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가작화 놀이에서 정신세계의 표현에 대한 연구
Talk about Mental States in Preschoolers′Pretend Play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0 no.6, 2002년, pp.213 - 221  

신유림 (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강의전담교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alk about mental states in pretend play, to whom mental states were attributed, and function of mental-state terms. Also, frequency of mental-state terms of pretend versus non-pretend turns was examined. Thirty 4 year old preschoolers, each paired with a self-chosen peer,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견해들은 아직 이론적인 차원에서 논의되어져 왔으며 실제로 입증해주는 연구 결과들은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또래와의 가작화 놀이가 진행되는 과정을 비가 작화 상호작용과 구분하여 정신세계의 용어의 빈도를 비교해 봄으로써 이러한 관련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 그러나 유아가 또래와 가작화 놀이에서 사용하는 정신세계에 용어의 표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유아와 또래의 가작화 놀이는 협동적인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유아가 자신과 타인의 정신세계에 대한 이해를 발달시키는 중요한 맥락으로 보고 이러한 과정에서 어떠한 정신세계의 용어가 표현되며 또한 이러한 용어들이 상상 놀이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고 자 한다.
  • 본 연구는 유아가 또래와 구성하는 사회적 상상 놀이가 정신세계에 대한 이해를 발달시키는 중요한 사회적인 맥락이라는 가정하에 상상 놀이 과정에서 어떠한 정신세계 용어들이 표현되며, 이러한 용어들 이 표현되는 관점과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가작 화와 비가작화 차례에서 용어가 표현되는 빈도를 비교함으로써 가작화 놀이와 정신 상태 용어 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 정신세계 용어가 표현되는 네 가지 관점의 빈도 정신세계 용어의 빈도 및 실례를 분석해 본 결과는에 제시되어 있다.

가설 설정

  • A: The dragon is gonna go find the bad things.
  • B: Are they gonna fight?
  • B: I need this man.
  • B: Well, mine's doesn't come out.
  • 넷째, 유아의 가작화 놀이와 정신세계의 용어의 사용은 관련성이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rtsch, K. & Wellman, H. M. (1995). Children talk about the mind. Oxford University Press. 

  2. Bretherton, I. & Beeghly, M. (1982). Talking about internal states: The acqusition of an explicit theory of mind. Developmental Psychology, 18, 906-921 

  3. Brown J. R, Donelan-McCall, N., & Dunn, J. (1996). Why talk about mental states? The significance of children's conversation with friends, siblings, and mothers. Child Development, 67, 836-849 

  4. Cervantes, C. A. & Callanan, M. A. (1993). Functional uses of mental terms in children's and parents' speech.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ch in Child Development. New Orleans 

  5. Dunn, J. (1986). Pretend play in the family. In A. W. Gottfield & C. C. Brown(Eds.), Play Interaction. Lexington Books 

  6. Dunn, J., Bretherton, I., & Munn, P. (1987). Conversations about feelings state between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23, 132-139 

  7. Dunn, J., Brown, J., & Beardsall, L. (1991). Family talk about feeling state and children's later understanding of others' emo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27, 448-455 

  8. Fein, G. (1996). 유아기에 나타나는 가상화의 정의적 특성과 기능. 삼성복지재단. 제4회 국제학술대회 

  9. Flavell, J. H. (1974). The development of inference about others. In T. Mitchell (Ed.) Understanding other persons. Blackwell Publish 

  10. Garvey, C. (1990). Pla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1. Harris, P. I. & Kavanaugh, R. D. (1993).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pretense.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6, 843-855 

  12. Howes, C. (1992). The collaborative construction of pretend.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3. Howes, C., Matheson, C., & Fang, W. (1992) Friendship and social pretend Play. In C. Howes, O. Unger & C. Matheson(Eds.) The collaborative construction of pretend.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 

  14. Leslie, A. (1987). Pretend and representation: The origins of theory of mind. Psychological Review, 94, 412-42 

  15. Nielsen, M. & Dissanayake, C. (2000). An investigation of pretend play, mental state terms and false belief understanding: In search of a metarepresentational link.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8, 609-624 

  16. Ferner, J., Ruffman, T., & Leekam, S. R. (1994). Theory of mind is contagious: You catch it from your sibs. Child Development, 65, 1228-1238 

  17. Schwebel, C. D., Rosen, C. S., & Singer, J. L. (1999). Preschoolers' pretend play and theory of mind: The role of jointly constructed pretence.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7, 333-348 

  18. Shantz, M, Wellman, H. M, & Silber, S. (1983). The acquisition of mental verbs: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first references to mental state. Cognition, 14, 301-321 

  19. Tardif, T. & Wellman, H. M. (2000). Acquisition of mental state language in Mandarin- and Catinese-speaking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36, 25-43 

  20. Wellman, H. M. & Estes, D. (1986). Early understanding of mental entities:A reexamination of childhood realism. Child Development, 57, 910-9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