pp.67-78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한국의약품시험연구소 .2002. 한약(생약) 규격집. p. 62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