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다변량 분석에 의한 둥굴레속 식물의 분류
Classification of Polygonatum spp. Collections Based on Multivariate Analysi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0 no.5, 2002년, pp.333 - 339  

윤종선 (충북농업기술원) ,  손석용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김익환 (충북농업기술원) ,  홍의연 (충북농업기술원) ,  윤태 (충북농업기술원) ,  (충북농업기술원) ,  정승근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박상일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둥굴레속 식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변종 포함 10종(種) 20영양계(營養系)를 재배한 후 특성을 조사하고 주성분 분석군집 분석을 통하여 분류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제 1주성분은 전체 분산의 54.10%, 제 2주성분은 18,95% 그리고 제 3주성분은 11.62%를 차지하였으며, 상위 제 3주성분까지의 누적 기여율이 84.68%였다. 제 1주성분은 식물체의 형태와 크기, 동화기관, 저장기관 및 생식기관과 관련된 주성분이었고, 제 2주성분은 식물체의 생육 및 저장기관과 관련된 주성분이었으며, 제 3주성분은 식물체의 생육과 관련된 주성분이었다. 군집 분석 결과 군집간 평균거리가 약 0.7일 때 20개 영양계가 4개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제 I군에는 층층갈고리둥굴레, 제 II군에는 둥굴레, 무늬둥굴레, 산둥굴레 및 큰둥굴레, 제 III군에는 용둥굴레, 안면용둥굴레 및 각시둥굴레 그리고 제 IV군에는 죽대 및 통둥굴레가 속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practical use of the Polygonatum genetic resources. The 20 collections were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8 characters and cluster analysis. In the principal analysis,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components contributed 54.10...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수집된 둥굴레속 유전자원 중에서 선발한 변종 포함 10種 20營養系의 특성을 조사하고, 다변량 분석 방법인 주성분 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류함으로써 둥굴레속 식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n SN, Chae YA (1984) Varietal classification on the basis of multivariate analysis in sesame(.S'a1Xlmum indiCum L.). Korean J. Breed 16(3) : 340-348 

  2. Choi HC, Lee JI (1979) Classification of rapeseed cultivars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Korean J. Breedingll(3): 179-195 

  3. Chung HG, Seong NS, Kim KS, Lee ST, Chae JC (1994) Classification of plant type in Bupleumm falcatum L. by multivariate analysi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2) : 140-145 

  4. Jang CG (1998) A systematic study of the genus Polygonatum (Liliaceae)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Korean species. Ph. D. dissertation. Korea Univ.. Seoul. pp. 1-458 

  5. Jang CG, Kim YS (1998a) Cluster and cladistic analysis of the Korean Poly- gonatum (Liliaceae). Korean J. Plant Taxa. 28(4) : 357-370 

  6. Jang eG, Kim YS (1998b) Taxonomic relationships of the Korean Polygonatum (Liliaceae) using the RAPDs analysis. Korean J. Plant Taxa. 28(4) : 371-384 

  7. Kim HS, Park SI, Kim SD, Son SY, Jung SK, Lee YH (1999)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wild adzuki bean(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Ohwi) Ohwi & Ohashi). Korean J. Breed. 31 (3) : 293-300 

  8. Kim JK, Lee YJ (1980)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rhizome of Polygonatum robustum Nakai. Korea J. Pharmacog. 11(2) : 69-74 

  9. Kwon BS, Lim JT (1997) Multivariate analysis of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in Alisma plantago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5(4) : 260-265 

  10. Lee IS, Choe BH (1982) Assessement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local com lines by application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Korean J. Breeding 14(3) : 294-303 

  11. Rho CW (2001) Agronomic characters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adzukibean (Vigna angularis (Wild.) Ohwi & Ohashi) Ph. D.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 , Cheongju. pp. 1-77 

  12. Seong NS, Lee JI (1984) Varietal classification by multivariate analysis in sesame. Korea J. Breed 16(2) : 180-188 

  13. 許浚. 1613. 東醫寶鍵. 場浪篇 卷二 草郭: 719-720. (1994, 南山堂. 서울) 

  14. 김창민, 신민교, 안덕균, 이경순. 1998. 완역 중약대사전 제 10권. 도서출판 정담. 서울. PP. 6550-6556 

  15. 박정일. 1999 황정의 품질 표준화에 관한 연구. 1999년도 생약·한약재 품질 표준화 연구보고서 (식품의약품안정청) . 서울 pp.67-78 

  16.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한국의약품시험연구소 .2002. 한약(생약) 규격집. p. 62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